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IGHTEEN YEAR OLD LOOKS BACK ON LIFE
2017. 8. 21. 5:16
조이스 메이나드가 1972년 4월 뉴욕타임즈에 실었다는 -조금 슬픈 것은 아래 사이트에 조이스가 직접 명시하기를 18살이었기에 my generation, 이란 표현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시간이 흐른 지금 내가 명확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나 자신뿐이다 라고 언급-
AN EIGHTEEN YEAR OLD LOOKS BACK ON LIFE이다. 샐린저와의 만남의 계기가 된 이 칼럼이었다. 오랜만에 사춘기 즈음의 내가 너무 좋아했던 J.D 샐린저를 다시 생각하다가 작가를 그만 좋아하게 된 계기, 역시 샐린저와 개인적 친분이 있는 조이스 메이나드란 작가를 떠올려 관련 자료를 찾아봤다. 그가 18살에 뉴욕타임즈에 실으면서 수많은 대중의 사랑을 받게 되었다는 이 칼럼은 일부만 그의 홈페이지에 부분 발췌되있다.
읽으면서 더 잘 읽고싶어 번역을 해보았는데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더 명확하게 와닿지 않는 부분은 건너 뛰었다. http://www.joycemaynard.com/Joyce_Maynard/E__18_looks_back.html
My generation is special because of what we missed rather than what we got, because in a certain sense we are the first and the last. The first to take technology for granted. (What was a space shot to us, except an hour cut from Social Studies to gather before a TV in the gym as Cape Canaveral counted down?) The first to grow up with TV. My sister was 8 when we got our set, so to her it seemed magic and always somewhat foreign. She had known books already and would never really replace them. But for me, the TV set was, like the kitchen sink and the telephone, a fact of life.
우리는, 우리가 가진 것보다 놓친 것을 생각했을 때 특별한 세대였다. 첫번째이면서 동시에 마지막인 것은 어떤점에서는 명백했다. 기술을 당연하게 여긴 첫번째 세대였다. 텔레비전과 자란 첫번째 세대였다. 나의 언니는 처음 텔레비전 세트를 보았을 때 8살이었다. 언니에게 마술같이 다가온 텔레비전은 처음엔 평생 이질적인 거였는데 언니는 텔레비전을 보기도 전에 이미 책을 읽었다. 언니의 텔레비전은 책을 대신할 수 없었다. 반면에 나에게 텔레비전이란 부엌의 하수구같은 또 전화기 같은 것 생의 사실 한 부분으로 존재했다.
We inherited a previous generation's hand-me-downs and took in the seams, turned up the hems, to make our new fashions. We took drugs from the college kids and made them a high-school commonplace. We got the Beatles, but not those lovable look-alikes in matching suits with barber cuts and songs that made you want to cry. They came to us like a bad joke - aged, bearded, discordant. And we inherited the Vietnam war just after the crest of the wave - too late to burn draft cards and too early not to be drafted. The boys of 1953 - my year - will be the last to go.
우리는 이전 세대의 유산을 상속받아 뜯어고쳐 새로운 패션을 만들고 싶었다. 고교생 신분으로 대학생으로부터 얻은 약에 취했다. 비틀즈가 있었지만, 딱 맞는 수트핏, 러블리 바버컷, 이전 세대의 청춘들을 울렸던 노래들로 존재하지 않았다. 대신 bad joke 같은 거였다. aged, bearded, discordant. 그리고 우리는 베트남 전쟁을 상속받았다. just after the crest of the wave. 영장을 불에 태우기엔 너무 늦었고 징집되지 않기엔 너무 일렀다. 53년생 소년들이 마지막으로 입대해야 하는 주자가 됐다. -draft card 가 영장 비슷한 건가 53년을 계기로 군 징집이 모병제로 바꼈나? -
Joyce Maynard at 18, finding herself labelled as the voice of her generation so where are we now? Generalizing is dangerous. Call us the apathetic generation and we will become that. Say times are changing, nobody cares about prom queens and getting into the college of his choice any more - say that (because it sounds good, it indicates a trend, gives as symmetry to history) and you make a movement and a unit out of a generation unified only in its common fragmentation. If there is a reason why we are where we are, it comes from where we have been.
