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랑쓰 Jun 21. 2024

팀장은 실무를 해서는 안된다

처음 팀장이 된 분들의 경우 의욕 넘치게 매니징과 함께 실무를 하려고 한다. 여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팀장이 되기 전에 그동안 해왔던 실무에서 아예 손을 놓기에는 불안하기 때문이다. 또하나의 이유는 팀원들에게도 "아직 난 안죽었다" 하는 것을 보여주고 싶은 모습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인의 경력도 아예 놓쳐 버릴까봐 하는 불안감도 이유 중 하나이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팀장으로서의 본인의 역량을 100%보여주고 싶다면 팀장은 절대 실무를 해서 안된다. 실무 말고도 팀장으로서 해야 할 중요할 일들이 정말 어마어마하게 많다. 

팀장은 실무를 하기보다는 팀원들이 일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도와주어야 한다. 팀장은 계속해서 팀원들과 1 on 1과 커뮤니케이션 장치를 통해서 끊임없이 소통해야 한다. 팀 내에서 팀원 간의 충돌이 생길 경우에는 그것을 중재해주고 필요한 의사결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야 한다. 팀 외부 사람들과도 활발히 네트워킹하여 외부 자원들을 팀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ech 기업에 있는 분이라면 매니징만 하기에는 커리어가 불안하다거나 팀원들에게 기술적인 피드백을 주지 못할까봐 걱정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팀장이 된 이상 당신의 성과는 '개인의 성과'로 평가받지 않는다. '팀의 성과'로 평가받게 된다. 팀장은 팀원들에게 세세한 기술적인 가이드를 주기 위한 존재가 아니다. (그런 사람들을 팀장이라고 정의하는 회사도 종종 있지만 나는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라고 본다. 팀장 역할의 핵심은 '매니징'이다) 팀장은 팀이 더 일을 잘 할 수 있기 위해 계속해서 윤활유를 칠해주는 존재이고, 때때로 통찰력있는 좋은 질문들을 팀에게 던져서 실무자들이 빠지기 쉬운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니징' 역할이 본질이다. 


한국에는 이런 '매니징'에 대한 일을 저평가 하는 분위기가 있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인간관계를 다루는 '매니징'은 정말 그 무엇보다도 힘든 일이며 그걸 가운데에서 조정해줘야 하는 팀장으로서는 정말 정신없는 하루를 보내야 한다. 만약 당신이 매니징을 하면서도 "조금 여유가 남는데 실무를 해볼까?"라는 생각이 든다면 매니징을 소홀히 하고 있거나 잘못하고 있는 것이다. 실무를 하지말고 팀원들의 관계와 팀이 해야할 일들에 집중하라. 그리고 당신의 팀과 다른 팀, 그리고 회사간의 첨예한 갈등과 대립 또는 협업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 

작가의 이전글 면접에서 말 못한다면 외국어 회화능력은 이력서에 빼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