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잇다 itdaa Sep 26. 2020

코로나가 바꾼 세상, 홈쇼핑은 어떻게 변할까?

안녕하세요. 멘토님. 코로나로 비대면 서비스가 활발해지는 것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한 뉴스에서는 상품 한 박스가 아닌 단품 한 개도 집 앞으로 배송해 주는 서비스가 있다고 하고요.  


©️Morning Brew

멘토님. 유통산업은 앞으로 어떤 흐름으로 발전할까요? 그 상황에서 홈쇼핑과 인터넷 사이트, 오프라인 배송 등 물건 판매는 어떤 전략들을 계획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멘티님. 질문 주신 내용은 사실 현재 현업에서도 굉장히 핫 이슈입니다. 코로나로 고객들의 소비패턴이 크게 변화면서 이런 고객들의 니즈를 어떻게 충족 시켜 매출로 연계할지가 업계의 고민이지요.  

제가 답변을 드리는 순간에도 계속 화상회의를 통해서 어떻게 하면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지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멘티님께서 주신 질문에 대해서 현업에서는 실제로 어떤 변화들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말씀드릴게요. 


©️Brooke Lark


1. 코로나로 인해 유통산업은 어떤 흐름으로 변화될 것인가?


이 질문은 실제로 많은 분들이 체감하고 있을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제일 많이 사용하게 된 용어는 바로 비대면, 언택트 이렇게 두 가지 키워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말 그대로 저 두 가지 방식을 모든 유통업계에서 강화하고 있지요. 작은 예를 들면 오프라인 유통업계들은 계산을 하는 방식을 대면에서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하여 비대면으로 변경하였고, 매장에 고객들이 방문이 줄면서 배송서비스를 강화하였습니다. 이 배송서비스를 좀 더 발전 시킨게 새벽배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직 전국 단위로 시행되기는 어렵지만, 서울, 수도권의 경우는 실제로 24시간 이내에 새벽 배송의 형태로 배송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 중에서도 가장 큰 변화는 바로 신선식품에 대한 새벽 배송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그동안 오프라인 유통이 온라인 유통에 비해서 가장 강했던 분야가  바로 이 신선식품입니다. 신선 식품은 말 그대로 신선도가 생명이기 때문에 기존 배송시스템으로는 고객들의 만족도를 맞출 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와 마켓**같은 회사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이런 신선식품에 대한 배송도 새벽배송이라는 형태로 온라인 유통이 점점 ms를 차지하고 있지요.  


그러다 보니 오프라인 유통은 크게 세 가지 방법을 취하게 됩니다. 

1. 온라인이 할 수 없는 volume을 무기로 많은 양을 매입해서 더 저렴한 가격을 형성하는 것, 산지 직송을 개발하여, 산지 밭과 현지에서 체결하여 신선도도 상승시키고, 매입 단가를 낮추는 방식을 집중하게 됩니다.


2. 온라인 유통처럼 배송 서비스를 강화합니다. 실제로 오프라인 유통들도 현재는 서울, 수도권 한정으로 새벽 배송 서비스를 진행하는 곳이 생기고 있습니다.  여기서 멘티님이 질문하신 것처럼 배송에 대한 시간이 단축된 것 뿐만 아니라 조금 더 소분화 된 양도 배송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3.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예를 들면 L대기업은 최근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업부를 하나로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오프라인 유통들은 대부분이 대기업이기 때문에 당연하게 온라인몰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업부로 나뉘어 같은 그룹임에도 각개전투를 하고 있던 것을 하나로 합쳐서 시너지를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요.  옴니서비스 등이 이런 것이 합쳐지면서 발생 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정리하면 위에 1, 2, 3의 방식으로 미래의 먹거리인 신선식품 분야에 더 힘을 집중하고 있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Morning Brew


2. 홈쇼핑의 변화

저희 자사에 대한 질문을 해주셨는데, 통합적으로 홈쇼핑의 변화는 어떻게 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1. 홈쇼핑 방송 상품

홈쇼핑 방송도 코로나로 인해서 굉장히 많은 변화를 했습니다. 상품의 카테고리가 많이 변화했습니다. 우선 코로나 이전에 홈쇼핑은 패션, 이미용 상품들이 굉장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는데요. 코로나로 인해서 패션과 뷰티 이미용 분야에 대한 고객들의 니즈가 줄어들고, 자연스럽게 건강식품, 식품, 생활필수품 등에 대한 매출과 비중이 많이 늘었습니다.  

건강식품은 고객들이 면역력에 대해 관심이 늘면서 많은 매출과 비중이 늘어났고, 식품에 대해서는 재택근무, 비대면 등으로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같이 늘었습니다. 생활필수품도 같은 이유로 증가했고요. 이처럼 고객들이 생활패턴이 변화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소비패턴이 변화했고, 이에 홈쇼핑 방송 상품도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2. 배송 서비스

홈쇼핑은 각 회사마다 다르지만, 당일배송이 안되는 구조였습니다. 하지만 일부 홈쇼핑에서는 비대면, 코로나등의 상황으로 당일 배송 서비스를 수도권에 한하여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온라인에서만 가능하던 것이 홈쇼핑에서도 가능해졌습니다. 이런 것들이 배송서비스에서는 큰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앞으로의 전략 


1) 신선식품의 강화

홈쇼핑은 이런 비대면 상황에서 온라인만큼은 아니지만, 매출이 성장했습니다. (중략)



<코로나 시국 바뀐 트렌드, 지금 잇다에서 현직자에 조언을 여쭈세요>



©모든 저작권은 해당 콘텐츠 제공자 또는 해당 콘텐츠 제공자와 잇다가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콘텐츠의 편집 및 전송권은 잇다가 가지고 있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현직자 멘토가 전하는 번역가의 장단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