열여덟살의 Joyce Maynard, 그 세대를 대변하는 목소리로 불리고자 애쓰는 조이스 메이너드, 그래서 지금 우리는 어디 있는가. 일반화는 위험하다. 무관심한 세대라 불러줘, 우리는 그렇게 될 것이다. 세상이 변했다 말해 줘. 단지 듣기 좋다는 이유로 트렌드라는 이유로 역사에 반복된다는 이유로 프롬 퀸과 대학에 들어가는 것에 대해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다 말해줘. 새로운 움직임을 만들고 그 움직임이 작은 단위가 되어 우리 각자는 오직 공통인 부분만으로 하나가 된다. 우리가 여기 있는 것에 대해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는 우리가 있던 곳에서 온다.
Like overanxious patients in analysis, we treasure the traumas of our childhood. Ours was more traumatic than most. The Kennedy assassination has become our myth: Talk to us for an evening or two - about movies or summer jobs or Nixon's trip to China or the weather - and the subject will come up ("Where were you when you heard?"), as if having lived through Jackie and the red roses, John-John's salute and Oswald's on-camera murder justifies our disenchantment.
과하게 걱정하는 부모들 못지않게 우리는 유년시절의 트라우마를 숨겨놓았어, 그 트라우마는 어느 세대의 것보다 강렬했다. 케네디 암살사건은 신화가 되었다. 영화, 여름 아르바이트 또는 니슨의 중국행, 날씨와 같은 것들에 대해 한 날, 혹은 몇밤이고 얘기헸다. 마치 제키, 존, 그리고 그들의 삶을 살기라도 한 것처럼. (where were you when you heard?)
재키, 붉은 장미다발 존(존 케네디)-그의 암살과 Oswald(존 케네디 암살자)의 생방송은 우리의 disenchantment를 합리화했다.
We haven't all emerged the same, of course, because our lives were lived in high-school corridors and drive-in hamburger joints as well as in the pages of Time and Life, and the images on the TV screen. National events and personal memory blur so that, for me, Nov. 22, 1963, was a birthday party that had to be called off and Armstrong's moonwalk was my first full can of beer. If you want to know who we are now; if you wonder how we'll vote, or whether we will, or whether, 10 years from now, we'll end up just like all those other generations that thought they were special - with 2.2 kids and a house in Connecticut - if that's what you're wondering, look to the past because, whether we should blame it or not, we do.
국가적인 사건들과 개인적인 기억들이 내 안에서 뒤섞여 희미해졌다. 1963년도 11월 22일은 취소되어져야 했던 생일파티가 있었으며 암스트롱이 달 위에서 첫번째 한 발 을 내딛었던 것과 동시에 나의 처음으로 한 캔을 맥주를 비운 날이었다. 우리가 누구인지 알고싶다면, 누구에게 투표할지 알고 싶다면, 또는 우리가 10년 후에 어떻게 될지-스스로를 특별하다고 여겼던 다른 세대들과 같이-2.2명의 아이들과 코네티컷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 알고 싶다면, 그런것들이 바로 궁금해하는 것이라면, 지나온 것을 보면 된다. Because, whether we should blame it or not, we do.
I didn't know till years later that they called it the Cuban Missile Crisis. But I remember Castro. (We called him Castor Oil and were awed by his beard - beards were rare in those days.) We might not have worried so much (what would the Communists want with our small New Hampshire town?) except that we lived 10 miles from an air base. Planes buzzed around us like mosquitoes that summer. People talked about fallout shelters in their basements and one family on our street packed their car to go to the mountains. I couldn't understand that. If everybody was going to die, I certainly didn't want to stick around, with my hair falling out and - later - a plague of thalidomide-type babies. I wanted to go quickly, with my family.
