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Cum Musica May 07. 2024

낭만시대의 음악 II

기악 음악: 교향곡과 교향시 

교향곡

 베토벤의 교향곡은 고전주의의 확립과 동시에 낭만주의 작곡가들에게도 형식 및 음악적 기법면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끼쳤다. 슈베르트, 멘델스존, 슈만의 교향곡들은 베토벤의 고전적 형식과 화성 어법을 비교적 충실히 반영한 반면에 베를리오즈나 리스트는 표제 음악이라는 새로운 양식을 개발하여 낭만주의 교향곡의 새로운 길을 개척하였다. 


 슈베르트는 총 9개의 교향곡을 작곡하였으며, 그의 교향곡중 8번은 1악장과 2악장까지만 작곡하고 나머지 부분을 완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미완성 교향곡'이라고 불린다. 예술 가곡과 마찬가지로 슈베르트는 그의 교향곡에서 유려하고 아름다운 선율, 일반적이지 않은 전조와 화성등이 특징적이지만 베토벤의 견고한 형식미를 유지하였다. 


 멘델스존 역시 베토벤의 형식미를 유지하였지만 <이탈리아>, <스코틀랜드> 교향곡처럼 표제를 붙이는등 낭만주의 표제 음악적 성격도 지니고 있다. 슈만과 브람스 교향곡 역시 고전적인 교향곡 악장인 4악장 구조로 되어 있으나, 화성 어법이나 관현악 색채는 진보적인 낭만주의적 색채를 가지고 있다. 


 브루크너의 교향곡 역시 전통적인 4악장 구조이지만 형식이 기존 교향곡들에 비해 매우 큰 대규모로 확대되었으며 종교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어둡고 무거운 음향과 텍스처, 강한 대조의 다이내믹이 특징적이다. 말러의 교향곡은 브루크너의 교향곡보다 훨씬 복잡한 악기 편성과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창자와 합창단의 인원도 매우 대규모이다. 목관악기 및 금관악기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으며, 말러의 교향곡 8번 '천인 교향곡' 역시 제목처럼 독창자, 합창단, 대규모 관현악단을 모두 합쳐 1000명의 연주자를 필요로 하는 규모면에서 대단히 큰 교향곡이다. 


 베를리오즈는 기존의 독일어권 낭만주의 작곡가들과는 조금 다른 음악적 성격을 보여주고 있는데 기존의 독일어권 작곡가들이 베토벤의 고전적 형식을 비교적 잘 유지한 반면 베를리오즈는 낭만주의 교향곡을 문학의 스토리 전개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으며, 음악 형식보다는 낭만주의 문학 작품이 주는 환상적인 극적 진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의 대표작인 <환상 교향곡>은 모든 악장에서 연속적으로 등장하는 음악적 주제가 곡의 통일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주인공이 짝사랑하고 있는 연인에 대한 병적인 감수성과 강박적인 집착을 암시한다. 이러한 반복되는 주제 동기를 '고정 악상' (idée fixe)라고 부르며 바그너의 유도동기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고 볼 수 있으며, 관현악법에 있어서도 독창적인 음색, 대규모 편성등이 특징적이다. 


 차이코프스키는 러시아 낭만주의 대표적 작곡가이며, 부분적으로 러시아 민속 선율을 차용하긴 했지만 유럽의 고전주의 양식, 이탈리아 오페라, 유럽의 춤곡 등 다양한 서구 유럽의 음악 양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한편 러시아와 체코에서는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하면서 민족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들의 활동이 활발했는데 체코의 드보르작과 스메타나는 교향곡에서 체코의 민속 선율과 리듬을 선호하였으며, 무소르그스키와 림스키-코르샤코프등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일명 '러시아 5인조' 의 교향곡 역시 러시아의 민속 선율과 전통 리듬을 사용하는등 민족주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7fsPdFcY4I

베를리오즈 <환상교향곡> 5악장 


 교향시

 19세기에 들어서 음악은 우리 일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현상들과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문학적 측면들, 예를 들어 시와 소설의 이야기들을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사상이 대두되었다. 낭만주의 작곡가들은 그들의 음악에서 문학적인 영감을 많이 차용하였는데, 셰익스피어의 문학 작품, 괴테의 시, 민족 신화나 전설 등을 바탕으로 음악에 표제 (program)을 붙이기 시작하였고 표제 음악이라는 장르가 생겨났다. 


 교향시 (symphonic poem)은 하나의 악장으로 구성된 표제 교향곡을 의미하며, 기존의 고전주의의 절제되고 엄격한 형식미에서 탈피하여 작곡가의 주관적이면서 자유로운 감정 표현과 예술적 독창성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즉, 교향시는 음악과 문학 예술 작품의 결합된 형태라고 볼 수 있으며 교향시의 대표적 작곡가로는 리스트가 있다. 리스트는 모두 13곡의 교향시를 작곡하였으며, 괴테의 작품에 많은 영감을 받았다. 그는 과장된 음악적 표현과 감정의 폭발을 교향시 작품에서 보여주었으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전주곡>, <오르페우스>, <마제파> 등이 있다. 그의 과장된 음악적 표현은 낭만주의의 극치를 보여주었으며 청중들을 단번에 사로잡기도 하였다. 


 한편 교향시는 민족주의 사상과 결합되기도 하였는데 스메타나의 <나의 조국>, 시벨리우스의 <핀란디아>등이 대표적인 민족주의적인 교향시이며 자국의 정체성과 민족주의적인 정서를 아름답게 표현한 작품들로 평가받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hAwqPBPIEM

스메타나 <나의 조국> 중 <몰다우>


 

매거진의 이전글 낭만시대의 음악 I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