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영화x책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unalogi Jan 25. 2022

진부한데 나 왜 울고있냐

영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리뷰

이 글은 영화 [웨스트사이드 스토리]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마케팅의 후발 주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 중 하나는 이미 사람들의 머릿속에 각인된 첫 번째의 이미지를 지워내는 것이라 한다. 주방 세제라는 단어를 퐁퐁이라고 대체해도 어색함 하나 없이 알아들을 수 있는 것처럼, 나중에 사업에 뛰어든 사람은 이 "퐁퐁"을 대체하지 못하면 결국 사장되는 길을 걸어야 하는 것처럼 말이다.


제아무리 손만 대면 졸업 작품으로 쉰들러 리스트를 가지고 오는 스필버그 감독이라 해도(참고 1). 1957년 초연한 이래 세계적인 인기를 끈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지워내는 것이 쉬운 작업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나 감독은 영화 [웨스트사이드 스토리]가 자신의 "훌륭한"작품들 중 하나가 되길 바라는 다짐과 소망으로 무장한 채 작업에 몰두했고, 결국 많은 리스크를 가진 작품으로 관객들에게 다시 인사를 건네고 있다.


이제 백발이 성성하지만 아직도 소년의 마음으로 첫 뮤지컬 영화에 도전하는 그의 마음에 결국 백기를 들고 영화관으로 향해야만 했다. 그가 이 뮤지컬을 접하고 느꼈던 가슴 뒤는 감정을 영화에 어떻게 담아냈을지 눈으로 보고 확인해야 할 것만 같아서.





색으로 보여주는 인물들의 위치;이걸 보는 것만으로도 즐겁다.
사진 출처:다음 영화

영화는 두 편으로 나뉘어 세력 싸움을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두 집단의 갈등과 불화를 극대화하는 수단으로 감독은 색깔을 선택한다.


푸에트리코에서 온 이민자 출신 사람들은 웜톤(붉은 계열)으로.

뉴욕 토박이들은 쿨톤(푸른 계열)로 보인다.


체육관 안에서 벌어지는 댄스파티의 현장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두 패거리들의 갈등이 최고조가 되는 장면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이 부딪치는 모든 장면들은 이런 색의 대비로 인해 아름답다는 말 외에는 대체할 수 있는 단어가 없어 보인다.


두 주인공도 다르지 않다.

토니는 자신의 앞날만큼이나 창창하고 푸른색을 띠고, 마리아는 토니에 대한 사랑의 색만큼이나 붉디붉다.


흥미로운 점이 있다면 마리아는 영화의 후반부로 갈수록 붉은색과 푸른색을 혼용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토니는 여전히 푸른색의 연못에 머물러 있음을 볼 수 있다. 마치 토니가 가진 많고도 복잡한 카르마를 영화 내내 완벽하게 처리하지 못했음을 알려주는 것처럼 보인다.


영화 속 모든 사람들은 자신들이 결국은 벗어날 수 없는 운명 같은 색에 갇혀 울고 웃는다. 그들은 노래와 춤을 마치 이 힘든 시간을 견디기 위한 약처럼 남용하지만, 이 싸움을 스크린 너머로 지켜보는 관객들에겐 그저 탄성을 내지르게 하는 수단일 뿐이다.


마치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라 한 것처럼. 결국 이 아이러니는 나를 울게 했다.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사람들.;결국은 다름이 부른 참사.
사진 출처:다음 영화

의도적으로 스페인어는 자막을 달지 않았다고 영화가 시작하자마자 자막으로 새겨 박을 만큼. 영화는 한 쪽의 언어를 완벽하게 지워버렸다. 영어가 아닌 낯선 언어이기에, 간간이 들리는 이름과 뉘앙스 위에는 그 어떤 것도 정확하게 알아들을 수 없다. 단지 영화가 진행되는 흐름상 "추측"만 할 수 있을 뿐이다.


이 지점은 푸에트리코인들이 미국 시민들에게 어떻게 보이는지를 매우 정확하게 알려준다. 이민자이면서 동시에 말이 통하지 않는 사람들이기에 토종 미국인들에게 늘 배척당하기 일쑤다.