몇년이 흐를 때까지 쿠바의 미사일 사태-냉전 중 쿠바에 지어지던 소련의 미사일이 미국 첩보원에 의해 사진찍힌 사건-이라 부르는 것에 대해 나는 알지 못했다. 그렇지만 카스트로-쿠바의 신생정권-를 기억한다. 우리는 그를 카스트로 오일이라 불렀고 그에게 턱수염을 따라했나 빚졌다. 공군 기지서 10마일이나 떨어진 곳에 산다는 것말고는 그다지 많이 걱정하지 않았던 것 같다. -커뮤니스트가 작은 뉴햄피셔 동네에 뭘 할 수 있었겠어- 여름이면 비행기가 주변을 맴도는 모기처럼 윙윙거렸다. 사람들은 지하실에 마련해놓은 도피처에 대해 이야기했고 한 가족은 산까지 갈 수 있도록 그들의 자동차마저 챙겼다. 이해할 수 없었다. 모두가 죽게 된다면, I certainly didn't want to stick around, with my hair falling out and - later - a plague of thalidomide-type babies. I wanted to go quickly, with my family.
Dying didn't bother me so much - I'd never known anyone who died, and death was unreal, fascinating. (I wanted Doctor Kildare to have more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fewer love affairs.) What bothered me was the business of immortality. Sometimes, the growing-up sort of concepts germinate slowly, but the full impact of death hit me like a bomb, in the night. Not only would my body be gone - that I could take - but I would cease to think. That I would no longer be a participant I had realized before; now I saw that I wouldn't even be an observer. What especially alarmed me about The Bomb (always singular like, a few years later, The Pill) was the possibility of total obliteration. All traces of me would be destroyed. There would be no grave and, if there were, no one left to visit it.
아는 사람 중에 죽은 이가 없어 죽음이란 비현실적이며 환상적인 무엇으로 다가와 이는 나를 그다지 괴롭히지 못했다. 괴롭히는 것은 오히려 계속 살아가는 것이었다. 어떤 밤이면 어떤 생각들이 서서히 피어나 어느 순간 폭탄처럼 죽음에 대한 충격이 나를 치고 지나갔다. 그저 육체가 없어진다는 것을 넘어 내가 생각하는 것을 그만둔다는 것. 내가 해왔던 것에 더이상 참여할 수 없다는 것. 내가 지금 보는 것, 지켜보지조차 못한다는 것. 그 폭탄과도 같은 것에 대해 유독 ..하는 것은 망각-obliteration-에 대한 가능성이었다. 나의 모든 흔적이 지워지는 것. 무덤조차 없고 있다 한들 찾아올 자조차 남겨지지 않는 것.
Newly philosophical, I pondered the universe. If the earth was in the solar system and the solar system was in the galaxy and the galaxy was in the universe, what was the universe in? And if the sun was just a dot - the head of a pin - what was I? We visited a planetarium that year, in third grade, and saw a dramatization of the sun exploding. Somehow the image of that orange ball zooming toward us merged with my image of The Bomb. The effect was devastating and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 except for Easter Sundays, when I wished I went to church so I could have a fancy new dress like my Catholic and Protestant friends - I longed for religion.
Newly philosophical, 우주에 대해 생각한다. 지구가 태양계에 있고 태양계는 은하에 있고 은하는 우주에 있다면 우주는 어디에 있는지. 만약 태양이 그저 작은 점이라면, the head of a pin, 나란 무엇인지. 우리가 3 학년이었던 그 해, 천문대에 가서 태양이 폭발하는 드라마틱한 한 순간을 봤다. 우리를 향해 확대된 황색 볼은 나에겐 폭탄의 모습처럼 보였다. devastating, - 카톨릭이거나Protestant 였던 또래 친구들처럼 새 드레스를 가지기 위해 교회에 가고자했던 어느 부활절의 일요일을 제외하면 - 처음으로 종교를 가지기를 염원했다.
