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적인 영화리뷰 2023 -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바튼 아카데미>
이번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알렉산더 페인 감독의 신작 <바튼 아카데미>을 미리 만났습니다. <어바웃 슈미트>, <사이드웨이>, <디센던트> 등 일급 코미디 영화들을 잘 만들다가 전작 <다운사이징>에서 살짝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던 알렉산더 페인 감독은 다시 주특기인 일상 코미디물로 돌아와 과연 명불허전의 날카로운 코미디 감각과 따뜻한 심장을 함게 보여주며 관객을 감동시킵니다. 신랄하고도 따뜻한, 공존하기 쉽지 않은 두 정서가 공존하는 영화들을 줄곧 만들어 온 감독은 이번에도 인간의 우스꽝스러운 일면을 가감없이 드러내면서도 그것을 애정어린 시선으로 끌어안습니다.
크리스마스에서 새해로 이어지는 연말연시 연휴를 앞둔 1970년, 미국의 명문 사립고 '바튼 아카데미'는 휴가를 떠나려는 학생들과 교사들로 분주합니다. 그러나 이 중에는 꼭 개인 사정으로 집에 가지 못하거나 가지 않는 학생들이 꼭 있어서, 이들을 연휴동안 맡아 줄 교사가 꼭 한 명씩 필요합니다. 이번에 그 역할을 맡게 된 교사는 고대 세계사를 가르치는 폴 허넘(폴 지아마티). 어째 교사들 중에서도 특히 인기 없고 존재감 없는 그가 이 불운한 역할을 억지로 떠안게 된 느낌이지만, 애초에 친구를 곁에 두지 않는 성격인 그에겐 나쁘지 않은 연휴가 될 것 같습니다. 문제는 학교에서 연휴를 같이 보낼 사람이 누구냐인데, 여차저차 하여 연휴동안 학교에서 학생으로는 유일하게 홀로 남게 된 앵거스(도미닉 세사)는 성격이 보통 까칠한 게 아닙니다. 생각없이 내뱉어서 남 상처 주길 잘하는 철없는 친구인데, 또 공부하는 걸 보면 머리는 똑똑한 것 같습니다. 여기에 얼마 전 베트남전 참전으로 이제 갓 성년이 된 바튼 아카데미 출신의 아들을 잃은 교내식당 매니저 메리(더바인 조이 랜돌프)까지, 세 사람이 학교에서 크리스마스를 함께 보내게 생겼습니다. 다들 처한 상황과 본래 성품이 보통은 넘는지라 이들의 공동체 생활은 불편하게 시작하지만, 저마다의 이유로 각자가 품은 외로움을 발견하며 어느새 이들에게는 잊지 못할 시간이 되어갑니다.
알렉산더 페인 감독의 영화들 다수에서 주인공들은 별난 성격을 가지고 있는 탓에 갖은 우스꽝스런 갈등과 소동을 일으키며 보는 이로 하여금 때로 '공감성 수치'까지 불러일으키며 쓴웃음을 줍니다. 그러나 마무리에 이르면 늘 영화가 결국 이들을 조롱하는 게 아니라 연민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으며 뭉근한 여운을 안게 되곤 했죠. <바튼 아카데미> 또한 그렇습니다. 스승과 제자, 부모와 자식, 남과 여의 관계가 교차하는 이 작은 시한부 공동체에 대한 이야기는 그런 감독의 영화들 중에서도 가장 따스한 온도를 지닌 듯한 느낌입니다. 처한 상황이나 지닌 성품으로 봤을 때 이들은 하나같이 가까이 하기엔 망설여지는 이들입니다. 학점이 짜면 성격이라도 좋든가 둘 다 매몰차서 알아서 비호감 이미지를 사는 교사 폴도, 꼭 상대방의 역린을 건드리는 말로 속을 뒤집어놔야 관계의 주도권을 잡는다고 믿는 학생 앵거스도, 아들을 일찍 잃은 슬픔이 너무 큰 나머지 안그래도 만만치 않은 성품에 벽을 하나 더 쌓은 듯한 메리도 마찬가지죠. 시각적 요소들부터가 직접적으로 70년대 캠퍼스물을 오마주하는 듯한 모습을 하고서 경쾌하게 시작되는 영화는 이런 인물들이 벌이는 왁자지껄 우당탕탕 소동을 보여줄 것 같지만, 사실 이들이 크리스마스에 어디 가지 못하고 학교에서 서로와 지내야 하는 사연은 경쾌하지만은 않습니다. 사랑하는 이를 곁에 두지 않으려는, 사랑하는 이로부터 외면받은,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이들이 품은 각자의 상처는 어디 가서 떠벌리기엔 너무 크고 무거운 것들이고, 그래서 고약한 쏘아붙임으로 그 상처를 애써 가릴 뿐이죠.
