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준규 Jace Shim Oct 20. 2016

누구를 위한 더블 포인트인가

더블 포인트가 구매전환을 유도한다???

매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다 보니 '더블 포인트' 프로모션이 한 축을 차지한 것을 보았다.

언제 적 '더블 포인트'인가 생각이 들면서 이 더블 포인트에 대한 유효성에 대해 생각해 본다.


이커머스 및 고객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한 상점 시스템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프로모션 중 하나가 더블 포인트 적립이다. 10년 전 유통사에서 마케팅실에서 근무하며 프로모션 안을 짤 때면 꼭 빠지지 않는 것이 더블 포인트(마일리지) 적립이었다.


저자 입장에서는 마케팅 기획안의 한 줄 채우기로, 안 쓰자니 아무것도 안 하는 것 같고, 쓰자니 쓰면서도 찝찝한 그런 프로모션이었다. 마케터로서 큰 효과가 없는 프로모션임에도 해당 제품을 알리는 광고 문구와 배너 제작에 무언가를 하나 보여주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차라리 조금 더 고민하고 고객을 생각한다면, 고객이 반응하고 감동을 줄 수 있는 프로모션을 구상하고 기획해야 하는데, 너무나 빨리 그리고 쉽게 접근하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 Image source from : www.keepcalm-o-matic.co.uk )

1. 고객이란 페르소나를 벗어나서 바라본다

마케터들이 흔히 범하기 쉬운 오류가 '고객'이란 페르소나에서 출발을 한다. 물론 고객이란 페르소나는 꼭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어떠한 고객'인지 정의가 필요하다. 고객이기에 필요하지 않은, 감동적이지도 않은 프로모션에 반응하고 그것을 스스로 만족해서 입소문을 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엄청난 사고의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고객이 진정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고객의 입장에서 제공하려는 서비스 및 프로모션이 과연 만족할 만한 것인지 한 번 더 생각해 보아야 한다. 스스로가 고객이 되었을 때 과연 그것에 대해 만족하고 더 나아가 감동할 수 있는 것인지를 말이다.



2. 포인트 적립이 과연 구매행동을 결심하게 하는가

'더블 포인트'를 주요 구매 프로모션으로 내세우는 마케팅 다당자에게 자신이라면 과연 포인트 적립을 두 배 준다고 하면 구매를 하게 되는지 되묻고 싶다. 물론 고객 입장에서 포인트 적립은 메리트 있는 부분이다. 고객을 재방문시킬 여지를 남기고, 또한 고객이 지불을 하는 시점에서 무언가 금전적으로 이득을 보고 쌓아 둔 것이 있게 한 심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러한 두 배의 포인트 적립이 과연 구매 결정을 이끄는지는 보다 냉정히 생각해 보아야 한다.  



3. 반응률은 과연 고객이 제공된 오퍼(Offer) 때문에 반응한 반응률인가

일부 마케터들은 '더블 포인트'에 대한 고객 반응률을 갖고 이야기를 한다. 몇%의 고객이 이 프로모션에 반응했고, 그 대상금액은 얼마입니다. 과연 이 반응률이 포인트 제도에 의해 구매가 일어나게 된 것인지 묻고 싶다. 

그 금액은 해당 프로모션이 없더라도 발생할 수 있었을 것이다. 즉, 비교 대조군을 제외한 해당 기간 내에 구매 적립이 된 고객을 대상으로 해당 프로모션의 유효성이 있음직 하게 포장하는 래핑( Wrapping)은 사라져아 할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앱 푸시(Push Notification) 마케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