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isu Kim Feb 23. 2024

정의 내리기

브랜드의 나다움 찾기

브랜드 분석에 이어지는 2번째 파트는 나의 브랜드가 어떤 곳이어야 하는지를 정하는 단계입니다. 다른 서비스에서는 접할 수 없는, 우리만의 차별화된 경험을 설정하는 것이죠. 브랜드가 어떤 가치를 누구에게 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구상해보는 시간입니다.


1. 비전&핵심 가치: 우리가 달성할 현실적인 목표와 방법

브랜드 분석 단계에서 미션을 정했다면, 이에 뒤따라 오는 구체적인 목표들을 정해야 합니다. 거시적으로 브랜드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게 미션이라면, 이를 이룰 수 있도록 쪼개주는 역할을 비전과 핵심가치가 해준다고 볼 수 있겠네요.



미션이 브랜드가 존재하는 이유(Why)를 제시한다면 비전은 이를 달성할 구체적인 목표(What)을 가리킵니다. 다소 추상적일 수 있는 미래상인 미션을 보다 현실적인 문구와 단어로 뒷받침해주는 것이죠. 따라서 비전은 브랜드를 만들어가는 구성원들이 눈앞의 업무를 할 때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이정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딜라이트룸 | Make people’s morning successful
스푼 | To be a community of meaningful connections and amplified voices


핵심가치는 미션(Why)와 비전(What)을 이룰 수 있는 방법(How)를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입니다. 일을 할 때 내려야 할 의사결정의 기준이 되는 규칙들이죠.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갖춰야 할 마인드셋을 알려주어 구성원들이 업무할 때의 혼선을 줄여주는 기능을 합니다. 보통 핵심가치는 형용사나 명사, 어구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아래의 예시들을 보며 감을 잡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9cm |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경계를 무너뜨리는, 누군가에게 영감을 주는,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는, 미래의 스타를 인큐베이팅하는, 엉뚱한
삼분의일 | 합리적인, 전문적인, 섬세한


핵심가치의 경우 서로 다른 키워드나 어구들이 모여 구성원들이 실제로 행동을 할 때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함이 중요한 지표가 되겠네요.


2. 핵심 경험

문자 그대로 사용자가 나의 브랜드에서 반드시 겪어야 할 순간을 의미합니다. 이 때의 과정은 감정적, 기능적인 순간으로 나눌 수 있을텐데요. 아래의 질문들에 답해보며 차별성 있는 경험을 설계하고 계신지 체크해보시길 바라요.

다른 곳에서는 겪을 수 없는, 우리만이 줄 수 있는 경험이 무엇인가요?

어떤 기능적인 차별성을 가지고 있나요?

사용자가 감성적으로는 어떤 감정이나 느낌을 겪길 원하나요?

위의 내용을 생각하며 참고했던 브랜드 중 하나는 바로 와디즈입니다. 와디즈는 기능적으로는 ‘자신만의 가치와 이야기를 가진 메이커가 쓴 프로젝트 스토리를 볼 수 있다’는 차별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구매자는 응원하는 프로젝트의 ‘서포터’가 되어 애정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게 되죠. 브랜딩 잘하기로 소문난 29cm의 사례 또한 어깨 너머로 배우기 좋은 예시입니다. 29cm에서 소비자는 가치 있는 브랜드를 스토리텔링과 함께 큐레이션 받을 수 있고, 엄선되고 유니크한 브랜드를 소비하고 있다는 뿌듯함을 얻을 수 있게 될 것 같아요.


여기까지 브랜드 전략의 2번째 단계를 간단하게 적어보았는데요. 브랜드를 정의하는 단계는 시간이 참 많이 듭니다. 다른 팀원들과 합의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명시적인 문장을 완성하기까지 험난한 과정을 겪게 되죠. 하지만 이 단계를 분명하게 정의할 수록 여러분의 브랜드는 남들과는 다른 차별성을 뽐낼 수 있게 될 거예요. 오늘도 고군분투하며 브랜딩을 고민할 실무자 분들을 응원하며, 다음 회차에는 타깃과 편익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서 해볼게요.

작가의 이전글 스타트업에 다닌다는 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