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ino Jan 07. 2024

공현절의 왕을 정하는 인형, 페브

- 프랑스에서 매년 1월 6일은 갈레트 데 루아 를 먹는 날!


새해가 시작되고

지난해 크리스마스의 기억이 조금씩 사라져가는 때다.

     

크리스마스로부터 열 두 번째 날을

주현절, 혹은 공현절이라고 하는데 동방박사로 불리는 3명의 왕이 예수를 만난 날로

예수의 신성이 세상에 공식적으로 일려진 것을  기념하는 교회의 대축일이다.     

또한 크리스마스 축제의 마지막날이기도 해서

가톨릭 및 기독교 국가에서 이 시기를 기준으로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을 정리한다. 

   

셰익스피어의 희극 제목 <십이야>도 주현절을 일컫는 말이다.

프랑스에서는 이때 페브(féve)라는 조그만 도자기 인형을

활용한 재미있는 풍습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갈레트 데 루아(Gallette des Rois:왕의 케이크)라는 빵을 나눠 먹는데

이 빵안에 페브를 하나 넣어둔다.   

빵을 나눠 먹을 때 이 페브가 들어간 조각을 가진 사람이

그 날의 왕이 되어 잔치를 주재하게 되는 풍습이다.


페브는 잠두콩(누에콩, fava bean)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원래는 빵에 콩을 넣었던 데서 유래한다.     

프랑스는 이 콩을 1870년부터 세라믹 인형으로 대체했고 

인형의 이름은 콩의 이름으로 그대로 불리게 된 것이다.

화가 야콥 요르단스는1638년 <공현절의 왕>이라는 그림을 통해

당대의 이같은 풍습을 묘사하고 있다.

그림에서 왕관을 쓴 사람은 콩이 들어있는 케이크 조각을 차지한 사람이었고

호기롭게 술을 마시는 중이다.


이같은 풍습의 기원은 고대 로마로 추정된다.

로마에서는 사투르날리아라는 농경축제 기간에

빵에 작은 장식품을 숨겨두곤 했었는데 이 장식품을 발견한 노예가 축제의 왕이 되어 

자유롭게 놀았던 데서 유래한 걸로 본다.


갈레트 데 루아는 왕 역할을 맡는 사람을 위해 왕관 장식과 함께 판매되곤 한다.

누군가를 그날의 왕으로 만들어 주었던 페브는 그렇게 자연스럽게

행운의 상징이 되었고 페브 인형은 많은 수집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작가의 이전글 마트료시카보다 호두까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