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진만 Jun 26. 2022

끝내는 깨어질 그 결심

인상적인 영화리뷰 2022 - <헤어질 결심>

<헤어질 결심>(Decision To Leave, 2022)


박찬욱 감독이 공언한 대로 자극을 최대한 걷어낸 채 그 자리를 요사스런 인간의 마음에 대한 탐구로 가득 채우는 영화 <헤어질 결심>은 '수사 멜로극'이라는 장르의 전형성을 빗겨가며 수사가 곧 사랑이, 사랑이 곧 수사가 되는 놀라운 경험을 선사합니다. 폭력성, 선정성에 있어서 박찬욱 감독에게 고유하게 적용되는 기대치라는 게 있다면 이 영화는 그걸 너끈히 배신할 텐데, 그럼에도 감독은 그 모든 것들을 배제한 다른 차원에서 얼마나 멋진 영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이 영화로 증명합니다.


한 남자가 산에서 떨어져 숨진 채로 발견되고, 부산 경찰서의 형사 해준(박해일)이 사건을 맡게 됩니다. 해준은 숱하게 떠오르는 창작물 속 한국 형사의 이미지와 완전히 다른, 젠틀하고 친절하며 깔끔한 스타일의 형사입니다. 부산 근무 와중에도 지방 도시 이포의 원전에서 일하는 아내 정안(이정현)을 꼬박꼬박 찾아가 밥을 해먹일 정도로 가정적이고요. 해준은 숨진 남자의 젊은 중국인 아내 서래(탕웨이)를 의심하고 그녀를 역시 그만의 조용한 방식으로 추적하기 시작합니다. 남편이 산에서 돌아오지 않을 때면 '마침내' 죽을까봐 걱정했다는 식의 미묘한 단어 사용, 남편의 죽음 이후 너무나 평온하게 자신의 삶을 이어가는 태도 등으로 인해 해준은 서래를 의심하고 동시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그런 해준의 마음에 서래는 뜻밖에도 너무 쉽게 화답하고, 그렇게 두 사람 사이 예기치 못한 마음이 피어납니다. 그러나 해준이 수사하던 사건의 진상이 드러날수록, 그들의 관계 또한 뜻밖의 방향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정말 서래는 해준의 의심대로인 사람일까요. 아니 어쩌면 사건은 그저 시작에 불과할지도 모릅니다.


<헤어질 결심>(Decision To Leave, 2022)


<헤어질 결심>이 표방하는 '수사 멜로극'이라는 장르는 얼핏 과거의 '필름 누아르' 장르를 떠올리게 하지만, '필름 누아르 장르물로 만들고 싶지 않았다'는 감독의 말처럼 영화는 특정 장르의 익숙함을 빗겨가는 모습들로 가득합니다. 보통 '수사 멜로극'이라 하면 수사하다 사랑하거나, 사랑하다가 수사하는 식의 로맨스물+수사물 결합을 떠올리게 하지만, <헤어질 결심>에서는 수사가 곧 사랑이고 사랑이 곧 수사가 되며 로맨스와 수사 장르가 아예 합일됩니다. 이는 수사와 사랑 사이에 존재하는, '마음을 추적한다'는 공통분모가 영화의 핵심적인 정서이기에 가능한 부분입니다. 감독이 '수사 멜로극'이라는 장르를 가져온 것은 수사의 서스펜스와 멜로의 로맨틱함을 선사하기 위함이 아니라, 그가 그리려는 사랑의 감정이 이 수사라는 형식을 빌어야만 비로소 밝힐 수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수사의 끝에 기다리고 있는 것은 명명백백한 사건의 진실이 아니라 맞닥뜨려도 안갯속 같은 사람의 마음이고, 때문에 이야기를 파고들수록 뇌가 아닌 마음이 요동치는, 진정 '수사 멜로'이기에 가능한 감정의 동요를 겪게 됩니다.


과거작에서도 그러했듯 박찬욱 감독은 이번에도 시대상이나 사회상을 적극적으로 투영하기보다 그런 초상들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을 만큼 촘촘한 영화적 세계를 구축하고 입체적인 인물들을 세워두었습니다. 그러나 그 세상 안에서 그런 인물들을 앞세우고 누비는 마음이라는 미궁은 영화 밖 세상보다 더 고약하고 지독합니다. '영원한 사랑'이라는 개념이 비로소 성립되는 순간이 언제인지 묻는 질문에 영화는 '끝내 닿지 못할 때'라고 답합니다. 입에 올리는 순간 흩어지고, 손에서 멀어지는 순간 가슴에 사무치며, 애타게 부르고 헤맬수록 더 선명해지는 것. 그리하여 '헤어질 결심'이란 곧 언제 사라질지 모를 마음을 품겠다는 일종의 선언이자 필연적으로 '깨어질 결심'이 되는 것. 영화는 형사 해준과 용의자 서래가 일방적으로 추적하며 추적당하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를 엿보고 뒤쫓는 관계임을 보여주면서, 인간으로 하여금 헤어나올 수 없는 사랑의 안개 속으로 제발로 들어가게 만드는 감정의 고약한 역학을 그려갑니다. 크게 부산과 이포, 두 개의 챕터로 나뉘며 마무리되었다고 생각한 순간 전혀 다른 국면으로 접어드는 이야기의 흐름은 어느 한쪽의 시선만으로 오롯이 완성될 수 없는, 상호간의 긴장과 절박함을 짚었을 때 비로소 그려지는 사랑의 조감도를 보여줍니다.


