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트루 Dec 12. 2017

국민학교 시절 일기장이 가져다준 행복

솔직담백 때묻지 않은 순수한 나를 마주하다.

엄마는 내가 국민학교 시절  매일을 작성한 일기를 버리지 않았다. 이사할 때마다 20년도 더 된 그 일기장들을 가장 먼저 챙기곤 했단다. 꼭 이 일기를 모아서 내가 나중에 낳을 아이에게 보여준다는 엄마만의 깊은 뜻이었다. 그 시절엔 매일 일기를 써서 제출하는 게 숙제였다. 하루가 끝나가는 날 의무감으로 작성하는 일기였고 자발적으로 쓰는 날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기장을 제대로 열어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시댁에 인사를 드리고 친정으로 건너온 나는 진정한 긴 연휴를 맞이했다. 온몸의 긴장이 풀려 버린 탓인지 무얼 먹어도 소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 딱히 활동적으로 움직일 수도 없었다. 신랑도 일이 생겨 나와 함께할 수 없었기 때문에 오로지 나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생겨났기 때문일까. 신랑과 떨어져 친정에서
내가 쓰던 방에 몸을 누였을 때  책꽂이에 꽂혀 있던 일기장 하나를 집어 들어 무작정 읽기 시작했다.
몸은 지쳐 있었으나 정신만은 아침햇살처럼 말짱했기에...




주로 4~5학년 때의 일기였는데... 참 솔직했었구나 나.

일기를 읽는데 기억이 오롯이 되살아 나는 느낌이었다. 비디오테이프를 다시 감아 다시 재생시키는 듯했다. 한 글자 한 글자씩 천천히 읽어내려 가는데 까맣게 잊고만 있던 그 시절의 일들이 우두둑 저 먼 우주에서부터 쏟아져 내 안으로 들어오는 것만 같았다.  


분명 선생님이 검사하는 일기임을 알았을 텐데도 내 일기장은 부끄러울 정도로 솔직했다.

내 안에 두려움부터 미래에 대한 열망, 외모적인 콤플렉스부터 친구들과 싸우고 화해한 일들까지..


그 날 일어났던 임팩트 있던 일이라면 선생님이 어떻게 생각하실까 단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사람처럼 연필을 들고 거침없이 써 내려간 흔적들이 보인다. 간간히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며 몇 번씩 글을 썼다 지웠다 하는
지금의 내 모습과 는 정말 판이하게 다른 <나>를 마주한 것이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 그 시절의 나는 홍정욱의 7막 7장이라는 그 두꺼운 책을 (물론 엄마의 교육방침에 따른) 완독 했었다. 그 책을 다 읽고 그가 얼마만큼 진실되게 책을 썼을까 하는 조금의 의심도 없이 <홍정욱>이 걸어온 인생의 발자취를 존경하기에 이르렀다.

일기장 속의 나는 책을 읽고 느낀 감동을 친구들과 공유하고 나누고 싶었지만 그럴만한 친구가 없었던 것 같다. 돌아보면 5학년이 읽기에는 버거운 책이 맞았는데 엄마는 내가 그 책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믿고 계셨단다. 그 덕에 난 또래들보다 성숙했고 인생이 진지하게 다가왔었다.
그래서인지 일기장에는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다짐들과 인생에 대한 나만의 철학으로 가득하다.


내 일가장과 닮은 인생영화 <플립>


기억 속에서만 존재하는 친구들도 일기장에는 현재의 일처럼 존재했다. 짝꿍이었지만 맨날 싸웠던 정*석, 뒷자리에 앉았다는 차*, 선영이, 재영이, 지연이 등등 눈부시게 밝고 환했던 그 시절이 잠들어 있던 내 잔잔한 기억을 깨웠다.


그들은 다 어떻게 지낼까. 몇몇은 결혼했다는 얘기를 건너 듣기도 했었다. 흐르는 대로 살다 보니 그 친구들은 저 멀리 기억의 창고에 담아 던져뒀었는지도 모르겠다.


선생님 이름도 까맣게 다 잊었는데 일기장에 선생님 이름도 등장한다. 내가 가장 존경했던 선생님은 3학년 때 담임 이셨던 이효선 선생님 이라는데.. 난 그 선생님 얼굴이 전혀 기억이 나질 않는다. 그보다는 내가 좋아했던 남학생 윤** 얼굴만 뚜렷하다.


그때는 정말 매일 일기를 쓰는 게 왜 숙제여야 하는지 알 수 없었다. 자의든 타의든 반 강제적으로 썼던 일기가 왜 중요했는지 일기를 읽어보니 알겠다. 그 시절 매일 썼던 일기는 글쓰기의 자양분이 되었고 그날 하루의 감정이 쏟아지는 창구였기 때문에 아이의 정신건강에도 매우 이로웠다 생각한다.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한 속 마음을 일기장을 벗 삼아 털어놨었기에  그 어느때보다 건강하고 자유로웠을 것이다.


타임머신을 타고 1990년대로 훅 날아갔던 그 시간들을 돌아보니 늘 두꺼운 가면을 쓰고 사회 생활을 하는 것 같은 지쳐버린 나를 본다. 다시 일기 쓰기를 시작해 볼까 싶다. 그 누구에게도 말 하지 못한 내 안에 꽁꽁 숨겨둔 이야기들을 풀어놓다 보면 지금 보다는 좀 더 여유로운 시각으로 인생을 바라볼 수 있게 되지 않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3. 욕망과 미니멀리즘 그 사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