그때 이 바튼 아카데미에서의 크리스마스는 저마다의 외로움을 짊어진 이들이 각자의 외로움에 매몰되지 않고 서로의 외로움을 목격하는 장으로서 기능합니다. 서툴고 우스꽝스러울 수 있어도 천성적으로 '못되지는 않은' 인간들이기에, 그들은 발견하게 되는 서로의 외로움 앞에서 내 외로움이 더 크다고 엄살 피우는 대신 나름의 고통을 짐작으로나마 이해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서로를 향하던 쏘아붙임에도 어느덧 체온이 실리기 시작하는 것이죠. 영화에서 외로움이란 감정은 유별난 사랑을 했거나 유별난 성격을 지닌 이들에게만 다가오는 게 아니라 어느 누구에게나 다가올 수 있는 것으로 그려집니다. 심지어 가장 친밀하다고 생각했던 가족으로부터도 다가올 수 있는 감정이고요. 필연적으로 외로움을 떠안고 살아갈 수 밖에 없는, 그래서 때로 우스운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 보통의 사람들 앞에서 영화가 건네는 위로는 일반적으로 떠오르는 것과는 좀 결이 다릅니다. 이 영화가 건네는 위로는 이를테면, "외롭다"는 하소연 앞에서 "괜찮아 우리가 옆에 있잖아!" 하며 파이팅을 외치는 것이 아니라, "나도 외롭다"고 손을 들면서 불현듯 나 혼자만 외로운 게 아님에 안도하게 하는 식입니다. 죽음과 이별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 외로움에 몸부림치면서도 기어코 살아내고 있는 서로의 존재 자체가 위안이 되는, 기이한 치유의 시간을 영화는 우리에게 선사합니다.
감독의 전작 <사이드웨이>에도 출연해 열연한 바 있는 폴 지아마티는 이번 <바튼 아카데미>에서 주인공 폴 허넘 역으로 <사이드웨이>를 충분히 뛰어넘을 만한 명연기를 보여줍니다. 심술이 덕지덕지 묻은 고약한 성격의 교사를 보여줄 땐 웃음을 한껏 유발하다가도 그런 그가 점차 내면을 드러내고 마음을 담아 서로를 바라보기 시작할 때에는 애틋한 감동으로 영화를 적십니다. 아들을 잃은 교내식당 매니저 메리 역의 더바인 조이 랜돌프 또한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주는데, 아들을 향한 그리움을 마음 속에 꾹 눌러 담고서 무표정한 얼굴로 일관하던 여인이 점차 그 그리움과 마주하면서 어굴에 마음을 실어내는 과정을 가슴 따뜻하게 보여줍니다. 더불어 이 영화로 데뷔한 도미닉 세사는 세 주인공 중 한 명인 앵거스 역을 훌륭히 소화하는데, 앞선 두 베테랑 배우의 노련한 완급조절 연기와 대비될 수 있는 다소 거친 질감의 연기가 오히려 서툴지만 진심 어리게 캐릭터를 그려내는 듯해 인상 깊었습니다. 예민하고 뾰족하고 무겁지만 인간미가 한껏 묻어 있는 이들의 연기 덕에 영화는 더욱 편안하게 마음을 나누며 볼 수 있는 영화가 되었습니다.
떨치기 힘든 무게의 고독과 상처 앞에서 무리한 포옹과 유대의 강요는 오히려 불편함을 더할 수도 있습니다. 당장의 포옹 대신 각자의 고독 위에 서서 서로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세상은 덜 외로울 수 있다고 말하는, 약간의 거리를 둔 이 영화의 위로는 그래서 여느 영화보다도 더 따뜻하고 편안하고 깊게 우리의 마음을 어루만질지도 모릅니다. <바튼 아카데미>는 외롭고 싶고 외로울 수 밖에 없는 저마다의 사정에 귀를 기울이면서도, 그 외로움이 짙은 그늘을 드리울 때 언제든지 잡을 수 있도록 가만히 손을 내미는 조용한 위로로 보는 내내, 그리고 보고 나서도 한참을 기분 좋은 여운에 잠기게 하는 영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