그런 사랑의 속성을 빌어서 '사랑한다'는 말과 행위를 제외한 모든 수단으로 구현되는 사랑의 시간들은 낯선 만큼 매혹적입니다. 말할 때 문학적 수사를 곧잘 사용하는 해준의 성격과 한국말에 서툰 서래의 특성을 반영한 신선한 어휘 사용이 일단 돋보입니다. '마침내', '단일한', '중단하다' 같이 사람과 사람 사이 대화의 화법에서는 좀체 쓰이지 않는 표현들은 대화의 템포를 바꾸며 관객의 의식을 깨우는 동시에, 빤하지 않은 말로 재구성되는 사랑의 정의를 생각하게 합니다. (주인공을 중국인으로 설정한 것이 캐스팅 뿐 아니라 감정을 구현하는 방식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수사물의 얼개 안에서 일반적인 사랑의 행위와 거리가 먼 행동 양태로 사랑을 드러내고 감정을 피력하는 모습은 어렴풋한 웃음을 자아내는 한편 그 의도를 곱씹어 보며 내재된 사랑의 감정에 관객 또한 더 짙게 매달리게 만듭니다. 이렇게 박찬욱 감독은 이쯤되면 폭력적, 성적 자극이 의도적으로 배제되는 게 아니라 맥락상 들어갈 틈이 없겠다 싶은, 보이지 않고 잡히지 않는 사랑의 감정을 갖은 방법으로 뒤쫓고 그리며 해석하는 인간의 감정 서사를 그물처럼 그려나갑니다.


<헤어질 결심>(Decision To Leave, 2022)


감독의 이전 영화들에서 볼 수 없었던 배우들이 함께 하며 만들어가기에 그 서사의 그물은 특히 더 흥미롭습니다. 탕웨이 배우는 <색,계>가 나온지 어느덧 15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도 이 영화로 언어를 초월한 연기의 힘과 결을 실감케 합니다. 한국어 연기를 원어민처럼 유창하게 하지 않고도, 발화하는 단어 속 발음의 굴곡 위에 감정을 싣는 게 가능하다는 걸 보여주죠. 때로는 번역기에 실어 유창하고 솔직하게, 때론 직접 전하는 한국어로 서툴지만 종종 공격적이며 그래서 결정적인 정서는 우리가 흔히 아는 말로 익숙하게 표현해선 안되는 영화 속 사랑의 고유함을 드러내며 보는 이의 마음에 파문을 일으킵니다. 역시 이 영화로 박찬욱 감독과 첫 호흡을 맞추는 박해일 배우가 보여주는 예측불허의 연기 또한 놀랍습니다. 수사 현장에서까지도 수트로 풀착장할 정도로 자기를 통제하는 인물이 맞닥뜨리는 당혹감과 애타는 마음을 독특한 뉘앙스가 담긴 표정과 말로 그려내며 자잘한 웃음을 주다가도 커다란 감정의 파고가 들이닥치게 합니다. 이 밖에도 해준의 아내 정안 역의 이정현 배우, 해준의 후배 형사인 수완 역의 고경표 배우와 연수 역의 김신영 배우, 박용우, 박정민 배우 등이 영화의 축을 이루는 해준과 서래의 심리적 추적에 더욱 풍부한 풍경을 만들어 줍니다. 


드러내지 않고 감정의 깊고 하염없음을 그려내라는 것은 아마 박찬욱 감독이 스스로에게 부여한 과업이었을텐데요, <헤어질 결심>은 해결되지 않은 아니 해결할 수 없는 '미결사건'으로서 사랑을 수사하며 그 과업을 아름답게 수행해 냅니다. 그 결과 당도한 엔딩에서는 파도처럼 밀려와 잉크처럼 번지는 여운을 거부하기 어려울 것이고요. 전혀 생각지 못한 방식으로 선명한 사랑의 인장을 새기는, 박찬욱 감독이 이전과는 전혀 다른 차원에서 내놓은 마스터피스입니다.


<헤어질 결심>(Decision To Leave, 2022)


매거진의 이전글 가능성의 우주로 떠날 수 있는 용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