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글똥누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카멜리아 Jun 18. 2022

가끔은 빗겨앉고 싶을 때가 있다

존중의 첫걸음

사람들과 부대껴서 지내다 보면 가끔은 정면으로 마주 앉고 싶지 않을 때가 있다. 어느 해엔가 과천국립현대미술관에 간 적이 있다. 미술에 그다지 조예가 깊지 않기 때문에 마음에 와서 부딪히는 작품을 만나는 것은 참 어렵다. 그런데 그날은 신기하게도 내가 좋아하는 조소 작품전이 열리고 있었다. 그중에 긴 테이블에 마주 보고 앉은 두 사람을 형상화한 작품이 있었는데 서로 정면을 보고 앉은 것이 아니라 한 명은 오른쪽 끝에 한 명은 왼쪽 끝에 앉아있었다. 그리고 제목은 “가끔은 마주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다.”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작품을 본 순간 마음속 깊은 곳까지 그 작품을 만들었을 작가의 마음이 절절히 스며들었다. 그 상황이 선명하게 머릿속에 그려졌기 때문이다. 

살다 보면 순간순간 친구, 직장 동료들과 마주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다. 하물며 내 인생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가족들하고조차도 가끔은 거리를 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모두가 경험에서 알고 있듯이 ‘거리두기’는 나쁜 것만은 아니다. 내가 살아가는데 작은 ‘여유’를 주고, 그 여유가 ‘넓은 마음’으로 이끈다. 솔직히 항상 마주 앉아있을 때는 정면만 바라보지만 빗겨 앉게 되면 옆모습, 위, 아래 특히 마주 앉은 대상과 나와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우리를 둘러싼 공기의 흐름조차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럴 때 나는 나로 있으면서 함께 하는 상대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나를 분노하게 했던 것들로부터 천천히 해방되는 것을 느낀다. ‘나이’라는 물리적인 시간의 거리, ‘나이’와 함께 갖게 된 수많은 공간의 경험들로 인해 자연스럽게 된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소년과 두더지와 여우와 말, 찰리 맥커시] 중에서

“때로는 그저 일어서서 계속 나아가기만 해도 용기 있고 대단한 일 같아.” 찰리 맥커시의 [소년과 두더지와 여우와 말]의 한 구절이다. 바로 2년 전만 해도 그 뒤에 어떤 목표를 가지고 무언가를 도전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그저 일어서서’는 나와 너, 우리가 어우러져 살아가는 경이로운 작은 파동이라고 생각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곁길에 서있는 것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