I was 8 when Joan Baez entered our lives, with long, black, beatnik hair and a dress made out of a burlap bag. When we got her first record (we called her Joan Baze then - soon she was simply Joan) we listened all day, to "All My Trials" and "Silver Dagger" and "Wildwood Flower." My sister grew her hair and started wearing sandals, make pilgrimages to Harvard Square. I took up the guitar. We loved her voice and her songs but, even more, we loved the idea of Joan, like the 15th-century Girl of Orleans, burning at society's stake, marching along or singing solitary, in a prison cell to protest segregation. She was the champion of nonconformity and so - like thousands of others - we joined the masses of her fans.
beatnik-beat generation -한 긴 흑발의 Joan Baez가 밀짚 주머니같은 걸로 만든 드레스 차림으로 우리 인생에 들어왔을 때, 난 여덟살이었다. 첫번째 그의 음반 중에서도 우린 하루종일 All My Trials 이라든가 Silber Dagger, 또 Wildwood Flower을 들었다. 나의 언니는 머리를 길렀고 샌들을 신기 시작했고 하버드 스퀘어로 pilgrimages를 나갔다-버스킹인가. 나는 기타를 집어들었다. 우리는 15세기 Orleans의 소녀들처럼 그 사회의 가진자를 불태우고, 사람들과 함께 행진하며 또 혼자 노래하면서, 감옥의 한 칸 안에서 분열에 대해 항쟁하고자 그의 목소리를 좋아했고, 그의 노래를 좋아했으며, 그의 생각들을 사랑했다. 그는 champinon of nonconformity, 수천명의 다른이들처럼 그녀의 팬이되어 군중 속에 속하고자 했다.
I knew she must but somehow I could never imagine Jackie Kennedy going to the bathroom. She was too cool and poised and perfect. We had a book about her, filled with color pictures of Jackie painting, in a spotless yellow linen dress, Jackie on the beach with Caroline and John-John, Jackie riding elephants in India and Jackie, in a long white gown, greeting Khrushchev like Snow White welcoming one of the seven dwarfs. (No, I wasn't betraying Joan in my adoration. Joan was beautiful but human, like us; Jackie was magic.) When, years later, she married Rumpelstiltskin, I felt like a child discovering, in his father's drawer, the Santa Claus suit. And, later still, reading some Ladies' Home Journal expose ("Jacqueline Onassis's secretary tells all . . .") I felt almost sick. After the first few pages I put the magazine down. I wasn't interested in the fragments, only in the fact that the glass had broken.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지만 재키 케네디가 화장실에 가는 걸 절대 상상할 수 없었다. 그러기엔 너무 쿨했고 완벽했어. 우리는 그에 대한 책을 가지고 있었다. 그곳의 이야기들은 재키의 칼라로 프린트된 사진들로 채워졌다. 노란색의 흠점없는 린넨 드레스, 캐롤린, 존과 함께 해변에 서 있는 재키, 인도에서 코끼리를 타는 재키와 존, 길게 늘어진 하얀색 가운을 하고 7명의 난쟁이들을 환영하는 백설공주처럼 Khrushchev를 맞이하는 재키. (존을 사랑하는 데 있어 배신하려는 건 아니지만, 존은 아름다웠지만 인간이었다. 우리처럼. 그런데 재키는 마술같았다.) 몇년이 더 지나 그가 Rumpelstiltskin와 결혼했을 때 나는 아빠의 옷장에서 산타클로스 복장을 발견했을 때와 같은 심정이었다. 더 시간이 흘러 여성잡지가 ("Jacqueline Onassis's secretary tells all.."라 폭로하였을 때 현기증마저 느꼈다. 첫 몇장을 넘기자마자 잡지를 내려놓았다. 더 이상 조각난 것들에 상관하고 싶지 않았다. 이미 유리는 깨졌다.
사실 7년전(에 읽은 느낌이라 정확하게 왜곡할 수도 있는데) 조이스 메이나드를 알게됐던 그 책(동시에 샐린저에게 정나미를 뗀) 원제 At Home in the War -호밀밭의 파수꾼을 떠나며-를 읽었을 땐 상상하기 힘들었던 어떤 위트라고 해야하나 자세히 문장을 읽으면 읽을수록 18살의 패기라 해야하나.. 아하하 이십대 후반의 내가 봐도 부러운 또 많은 사람들이 부러워했을 사랑했을 뭔가가 있다. 왜 수많은 팬레터를 받았는지 왜 셀린저가 편지썼는지 알 수 있는, 그러다 보니 셀린저가 더 미워지는.. :(.
그리고 다시 태어나면 번역가가 될지도 몰라라고 했던 것을 다음 생조차 재고해보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