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 동생
동생의 카톡 프로필 사진을 봤다.
달팽이 사진이었다.
동생한테 외롭냐고 물었다.
달팽이가 외로워 보였으니까.
동생은 달팽이가 불쌍했다고 대답했다.
이윽고 달팽이는 자기 몸을 밀고 나간다고 했다.
온 힘으로 필사적으로 이동한다고 말이다.
인간으로 치자면 엎드려서 반동을 준다고 말했다.
그래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난 김수영이 생각났다.
시를 쓴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면 다음 시를 못 쓰게 된다. 다음 시를 쓰기 위해서는 여태까지의 시에 대한 사변(思辨)을 모조리 파산(破算)을 시켜야 한다. 혹은 파산을 시켰다고 생각해야 한다. 말을 바꾸어하자면, 시작(詩作)은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고 <심장>으로 하는 것도 아니고 <몸>으로 하는 것이다. <온몸>으로 밀고 나가는 것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온몸으로 동시에 밀고 나가는 것이다. …… 온몸으로 동시에 온몸을 밀고 나가는 것이 되고, 이 말은 곧 온몸으로 바로 온몸을 밀고 나가는 것이 된다. 그런데 시의 사변에서 볼 때, 이러한 온몸에 의한 온몸의 이행이 사랑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그것이 바로 시의 형식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_ <시여, 침을 뱉어라> 중에서 발췌, 『김수영 전집 2 산문』
[출처] [민음사 리뷰어] <온몸으로 밀고 나가는 것이다> (대한민국 출판의 힘, 민음사) |작성자 설해목
시작은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고, 심장으로 하는 것도 아니고, 몸으로 하는 것.
온몸으로 밀고 나가는 것, 정확하게 말하자면, 온몸으로 동시에 밀고 나가는 것.
온몸으로 동시에 밀고 나간다. 이 말이 와 닿았다.
동생이 한 말과 같은 맥락에 있는 지점
내가 한 일들의 실패가 생각이 났다.
머리로만 했고, 심장으로만 했다.
무수히 실패했고 깨졌다.
온몸으로 하지 않아서,
달팽이도 온몸으로 미는 데,
온몸을 다해서 앞으로 나아가지 않아서,
이윽고 그 온몸에 의한 온몸의 이행이 사랑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해서,
말로는 사랑한다 했지만,
결국엔 나 자신이 상처를 안 받기 위해 발버둥만 쳤다.
결국엔,
온몸으로 밀고 나가는 그 행위,
머리만으로도 심장으로도 안 되는 그 행위는,
사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