그렇기에 붉은색에 속한 사람들은 미국 시민으로 인정받기 위해, 동향 사람들끼리도 영어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자신들은 미국에 왔고, 정식으로 파란색 집단에 속하고 싶음을 드러낸다.


얼핏 보면 이민자 출신들만이 그런 인정받음에 목마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영화 속 등장인물들이 뉴욕이라는 곳에서 그 "인정"이라는 단어를 위해 싸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뉴욕 시민으로 인정받기 위해, 혹은 이 구역의 진정한 갱단으로 인정받기 위해. 또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의 가족이 되기 위해 모두 사력을 다하지만. 각자가 처한 그 경계는 매우 크고 넓어 아무리 마음을 먹어도 뛰어넘을 수 없다.


영화 속 모두는 자신들이 살고 있는 철거촌처럼 위태롭고 처량하다. 그들은 철거된 후의 멀끔하고 새로운 도시가 자신들의 미래라 믿어 의심치 않지만. 그들의 미래는 끽해야 보조금 몇 푼 손에 든 채 등 떠밀릴 뿐일 것이다.


이 기묘함은 영화 [기생충]과도 닮아있다.

당사자들, 그러니까 생존과 인정의 기로에 있는 사람들만이 죽자 사자 싸우고 있는 모습 말이다. 그들은 어딘가에 소속감을 느끼고 싶었고, 평온함을 원하고, 꿈이 있었지만. 결국 그 모든 꿈들은, 그러니까 영화에 나오는 모든 사람들의 닿을 수 없는 그 무언가는 그 다름을 품지 못한 반대편에 의해 말살되어 버린다.




스필버그의 숙원은 성공했는가.;영화를 받아들이게 하는 포인트마저도 사람마다 다를 것 같다.
사진 출처:다음 영화

스필버그의 숙원사업이었던 뮤지컬의 영화화는, 앞서 잠시 언급한 것처럼 위험 요소가 많았다.


첫 번째는 의심할 필요 없이 닳고 닳은 이야기의 재림에 있다.

로미오와 줄리엣 정도에 비유할 수 있는 두 주인공의 이야기가 불러오는 진부함은, 누군가에겐 영화관에서 하품을 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게 할 것이다.


눈과 귀가 즐겁다는 상투적인 표현 아래의 뮤지컬 영화라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물론 그런 행복감을 영화 내내 얻을 수도 있지만, 거의 모든 장면들을 음악으로 풀어내는 것 또한 몰입감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미 결말이 뻔히 보이는 영화를 보겠다고 앉아있는 내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울게 된 이유는. 아마도 이 명감독이 작품의 중심 메시지를 붙잡고 놓아주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보이지 않는 차별.

사회의 분열.

그리고 그것마저 잊게 하는 사랑의 힘.


다시 한번 감독의 집념과 순수한 열정에 대해 감사의 말을 전하게 되는 순간이다.




마치면서;엉엉.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이 영화가 왜 나를 울렸을까. 생각해 보았다.


아마도 내가 영화 속 사람들처럼 한 번쯤은 배척당했던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문득 그때의 나를 등장인물들과 비교해 보았다.


나는 그때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며 울부짖을 수 있을 만큼 그 상황에서 최선을 다했는지. 그 사람들 만큼 진심으로 그 문제를 부여잡고 있을 근성이 있었는지 말이다.


영화는 이렇게 치열한 삶 속에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삶의 어려움 속에서도 노래를 부를 베짱이 있는 모든 사람들.


그들의 모습은 대단하면서도 처연하다. 뮤지컬이 아닌데도 작은 박수와 환호를 그들에게 던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셈이다.




참고 1

스티븐 스필버그의 학사 졸업 논문이 무려 [쉰들러 리스트]였다고 알려짐.....어우야.



[이 글의 TMI]

1. 삼겹살 구워 먹음.

2. 후식으로 와플 먹음.

3. 다이어트? 몸무게 앞자리 바꿈. 훗.ㅋ

4. 두 주인공의 사랑 이야기는 뺐음.


카카오뷰도 있어욥.+_+


#웨스트사이드스토리 #안셀엘고트 #마이크파이스트 #스티븐스필버그 #영화추천 #최신영화 #브런치작가 #네이버인플루언서 #영화리뷰 






매거진의 이전글 그림자는 주인을 삼킬 수 없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