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an Lee Feb 18. 2016

아기였던 기억

당신이 떠올릴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기억은 무엇인가?

자신이 아기였던 걸 기억하는 사람이 있는가? 아마 한 두 가지 큰 사건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그것도 대부분은 부모의 이야기나 사진, 동영상 등을 통해 재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내가 기억하는 2살 전의 일은 마루 밑에 있던 부엌으로 떨어져 엉엉 울었던 일이다. 아마도 엄마를 찾아 기어가다가 떨어졌던 것이리라.  그다음 기억은 훌쩍 지나가 5살 정도다.

왜 우리는 아기였던 기억을 하지 못할까? 유아기 두뇌의 빠른 성장에 필요한 비용으로 지불한 것이 아마도 그때의 기억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제 과학자들이 "유아기 기억상실증(infantile amnesia)"이라고 부르는 이 현상의 원인을 조금씩 밝혀내고 있는 중이다. 한 때,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그 원인을 영유아기의 성적 경험을 억누르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지금은 파기된 가설일 뿐이다. 보다 최근에는 아기들이 갖추기 시작한 자기인식, 언어 혹은 정신적 도구 등이 기억을 저장하기에 부족한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1]

토론토 아동병원(Hospital for Sick Children)의 신경과학자 폴 프랭크랜드(Paul Frankland)와 쉬나 조슬린(Sheena Josselyn)은 언어학적이나 자기인식 부족 등으로는 그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유아기 기억상실증은 꼭 사람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쥐나 원숭이도 영유아기의 기억을 잊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이 발견으로 동물과 사람의 유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새로운 이론은 어린 두뇌에서 수 많은 새로운 신경이 급속히 발생하기 때문에 오래된 기억에 접근이 차단된다는 것이다.

새로운 실험에서 과학자들은 어린 쥐와 성체가 된 쥐의 해마(hippocampal)에서 신경 성장률을 조절했다. 해마는 자전적인 사건을 기록하는 두뇌의 영역이다. 신경 성장률을 낮춘 어린 쥐는 장기 기억을 더 잘하는 현상을 보였다. 반대로 성체에서는 신경 성장률이 높아지면 기억상실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어린 시절 빠른 신경 성장이 이전 기억을 저장하는 두뇌 회로를 교란시켜 접근이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시사한다. 어린이는 전전두엽 피질(prefrontal cortex)도 덜 성장한 상태인데, 기억을 저장하는 또 다른 장소이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원인이 유아기 기억상실을 가져오는 이유로 제시되었다.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신경세포의 생성은 느려지고 해마는 기억 형성과 유지의 균형점에 도달한다. 물론, 여전히 우리는 많은 것을 잊어버리는데, 망각에는 순작용도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한 프랭크랜드는 삶의 슬픈 진실은 대부분 우리가 하는 일들이 지극히 평범한 것들이며 건강한 성인이 기억 기능을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벌어진 일들을 기억하는 것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잊어버리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마도 어릴 때 기억이 없는 것은 우리에게 잠자기, 울기, 기어가기 등을 기억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일 지도 모른다. 기억을 형성하고 선언된 기억을 언어적으로 떠올리는 능력은 24~36개월 경의 유아 발달기에 나타난다. 예를 들면, 3세 아이는 누가 물어보면 맥도널드에 갔던 것과 같은 자기 생에 있어 "중요한" 사건을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다. 물어보지 않더라도 아이들은 구체적인 사건과 자전적인 기억을 언어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2]

이처럼 두뇌가 완전히 재편되는 중요한 시기인 24~36개월이라는 시점과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시기가 중첩된다는 점은 흥미롭다. 많은 부모들이 이 시기까지 아이들이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다는 증언을 하고 있고 공교롭게도 백신 접종시기와도 맞물려 있기 때문에 뭔가 이 시기에 신경발달 과정에 문제가 되는 환경적 요인이 후천적으로 작용한 것이 자폐증이라는 의심이 꾸준히 제기되는 이유는 아닐까?



1. http://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why-can-t-you-remember-being-a-baby/

2. Sheena A. Josselyn and Paul W. Frankland, Infantile amnesia: A neurogenic hypothesis, Learn. Mem. 2012 19: 423-433)

매거진의 이전글 생물학적 신호처리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