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농촌이야기 창작소 Sep 14. 2018

치유농업, 한국형 Green Care farm

농촌의 활력과 농업의 수익구조를 만들어 운영해야

   복잡한 도시의 사회 환경에 일부 나타날 수 있는 우울감과 조울증 등 삶에 지친 사람들이 농촌을 찾아 치유농업(Agro-healing)을 접하고 있지만 아직 덜 준비된 치유농업에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미 2013년 5월에 독일, 오스트리아 등과 네덜란드 와게닝겐대학·연구소(UR)와 디펜웨그 4, 아넘 (Diepenweg 4, Arnhem) 농장을 방문하여 1970년대부터 연구를 추진하고 운영하고 있는 ‘케어팜(Care farm)’발전 모델을 보고 배워왔다.

  그린 케어팜(Green Care farm)’은 우리 농촌의 경관과 농업활동에서 가축(동물)사육, 원예작물 재배 등으로 정신적·육체적인 재활을 돕고 치유하는 일종의 농촌·농업을 활용한 건강프로그램인 것이다. 네델란드의 케어팜은 현재 1천2백여개가 넘는 치유농장에서 농작물을 키우는 원예치료, 가축과 동물을 사육하며 치료하는 동물치료 등으로 이용 고객을 모집하고 있다. 

  또, 프로그램을 운영을 통해 마음의 안정과 편안함을 느끼면서 건강을 유지하게 되고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은 1999년〜2003년까지 주정부에서 지원했다.

   2003년 의료법이 제정됐고, 치유 보조금 제도와 치유농장의 4가지 등급으로 운영되면서 방문 당시 농장은 연간 30만유로(한화 4억5천만원)가 지원되고 있었다. 

  지금은 지자체 사회지원법(WMO) 부서로 비용을 청구하면 보험공단을 통해 지원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우후죽순(雨後竹筍)으로 도입하여 시행하려 하는데 아직은 시스템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 농촌체험 형식을 빌 어 치유농업을 운영하려는 것은 기존 농촌체험농장과 다를 바 없는 위험한 지원 사업에 불과 할 것이다.

   우리나라도 국민건강이 사회문제에서 나타나는 국가(보건복지부)의 의료비 부담은 점점 크게 나타나고 2016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5.6명으로 OECD 평균인의 2배 이상이다. 연간 자살 사망자는 1만 3천명에 달하고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 인지율은 30대가 27.7%, 40대가 25%나 나타나는 등 국민의료비가 급증하면서 사전예방과 치료가 사회문제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보건복지부는 국민건강관리 증진의 필요성과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농업의 활용과 수익창출의 목표가 맞아 떨어져 부처 간 협업을 통한 한국형 케어팜 운영을 위한 치유농업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치매, 성인병 등으로 나타나는 의료비 비용도 줄이고,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의 활력과 농업의 수익구조를 만들어 운영해야 한다. 정부는 제도적 뒷받침을 지원하도록 요양원과 같이 치유농장도 건강보험체계에서 병의원과 농장이 일정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구축이 시급하다.

   지역의 병의원과 케어팜이 연계되는 스마트시스템으로 전문의료진이 정기적인 환자의 진료와 처방을 하고, 농장주가 처방에 따른 표준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커리큘럼[curriculum]도 만들면서 치유농장등록인증제, 치유농업전문상담사제도를 도입하여 채용을 의무화하는 등 체계적인 운영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디펜웨그 4, 아넘 (Diepenweg 4, Arnhem) 농장
네덜란드 와게닝겐대학교 쟌 하싱크 교수와 윤재돈 농촌컬럼리스트
작가의 이전글 떡볶이의 역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