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de in x Oct 23. 2020

영화 '시크릿가든'엔 어른보다 용감한 아이들이 있다

[영화 리뷰] 영화 '시크릿가든(2020)

풀 한 포기의 질긴 생명력에 위로받는 날이 있다. 말 못 하는 동물의 온기가 백 마디 말보다 나은 날이 있다. 때때로 자연은 인간을 치유한다. 그 힘에 이끌려 아름다운 정원을 묘사한 영화 ‘시크릿 가든’을 선택했다.



영화 ‘시크릿가든’


‘시크릿가든(2020)’은 미국의 소설가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의 ‘비밀의 화원(1911)’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전염병으로 부모님을 잃은 소녀 ‘메리(딕시 에저릭스)’가 이모부 ‘아치볼드(콜린 퍼스)’의 대저택에 오게 되고, 숨겨진 비밀의 정원을 찾으면서 생기는 일을 다룬다. 그리고 ‘아치볼드’의 아들이자 ‘메리’의 사촌 ‘콜린(이단 헤이허스트)’과 또 다른 친구 ‘디콘(아미르 윌슨)’ 우정을 쌓아가는 내용이다. 국내에서는 ‘해리포터’의 시각 효과 전문가들이 참여한 점과 ‘킹스맨’으로 유명한 ‘콜린 퍼스’의 출연으로 화제가 되었다.


https://tv.kakao.com/v/v5d16Zk0wi0ZZGbQPZfrwQk



소설 '비밀의 화원'과 영화'시크릿 가든'


잘 알려진 소설을 영화로 제작할 경우, 탄탄한 줄거리와 유명세를 활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위험부담도 따른다. 소설을 아는 사람은 자연스럽게 영화와 비교하면서 보게 된다. 글로 읽을 때 상상력으로 채웠던 부분이 화면과 다르게 구현될 경우 아쉬움이 생길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제작자는 등장인물과 배경 정도 유지한 채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지, 원작을 그대로 화면 구현할지 결정해야 한다.


‘시크릿가든’의 선택은 전자에 가깝다. 소설의 4 번째 리메이크 영화라는 점에서 어쩌면 당연한 선택이다. 판타지 장르를 강조했고 굵직한 설정부터 세부사항까지 수정했다. 예를 들어 소설 원작에서 핵심이 되는 동물이 울새였다면, 영화에서는 주인 잃은 강아지가 등장한다. 아이들이 만나는 순서가 조금씩 다르다거나, 저택에서 일하며 ‘메리’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마샤(아이시스 데이비스)’의 비중이 크게 줄었다.


가장 큰 차이점은 비밀의 화원의 모습이다. 소설에서 비밀의 화원은 현재는 황폐하지만, 가능성을 품은 공간이었다. 그곳에서 상처 받은 아이들이 메마른 정원에 씨앗을 심고 새싹을  가꾸며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을 그린다. 아이들은 정원의 변화에 맞춰서 가랑비에 옷이 듯 조금씩 바뀐다. 반대로 영화는 ‘메리’가 저택에 숨겨진 아름다운 정원을 발견하고 아이들이 모르고 있던 부모님의 사랑을 깨닫는 과정을 그린다. 세 아이를 연결하는 부분도 정원이라는 공간보다 사랑하는 부모님을 떠나보낸 아픔이다.


제가 직접 그린 인물관계도 입니다


이런 설정은 영화의 양날의 검이라고 생각한다. 제작진들은 정원을 활용해서 화려한 영상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푸르른 숲과 다채로운 색감의 꽃은 눈을 즐겁게 한다. 인물의 감정 변화에 따라 식물이 피고 지는 모습만 봐도 이 영화가 얼마나 화면에 공들였는지 알 수 있다. 정원뿐만 아니라 물, 빛, 불이라는 요소를 시각적으로 극대화해서 이야기에 영향을 주도록 활용했다.


정원이 색을 입자  아이들은 색을 잃었다. 특히 ‘마샤’의 동생 ‘디컨’은 영화에서 굳이 필요 없는 존재가 되었다. 원래 소설에서 ‘디컨’은 마을의 사람이라면 누구나 인정할 만큼 넓은 마음을 가진 인물이자 자연에 능숙해서 정원 관리를 적극적으로 돕는 역할이다. 초반에 ‘마샤’의 이야기로만 드러나며 ‘메리’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그런데 영화에서 ‘마샤’의 비중이 줄어들고 완벽한 정원이 생기면서 그의 가장 큰 매력을 잃었다.


‘메리’는 어른의 아픔을 이해하는 성숙한 아이가 되어야 했다. 정원 관리가 빠진 영화 줄거리에 돌아가신 어머니의 사연이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메리’는 전쟁으로 부모님을 따라 인도로 갔으며 어머니의 무관심 속에서 성장했다. 전쟁이 마무리되고 전염병이 퍼져서 부모님을 모두 잃는다. 그리고 영국의 대저택에서 아빠의 과거 대사 회상이나  우연히 발견한 편지로 인해 엄마가 무관심한 이유를 깨닫는다. 엄마의 부족한 행동을 자매(메리의 이모) 잃은 아픔으로 정당화하고 아직 어린아이가 엄마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상황은 모순적이다. 어른의 관점에서 쓴 아이의 이야기라는 느낌이 든다.



당신은 용기내고 있나요?


소설과 영화가 다르지 않은 부분은 아이들의 용기이다. 굳게 닫혀 있던 문을 열고 대담하게 비밀의 화원에 들어간다. 울새의 도움으로 열쇠를 찾는 소설과 달리 영화에서는 ‘메리’가 비밀의 화원으로 가기 위해 담장을 넘으며 훨씬 적극적으로 표현된다. 신비롭고 웅장한 노래와 함께 아름다운 색감의 정원을 뛰어다니는 아이들의 모습에 저절로 벅찬 감정이 든다. 아이들은 흙 속에서 구르고 넘어져도 다시 일어나서 뛴다. 친구들과 다투고 언제 그랬냐는 듯 화해한다. 다시 말해서 상처 받아도 다시 도전하고 자신의 마음을 솔직히 털어놓을 용기가 있다.


소설부터 이어진 아이들의 용기는 저택의 주인 ‘아치볼드’가 자신의 과거를 되돌아보게 한다. 그동안 문을 닫고 숨겼던  비밀의 정원에 들어온 ‘아치볼드’는 이렇게 말한다.


어른이 아이들한테 배움을 얻게 되다니. 미안하다. 정말 미안해.


우리에겐 마음껏 뛰어 놀 정원은 없지만, 영화를 보고 마음속 비밀의 정원을 떠올려보면 어떨까? 당신에게 그곳에 들어갈 용기가 충분히 있으리라 믿는다.


제가 좋아하는 책과 관련된 영화라서 글을 써봤어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