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일산백병원 Apr 29. 2019

A형 간염이 유독 젊은층에 흔한 이유?

- A형감염 비상 과연 어떠한 질병인가?-


A형 간염 유독 젊은층에 흔한 이유?


Q. A형 간염이란 어떠한 질병이인가요?


 A형 간염은 A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열, 근육통, 전신쇠약감과 함께 상복부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이 발생하여 몸살이나 위염으로 오인되기도 하며 대부분 황달이 동반됩니다. 대부분 저절로 회복되고 만성 간염으로 진행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약 0.1% 정도에서는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하여 간이식이 필요할 수 있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2007년에서 2008년 사이에 국내에서 A형 간염이 크게 유행하였는데 당시 약 80% 정도의 환자들에서 입원이 필요할 정도의 심한 증상을 보였습니다. 



Q. A형 간염은 어떻게 감염되나요?


 A형 간염은 수인성 질환입니다. 즉 A형 간염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익히지 않은 음식물을 통해 감염됩니다. 체내에 바이러스가 들어와서 증상이 발생하기까지의 잠복기가 2~4주 정도입니다.



Q. A형 간염은 젊은 사람에서 더 흔히 발생한다는데?


 A형 간염의 발생은 사회의 발전 및 위생 상태 개선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A형 간염은 어릴 때 감염되면 증상 없이 가볍게 앓고 지나가게 되는데, A형 간염을 앓은 사람들에게는 자연 면역이 형성됩니다. 


통계를 보면 1970년 대에는 10세 이하의 아동의 약 45%, 20세 이상의 성인의 대부분에서 항체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회경제적으로 발전하고 위생 상태가 개선되어 어릴 때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기회가 적어지면서 1990년대 후반부터 항체 보유율이 소아 청소년에서 10% 미만, 젊은 성인에서 20~30%로 떨어집니다. 


반면 1970년대에 어린 시절을 보낸 40대 이상에서는 약 80-90%의 항체 보유율을 보입니다. 따라서 4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자연면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감염이 드물고 어린 소아에서는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기 때문에 20-30대의 젊은 성인 연령에서 증상이 있는 간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Q. A형 간염의 예방법은?


백신을 맞으면 됩니다. 6-1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합니다. 


접종이 권장되는 대상은 감염의 위험이 높은 군(어린이들을 돌보는 시설에 근무하는 사람, A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의료진 및 실험실 종사자, 혈액 제제를 자주 투여받는 경우 등)과 A형 간염에 감염되었을 때 심한 간손상이 초래될 수 있는 만성 간질환자들입니다. 


그러나 최근 A형 간염이 유행하고 있고 감염되었을 때 입원을 요할 정도의 심한 간염이 흔하기 때문에 A형 간염에 대한 항체 보유가 드문 30세 미만에서는 항체 검사 없이, 30세 이상에서는 자연면역이 있을 수도 있으므로 항체 검사 후 항체가 없으면 백신 접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주치의 : 일산백병원 소화기내과 김경아교수 031-910-7000

매거진의 이전글 소화불량 환자, ‘이 음식’은 피하세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