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메롱 Dec 19. 2021

'짜증 나'의 나비효과

말 한마디의 영향력 

충격받았다. 무심코 친구들과의 카카오톡 대화에서 '짜증'을 검색해 봤다. 며칠 안 되는 새 짜증 난다는 말을 10번 넘게 하고 있었다.


짜증 나


짜증이라는 단어는 누가 만든 걸까, 말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미운 단어다. 말하는 작은 습관의 변화로도 많은 변화를 느낄 수 있다는 글귀를 어디선가 읽었다. 그저 흘려듣기만 했는데 내 말버릇에는 흔히들 안 좋은 습관이라고 말하는 것들이 많았다. 그중에 가장 잦은 것이 바로 이 '짜증 나'이다. 


짜증 난다고 자주 말을 하니 실제로 짜증 나는 일이 많이 생긴 것은 아닐까? 짜증 나는 일이 생겨서 말로 '짜증 난다'라고 내뱉고는 게 아니라, 말로 '짜증 난다'라고 하니 나의 무의식이 짜증 나는 일들을 불러오는 것은 아닐까.

대체로 사소한 일에 짜증을 느끼는 나를 보며 속 좁게 생각하는 자신을 탓한 적도 많았다. 분명한 악순환이었다. 



또한 아주 사소할 뿐인 사건들을 꼭 누군가에게 공유하고 상대한테도 '정말 짜증 나는 일이네'라는 공감을 받아야만 마음이 조금 풀리는 나를 발견했다. 이는 나의 짜증을 받아주는 이에게도 '짜증 나'라는 말을 내뱉게 하여, 상대에게 짜증 나는 사건들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아닐까. 나의 주변 사람들에게 좋은 사람이 되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었다. 아주 별 거 아니라고 생각한 말 한마디가, 매우 큰 나비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었던 것이다. 






'짜증 나'라는 말 하지 않기 



첫 번째로는 나의 행복을 위해서, 두 번째로는 주변인들에게도 좋은 영향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에 결정한 첫 번째가 '짜증 나'라는 말 안 하기이다. 


오늘도 몇 번이고 마음속에서 짜증이 꿈틀대는 사건들이 있었다. 대체로 나의 몸이 힘들어지거나, 시간 혹은 권리를 침해받는다고 느낄 때 사소한 사건에도 미운 마음들이 비집고 나오는 것을 느낀다. 자연스러운 감정이니 인정은 하되 조금 다른 방식으로 이를 대해 보기로 한다. 


나쁜 마음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현명하게 찾아본다. 또는 나의 마음을 그렇게 만든 이를 너그러이 이해해 보기로 한다. 내가 너그러이 베풀어주는 것만으로 상대가 좀 더 행복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면 불편을 조금 감수해 보기도 한다. 생각보다 작고 나쁜 짜증이는 쉽게 가라앉는 것을 느꼈다. 


언어가 잠재적인 무의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익히 들었지만, 실제로 실천하려 노력한 적은 없었다. 그러다 정신 차려 보니 스무 살의 나와 스물아홉의 내가 가진 마음의 그릇 크기가 비슷하였다. 그때도 사소한 일에 친구들과 '짜증 난다'라고 말하며 공유하기를 좋아하는 아이였단 말이다. 

시간이 나를 성장시켜 줄 것이란 희미한 기대를 하고 있었는데 노력하지 않는 방향으로는 그저 멈춰 있더라는 것이었다.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다. 


반대로 생각하면, 좋은 말 습관 한 마디는 또한 좋은 영향력을 전파할 수 있을 것이었다. '짜증 나'대신 웃는 얼굴과 긍정적인 말 한마디로 대체하다 보면, 10년 뒤 나의 마음 그릇은 좀 더 넓어져있지 않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직업이라는 단어는 없어져야 합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