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은 보안의 만능수단?
암호 화폐 시리즈 1탄 블록체인 이야기
학교로 돌아온 요즈음 많은 친구들이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 없이 그냥 블록체인을 보안의 만능 수단으로 인지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많은 팀플 발표에서 보안에 대한 제언이 블록체인 도입! 이라고 써 놓고 끝 인 경우가 많이 있다.
아마도 이는 블록체인이 변조 불가능하다! 라는 속성만이 홍보되어 있다 보니 단순히 블록체인이라는 것이 안전하다 라는 선입견 그 한가지만 가지고 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모든 Transaction이 공개되고 기록되는 것이 블록체인의 기본 속성인데 개인정보 보호를 블록체인을 활용해서 한다고 하는 것에 놀란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사실 나도 블록체인의 기술에 대한 전문가는 절대 아니다. 다만 나 역시 문과 이면서 비트코인 기업 창업을 했던지라 알기 쉽고 짧게 설명해 보고자 한다.
사실 블록체인을 한마디로 쉽게 이야기하면 거의 집단지성, 다수결과 같은 개념이다. 어떠한 한 거래가 발생하면 이를 블록화하여 모든 네트워크 참여 중인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 51%가 타당하다고 여기면 그 거래는 성립되는 그런 방식의 시스템 되시겠다.
기존의 은행의 시스템의 경우 한 시스템에 집중해서 모든 거래가 구성된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그 중앙 통제하는 컴퓨터가 없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컴퓨터가 분산해서 검증을 시행한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그림이 사실 가장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기존의 은행 거래나 지불 거래의 경우는 은행, 카드사 등의 중앙 시스템으로 거래 내역을 전송하고 확인받는 구조로 시스템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중앙 시스템 구축, 유지에 매우 많은 자원이 투입되어야만 하며, 중앙 시스템이 해킹될 경우에는 해당 시스템 모두가 위험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반면 블록체인 시스템의 경우 어떠한 거래가 발생하면 이를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참여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 51%의 검증이 완료되면 거래가 완료된 것으로 보게 된다. 그래서 어떤 중앙의 큰 서버 유지비용이 필요하지 않고, 해킹을 하려면 51%의 컴퓨터를 해킹해야 하므로 사실상 뚫어내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보안성이 높다고 하는 것이지, 움직이는 거래를 숨기기 위해서 블록체인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로 블록체인 시스템 상의 모든 거래는 공개되어 있다고 보아야만 한다. 그런데 이것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모든 자료를 블록체인으로 바꾸어야 한다 라는 식으로 말하는 것은 블록체인이 가진 속성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그냥 하는 말이 되는 것이다.
블록체인을 전자화폐 이외의 용도로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오래전부터 공증 시스템등이 논의되고 있다. 현실에 더 많은 아이템들이 등장하여 오해나 오류를 바로잡아 주기를 바라며 오늘의 짧은 글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