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빛날 Oct 25. 2023

우리 아이 언제쯤 기저귀 떼기 가능할까?

엄마의 조급한 마음 버리기

아이가 5살이 되니 마음이 조급해졌다. 다른 집 엄마들은 3살 때부터 아이를 사립, 공립, 국립, 병설, 영어 유치원 중 어떤 유치원으로 입학시킬지 고민한다는데, 나는 유치원에 보낼 생각조차 할 수 없었다. 


어떤 아이는 3살에 기저귀를 떼고, 어떤 아이는 5살에 뒤처리까지 깔끔하게 한다는데, 우리 아이는 아직 기저귀 떼기 임무를 완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린이집은 보육과 교육을, 유치원은 교육을 위주로 운영한다. 기저귀를 떼지 못한 우리 아이가 교육의 중심인 유치원에 입학한다면 잘 적응할 수 있을까? 11월 끝 무렵에 태어나 또래 아이들 사이에 있으면 체격이 작고, 행동이 어리게 느껴지니 엄마로서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어린이집에 가면 선생님의 목을 끌어안고, 얼굴에 뽀뽀하는 꼬꼬마를 둔 엄마인 나의 선택은 다른 고민 없이 보육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기존 어린이집에 그대로 다니는 것이었다. 그래도 마음이 불편하기는 매한가지다. 4살 반에서 5살 반으로 진급한 친구들을 보니 기저귀 떼기를 완료하지 못한 아이는 15명 중 우리 아이를 포함하여 단 둘 뿐이었다. 민망함과 함께 담임 선생님께 죄송한 마음이 컸다. 


"이제 기저귀 빠이빠이 할까? 기저귀가 필요한 동생들에게 주면 어떨까?"

"기저귀 오래오래 하고 싶어요. 기저귀 좋아요"


어쩌다 한 번씩 물어보면 아이는 단호하게 싫다고 말했다. 한 번 하기 싫다고 하면 절대 하지 않는 아이, 한 번 먹기 싫다고 하면 절대 먹지 않는 아이. 우리 아이는 심지가 아주 굳은 아이였다. 기저귀 떼기가 너무 늦는 건 아닐까 불안한 마음이 전혀 없는 건 아니었지만, 난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며 아이가 마음의 준비를 할 때까지  기다리기로 했다. 


성장과 발달은 아이마다 다 다르고, 뭐든지 때가 있는 법이다. 우리 아이에게는 기저귀 떼는 시기가 아직 오지 않았다고 생각했다. 






어느 날 대학 동기 모임에 나갔다가 뼈 때리는 말을 들었다. 아들이 5살이나 되었는데, 아직도 기저귀 떼기를 완료하지 못했다고 말하자 가만히 듣고 있던 친구가 한마디 했다. 


"래몽이는 이제 43개월이잖아. 아직 아기야. 주변에 초등학교 1학년 아이들 봐봐. 기저귀 차고 학교 다니는 아이 있어? 학교 가기 전까지만 떼면 돼. 래몽이를 믿고 기다려줘." 


친구의 말을 들으니 막혔던 속이 뻥 뚫리는 기분이 들었다. '그동안 나는 아이를 믿고 기다린다고 말했지만, 속으로는 내내 마음을 졸이고 있었구나' 생각하니 부끄러웠다. 






그날 저녁, 잠자리에 들기 전 화장실에 다녀온 아이에게 기저귀를 채우는데(여름이라 낮에는 팬티를 입혀 생활하고, 저녁에는 기저귀를 채우고 재웠다.), 자주 읽어줬던 <콧구멍을 후비면>이라는 책이 번뜩 생각났다. 


이 책은 코를 계속 후비면 한쪽 콧구멍이 점점 커져서 짝짝이 되고, 배꼽을 계속 만지면 구멍이 뻥 뚫리고, 손가락을 계속 빨면 엄지손가락이 엄청나게 커지는 이야기이다. 아이가 바른 습관을 들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책인데, 엄마가 과장되게 읽어주니 아이가 자주 들고 와 읽어달라고 했었다. 


"래몽아, 콧구멍을 후비면 책 기억나? 코를 계속 후비면 콧구멍이 엄청나게 커지는 이야기 책 말이야. 기저귀를 계속 차고 있으면 고추가 되게 되게 답답할 것 같아." 

"기저귀 안 할래요. 동생 주세요."


기저귀를 입히며 지나가듯 아이에게 딱 한마디만 했다. 그런데 아이는 바로 기저귀를 벗겠다고 하는 것이 아닌가? 이렇게 쉽게 기저귀를 포기하다니 어안이 벙벙했다. 아이 안에 어른이 들어있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너무 쉽게 기저귀 떼기를 해내니 허무하기 짝이 없었다.






그렇다고 단번에 배변 훈련이 끝난 것은 아니다. 놀다가 쪼그리고 앉아서 쉬를 하고, 자다가 이불에 세계 지도를 그리는 일이 많았다. 하지만 나는 단 한 번도 아이에게 화를 내지 않았다. 속으로는 열불이 터졌지만, 아이에게는 표현하지 않았다. 배변 실수를 한 아이가 엄마보다 훨씬 속상하고, 민망할 것이다. 


"아이라면 누구나 그럴 수 있어. 시간이 지나면 점점 실수를 덜하게 될 거야. 엄마도 아기 때는 그랬어. 괜찮아."

"쉬하면 닦으면 되고, 이불은 빨면 되니까 걱정하지 마."






5살까지 기저귀 떼기를 하지 못해서 엄마 속을 태우던 아이는 올해 초등학생이 되었다. 친구의 말대로 초등학교에 들어가 보니 기저귀를 하고 다니는 학생은 단 한 명도 없었다. 


말이 느린 아이는 언젠가 말하는 법을 배우고, 걷는 게 느린 아이도 결국엔 걷는 법을 배운다. 기저귀 떼기 또한 마찬가지다. 엄마가 불안한 마음을 내려놓고, 조바심을 내지 않으면 결국 아이는 발달 과업을 이루어낸다. 


다른 집 아이와 우리 아이를 비교하며 엄마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아이를 다그칠 수밖에 없다. 엄마의 불안한 마음은 아이에게 그대로 전달된다. 우리 아이가 조금 늦더라도 언젠가는 해낼 거라는 믿음을 가졌으면 좋겠다. 


엄마에게 여유가 있어야 아이의 마음을 헤아리고 다독여줄 수 있다. 육아는 꼭 완벽하게 수행해야 하는 과제가 아님을 알았으면 좋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우리는 엄마가 되는 법을 배운 적이 없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