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경영로스팅 Dec 18. 2024

예술과 디지털 사이, 프랑스 만화

프랑스에서 만화는 단순한 오락물에서 벗어나 예술의 한 장르로 자리 잡았습니다. 《땡땡(Tintin)》과 《아스테릭스(Astérix)》 같은 작품은 단순히 재미를 넘어 문학적 가치와 예술적 깊이를 인정받으며, 프랑스 만화를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들었습니다. 컬러 양장본, 정교한 서사, 그리고 섬세한 시각적 완성도는 프랑스 만화를 독창적인 문화적 자산으로 발전시켰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은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와 젊은 독자층의 소비 방식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며 점차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예술적 자부심은 여전히 빛나지만, 새로운 흐름에 동참하지 못한 프랑스 만화는 시장에서 점차 뒤처지고 있습니다.


프랑스 만화는 디지털화의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출판사들은 여전히 종이책 중심의 유통 모델을 고수하며 디지털화에 소극적입니다. 프랑스 디지털 만화 시장 점유율은 약 5%로 추정되며, 이는 일본의 약 70%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입니다. 디지털화 지연은 프랑스 만화가 젊은 독자층과의 연결을 점차 잃게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즈네오(Izneo) 플랫폼은 디지털화의 중요한 시도로 평가되지만, 사용자 경험(UX)과 작품 라이브러리 확보에서 한계를 보였습니다. 현지 출판사들도 오렌지 팩토리 같은 웹툰 플랫폼을 시작했으나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반면, 한국계 델리툰과 네이버는 프랑스어 서비스를 통해 디지털 만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만화 작가들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창작 활동을 이어가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2020년 발간된 라신 보고서(Rapport de Bruno Racine)는 프랑스 만화 작가들을 포함한 예술가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적나라하게 드러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프랑스 만화 작가의 약 53%가 빈곤선 이하의 수익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이는 창작 활동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하고 있습니다. 라신 보고서는 예술가들의 법적 지위 강화, 출판사와 작가 간의 불균형 관계 개선, 정부의 규제 역할 확대, 사회보장 제도의 개선, 작품 소비 및 유통 데이터 접근성 확대, 그리고 웹 플랫폼의 투명성 제고를 주요 해결 방안으로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권고사항들은 예술가들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라신 보고서 이후 프랑스 정부는 만화 산업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2020년을 "만화의 해(BD 2020)"로 선포하고, 대규모 지원 정책을 실행했으며, 이를 2021년까지 연장했습니다. 정부는 만화가들에게 '예술가 지위'를 부여해 의료보험과 연금 혜택을 포함한 사회보장 제도를 제공하며, 안정적인 창작 환경을 조성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출판사에는 세제 혜택을 제공해 더 많은 작품 제작과 신진 작가 발굴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환경에서 작가 권리 보호, 불법 유통 대응, 지속 가능한 창작 환경 조성 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프랑스 정부는 디지털 콘텐츠 불법 복제와 유통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나 한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디지털 시대의 문화 저작물 접근 규제 및 보호" 법안을 통과시키며 불법 복제 근절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이 법안에 따라 2022년 1월 설립된 ARCOM(시청각 디지털 통신 규제기관)은 불법 복제 대응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ARCOM은 저작권 침해 사이트와 미러 사이트의 블랙리스트를 관리하며,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가 이를 차단하도록 권한을 부여받았습니다. 하지만 불법 사이트 차단을 우회하는 기술 발달과 처벌 부족, 그리고 디지털 콘텐츠 불법 소비에 대한 대중의 낮은 문제 의식은 정책 실효성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됩니다.


일본 망가의 성공은 프랑스 만화 산업에 새로운 도전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원피스》, 《드래곤볼》, 《나루토》 같은 일본 망가는 단순한 만화를 넘어 애니메이션, 게임, 캐릭터 상품으로 확장되며 콘텐츠의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했습니다. 2021년 코로나19 시기, 프랑스 정부가 18세 이하 청소년들에게 문화 구매를 지원하기 위해 시행한 '컬쳐 패스(Culture Pass)' 정책은 일본 망가 판매를 크게 늘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컬쳐 패스 사용자의 71%가 책을 구매했고, 그중 절반이 망가를 선택하면서 프랑스는 일본에 이어 세계 2위의 망가 소비국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현재 일본 망가는 프랑스 만화 시장의 절반 이상을 점유하며, 프랑스 자국 만화의 경쟁력 약화를 분명히 보여줍니다.


프랑스 만화의 강점은 예술적 깊이와 문화적 정체성에 있습니다. 《페르세폴리스(Persepolis)》와 《블루 이스 더 워미스트 칼러(Blue Is the Warmest Color)》 같은 작품들은 복잡한 서사와 세밀한 그래픽 디테일로 프랑스 만화의 독창성을 대표합니다. 그러나 이 강점은 디지털 환경에서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 웹툰은 대중적이고 접근성이 높은 포맷을 통해 빠르게 성장했지만, 프랑스 만화의 예술적 요소를 결합한다면 더욱 차별화된 콘텐츠로 글로벌 시장에서 더 큰 성공을 거둘 가능성이 큽니다. 예술성과 대중성의 조화는 양국 모두에게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입니다.


프랑스의 앙굴렘 국제 만화 축제와 루브르 박물관의 만화 전시는 프랑스 만화가 '제9의 예술'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1974년부터 매년 열리는 앙굴렘 국제 만화 축제는 세계적인 만화 행사로 자리 잡아 만화의 예술성과 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2009년 루브르 박물관에서 열린 "The Louvre Invites the Comics" 전시회는 전통 예술과 만화의 융합을 시도한 혁신적인 프로젝트로 평가받았습니다. 이러한 행사는 프랑스가 만화를 건축, 조각, 회화와 동등한 지위의 예술 형식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프랑스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 정책과 만화 보존, 연구를 위한 노력은 만화를 국가적 문화유산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합니다.


페르세폴리스(Persepolis)》, 《블루 이스 더 워미스트 칼러(Blue Is the Warmest Color)》



프랑스 만화는 전통과 혁신 사이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중대한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디지털화와 글로벌화 흐름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프랑스 만화는 점점 더 시장에서 고립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프랑스 만화는 여전히 예술적 깊이와 독창성이라는 강점을 지니고 있어 새로운 방식으로 이를 글로벌 독자층에게 전달할 기회가 남아 있습니다. 반면, 한국 웹툰은 디지털 플랫폼과 글로벌 전략을 통해 빠르게 확장하고 있으며, 프랑스 만화의 예술적 깊이와 접근 방식을 참고하면 더욱 완성도 높은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두 시장의 비교는 각자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파악할 기회를 제공하며, 이는 한국 웹툰 산업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시합니다.


프랑스는 여전히 한국 웹툰 사업자와 작가들에게 기회의 땅입니다. 디지털화와 글로벌화에서 한계를 보이는 프랑스 시장은 오히려 한국 웹툰이 자리 잡을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강력한 디지털 플랫폼과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투명한 수익 구조는 프랑스 시장에서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한국 웹툰은 프랑스 만화의 예술적 전통을 존중하면서도 디지털화와 글로벌화의 강점을 결합해 현지 독자층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통과 디지털, 예술성과 대중성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한국 웹툰이 프랑스 시장에서 성공할 핵심 전략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