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스팀잇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yden Mar 18. 2018

블록체인은 본질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과정에 대한 보상과 그 보상의 개방성이다.

블록체인은 본질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과정에 대한 보상과 그 보상의 개방성이다. 블록체인은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 중 하나일 뿐이다.


개인적으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현상과 이슈의 본질을 파악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00% 파악하지 못하거나 낮은 지식으로 인해 잘못 파악할 때도 많지만 말이죠.

스팀잇의 시도와 그 시도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본질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글에 정리된 내용('스팀잇의 사례로 본 가상화폐와 CRM' @jayden.yoo)을 통해, 저는 스팀 백서 제일 첫장, 표제부에 적혀 있는 문구를 공유한 바 있습니다.


Steem  

An incentivized, blockchain-based, public content platform.     

위의 문장으로 보건데,

스팀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인센티브화된

공개 컨텐츠 플랫폼

입니다. 잔가지들을 제거하고 읽어보면, 스팀은 공개 컨텐츠 플랫폼입니다. 그 공개 컨텐츠 플랫폼이 잘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 그들만의 철학을 담아 만든 기준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공개 컨텐츠 플랫폼인 것이죠. 그리고 그 인센티브의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적, 경제적 장치가 바로 블록체인이 되는 것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야기하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이야기가 바로 탈중앙화입니다. 기존의 중앙집권화된 정보 권력을 분산시킴으로서 투명하고 자율적인 생태계를 마련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스팀잇 이라는 서비스 관점에서 본다면, 블록체인을 통한 탈중앙화라는 선택지를 고름으로 인해 필수불가결하게 발생하게 되는 치명적인 이슈이자 단점들이 존재합니다.


바로, 잊혀질 권리의 비보장과 정보 관리 책임 소재의 불분명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는 임의로 삭제되고 변경되기 어렵습니다. 또한 공개적으로 운영으로 되기 때문에 누구나 그 기록을 확인하고 검토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 계속 이슈가 되고 있는 잊혀질 권리에 대한 보장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사실상 없죠. 또한 (그럴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에 수렴할 것으로 판단되나) 예기치못한 사유로 블록체인에 관여하고 있는 다수의 서버가 그 역할 수행을 중단한다고 하였을 때, 그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던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권리는 박탈 당하게 됩니다.


인센티브화된 공개 컨텐츠 플랫폼, 꼭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여야만 할까요?


위와 같은 관점에 컨텐츠 플랫폼은 '컨텐츠 플랫폼'이라는 본질적 특수성 때문에 탈중앙화된 방식보다 중앙화된 정보 관리 방식이 서비스의 정상적 유지를 위해 보다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충분히)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스팀(잇)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을까요?


스팀 백서를 통해 보면, 그들은 스팀을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은 벤처 기업의 성장에 기여한 모든 사람들이 기여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지분, 현금 혹은 차입금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원칙은 모든 벤처 기업들의 설립 및 유상 증자 시 적용되는 주식 배분 원칙과 동일하다고 말입니다.


하지만, 결국 기업의 성장에 기여한 모든 사람들이 기여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지분, 현금 혹은 차입금을 받기 위해서는 그 재원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그동안 기업은 이를 위해 IPO라는 방식으로 주주를 모으고, 자본을 확보하였습니다. 하지만 자본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이 생긴것이죠. 바로 가상화폐입니다. ICO를 통해 가상화폐를 발행하고 거래소에 상장시킴으로써 가상화폐의 순환가치가 발생하고 자연스레 자본이 확보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확보된 재원을 통해 기업을 기업의 성장에 기여한 모든 사람들에게 그 기여도에 따른 보상을 지급할 수 있게 됩니다.


제가 스팀과 스팀잇을 통해 지켜보고 있는 것은 블록체인의 미래가 아닙니다. 제가 지켜보고 있는 것은 바로 서비스 이용자로서의 권리에 대한 사상의 변화입니다.


그 동안 현실 세계의 서비스들은 결과에 대한 보상만을 가지고 이야기해왔습니다. 하지만 점차 Sweat Equity에 대한 생각들이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단순히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투자된 자본, 그리고 생산된 컨텐츠로 발생된 눈에 보이는 수익, 이익 뿐이 아니라, 그 컨텐츠가 생산되고 큐레이션되는 이용 과정에 대한 보상을 이야기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콘텐츠 생산과 큐레이션에 쏟은 시간과 노력도 충분히 가치가 있고 보상받아야 한다는 것이죠.

과정에 대한 보상이라는 개념은 비단 소셜 블로깅 서비스에만 국한되어 적용되진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접하고 있는 모든 산업/서비스 분야에 있어서 앞으로 점점 더 Sweat Equity 에 대한 이슈가 대두될 것이고, 기업은 기업의 영속을 위해 그 Sweat Equity 에 대한 보상을 어떻게 지급할 것이며, 그 재원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기존 처럼 그냥 포인트, 마일리지를 지급하면 되는 것 아니야?


기존의 포인트, 마일리지는 특정 제휴처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폐쇄형 리워드**라는 성격 때문에 그 가치의 한계가 존재해왔습니다.


그럼 그냥 돈으로 주면?


기존의 포인트, 마일리지가 폐쇄형 구조로 설계된 이유는 기업이 이용자에게 지급한 보상이 그대로 외부로 빠져나가 기업의 지속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고 바로 비용이 되기 때문입니다. 폐쇄형으로 묶어두면 고객에게 지급한 보상이 다시 기업 내의 서비스 이용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지속 이용의 순환 고리를 만들 수 있다는 생각에서 였죠. 따라서, 그냥 현금으로 즉시 보상을 지급하는 행위는 기업 입장에서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럼 어쩌라는 거야?


그렇기 때문에 스팀의 보상 경제 시스템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중요한 것입니다. 고객에게 기여도에 대한 적절한 보상(스팀달러)을 지급하면서 그 보상이 개방형 거래(스팀)가 가능하고, 커뮤니티의 지속 성장을 위한 도구로 전환(스팀파워)되면서 기업이 즉시 지급해야할 비용이 부채로서 자산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 이용자는 커뮤니티(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자발적으로 커뮤니티(기업)에 이익이 되는 일을 해야하는 신용협동조합의 조합원으로서의 의무. 그것들을 어떻게 발전시켜 현재 러닝하고 있는 산업(서비스)에 적용할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고, 적극적이고 실험적인 경제 시스템 설계와 실행에 대한 챌린지를 받게 될 것입니다.


저희는 그 챌린지를 미리 대비해야할 것입니다. 


✔︎ @jayden.yoo 스팀잇 보러가기

✔︎ @jayden.yoo 추천으로 busy.org 시작하기




제이든입니다. 

고객 관계 관리(CRM) 관련 업무를 해오고 있습니다. 현재는 카카오뱅크에서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고객의 가치를 이해하고 증대시키는 방법을 찾기 위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블록체인, 토큰 이코노미, 머신러닝, 마케팅 자동화, 구글 Colaboratory, 중국의 테크 비즈니스,  애그테크(AgTech)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라이킷, 댓글, 공유하기 그리고 구독하기는 제가 글을 쓰는 데 큰 동기 부여가 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