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지은 Jul 10. 2021

2. 나는 그냥 공항이 싫다

공항이라는 공간이 나에게 주는 감정

공항은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설레임을 주는 특별한 장소일 것이다.

언젠가 그런 글을 본 적 있다. 해외여행만큼 설레는 것이 짐을 싸서 공항으로 가는 길이라고.

그러나, 나에게 공항은 정확히 그 정반대의 기분을 느끼게하는 곳이다. 아직도 나는 공항을 떠올리면 가슴 어딘가가 답답하고, 몸 전체가 긴장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현실의 모든 것을 내려놓고 여행을 떠나는 이들의 발걸음은 그 누구보다 가볍고, 행복할 것이다. 내게는 예측할 수 없는 현실의 모든 것을 마주하러 가는 길이기에 발에 벽돌을 몇개 올려둔 것 마냥 걸음이 무거웠다. 새벽에 눈을 떠 캐리어를 끌고 나가는 집 현관문, 공항으로 가는 차 안, 공항 표짓말이 보이는 고속도로, 짐을 내리는 공항의 주차장, 그리고 수속하는 장소 - 그 모든 공간들은 내게 알 수 없는 공허함을 준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이 순간에도, 괜시리 숨을 크게 들이마시게 되고 타자를 치는 손이 무거워진다.


정신 똑바로 차려. 이제 다시 또 혼자다.

나는 공항에서 이 말을 항상 되뇌었다. 공항은 늘 스스로 마음을 굳게 먹게 만드는 곳이 되었다.


미국에 돌아가는 날은 늘 가족들과 인천공항 내의 식당에서 아침을 먹었다. 참 꾸준히 맛이 없는데도 꾸준히 밥을 먹었다. 그냥, 출국 수속 전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긴장감과 이별의 슬픔에 안절부절 못할 것 같았다. 아마 부모님도 같은 마음이셨을 것이다. 뭐라도 먹이고 보내고 싶은 그 마음. 그 마음이 어찌나 강한지 나에게도 참 강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나는 늘 밥을 먹고 떠났다.


유학 9년차 정도가 되어서야 공항에서 식당에 가지 않고, 빵 하나 정도만 함께 사먹는 여유가 생겼다. 나도, 우리 가족들도. 그때는 몰랐는데, 돌이켜보면 공항에서 나는 참 많이 긴장했다. 가족들과 잘 이별하고 싶어서, 다시 만날 때까지 혼자서도 잘 살아내었다고 말하고 싶어서, 또 다시 홀로 떠나는 공항에서 나는 몸에 힘을 꽉 주고 있을 수 밖에 없었다.


출국 수속을 하러 들어가면 열렸다 닫히는 자동문 틈으로 보이는 밖에 있는 가족들을 향해 뒤돌며 나는 항상 웃으며 손을 흔들었다. 내 뒤에 계속 들어오는 사람들에 가려져 더이상 보이지 않을 때, 나는 그냥 후두둑 떨어지는 눈물을 훔쳤다. 또 볼거고, 전화도 자주 할거면서, 막상 가면 또 잘 지낼거면서, 10년을 참 꾸준히도 나는 그 문 앞에서 항상 울었다.




 

작가의 이전글 1. 금수저는 아니지만 유학생입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