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삶의 기술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물루티 Mar 03. 2016

전문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끊임없이 자료를 모으고 분류해라

지식사회에서 전문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부단한 노력을 통해 만들어진다. 어떤 노력인가? 자료를 정보로 만들고 거기서 지식을 추출하는 노력이다.


첫번째는 자료, 즉 데이터다. 업무 영역에서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사건을 데이터화 해야 한다. 사소한 것 하나도 기록으로 남기고 한군데로 모아라. 그러나 데이터가 축적된 것만으로는 아무 의미가 없다. 끊임없이 분류하고 선별해야 한다.


두번째는 정보다. 데이터가 분류되고 정리되면 그것이 정보다. 정보는 가공의 정도에 따라 바로 응용해서 쓸 수 있는 수준과, 참고만 할 수 있는 기초 정보가 있다.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정보의 품질을 높이는 노력이 전문가를 만든다.


세번째는 지식이다. 정보와 정보 사이에 흐름을 연결하고 현재 상황에 접목할 수 있는 의미를 도출하면 지식이 된다. 여기엔 인과관계를 살펴 맥락을 짚어내고, 상황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된다. 업무에서 누군가를 똑똑하다고 할 때의 그 똑똑함이 바로 이런 자질을 의미한다.


지식에 하나를 더 추가한다면 지혜다. 그것은 프레임워크화된 지식이다.


현상에서 지식을 이끌어내는 과정이 완벽히 체화돼서, 업무와 관계없는 문제에서도 동일한 프로세스 답을 찾 수 있는 능력이다. 이것이 우리가 어떠한 분야에서든 일가를 이룬 사람에게 마스터라 호칭하며 존경심을 갖는 이유다.


전문가는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최소한 10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다. 경력 10년차가 넘는다고 아무나 전문가가 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전문가가 되려면 현재 자신에게 '지식엔진'이라고 말할 수 있는 기반이 있어야 한다.


지식엔진이란? 자신만의 자료뱅크, 정보DB, 지식매뉴얼. 그리고 그것들 간의 수집.처리.도출의 3행정을 의미한다. 남들 앞에 당당하게 내놓을 수 있는 '만의 지식처리 프로세스', 그것이 있느냐 없느냐가 10년 후를 결정할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다 때려치고 여행이나 다닐까?'라고 말할 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