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라의 『작은 종말』리뷰
2024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의 수상 이유에 대해 스웨덴 한림원은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하는 강렬한 시적 산문”이라는 평을 전했다. 이를 통해 이 시대의 소설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어떤 질문과 대답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정보라의 『작은 종말』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읽어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소설집에 있는 작품들은 하나같이 우리가 겪어왔고, 겪고 있는 일들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르포르타주를 마주하는 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하지만, 외계인과 미래 사회, 기계 몸 등이 등장하는 SF적이고 환상적인 세계를 능숙하게 다루고 있기에 이것이 소설이라는 인식은 명확하다. 그리고 그렇게 형성된 거리감을 확인하면 작가가 소설이라는 형식을 사용해 이야기하는 이유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중략)
우리는 이 소설집을 읽어가면서 작가가 제시한 지향점들을 제법 명확하게 확인하게 된다. 우선은 지나온 길로서의 역사이고 사건들에 대한 것이다. 「증언」은 이것에 대한 뚜렷하고 강력한 선언 같은 글이다. 5‧18 민주화 항쟁에서 입은 상처를 가지고 있는 주인공 ‘완’은 치료를 위해 인공지능 시뮬레이션의 도움을 받게 되는데, 그것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것들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또 다른 상처 입은 자들의 기억이다. 6‧25 전쟁 중 있었던 노근리의 학살이나, 제주 4‧3이나 보도연맹의 학살 사건, 일제 강점기 때 있었던 위안부에 대한 기억들까지 생생하게 전해진다. 아픔의 기억이 덧씌워지는 것이 힘들 수도 있지만 작가는 그 기억들이 서로를 위로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렇게 서로를 위로하면서 연대를 이룬 기억들은 그러한 아픔들을 반복하지 않기 위한 더 나은 모색들로 이어질 거라는 희망을 제시한다.
(중략)
소설집 전반에 걸쳐서 보여주는 현실의 문제들은 환상적인 것들로 분장하고 있지만 현실의 그것을 그대로 담아놓았다. 외계인이 등장하고 귀신이 나오며, 차원을 넘어 다니는 이들이 있어 지구의 환경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러한 세상에서도 하나도 변하지 않은 지구의 인간들은 지금도 발생시키고 있는 문제들을 똑같이 만들어 낸다. 그리고 그렇게 변하지 못한 인간들이 만들어 낸 문제는 그 어떤 기술력이나 마법과 같은 것들로도 해결할 수 없다. 지구를 평평하게 창조한 외계인들이 등장해도 해결할 수 없다. 그것들이 우리를 구원할 수 없고, 우리의 세계를 더 나아지게 할 수도 없다는 진리를 마주하게 된다. 대신 소설은 우리가 현실을 제대로 마주할 것을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우리는 한 공간을 점유하고 있으니 이러한 지향점을 공유하지 않겠느냐고 계속해서 묻는다.
(중략)
마지막으로 과거에서 현재를 지나 미래를 향하는 이러한 선언들을 작가가 소설로 남기고 있는 것에 대한 의미를 작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무르무란」에서 주인공 검은깃털은 임신한 몸으로 미래로 전해지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한 상태로 벽화로 전해지지 못했던, 입에서 입으로만 전해지던 세계의 비밀들을 벽화로 남기려고 한다. 하지만 있는 그대로 남길 수 없어서 변장한 모습으로 벽에 새기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예술로 작가의 경우에는 소설로 표현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군가는 잊어버리게 되어서, 혹은 덮어두고 외면해 버려서, 혹은 왜곡되고 호도되어서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는 지금 이곳 우리들의 삶에 대해서 누군가는 전해야 하고 그것이 이 시대에 소설이 아직도 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믿으면서 과감하고 치열하게 쓰는 것이다.
이 글은 한국연구원 웹진 《한국연구》의 리뷰대리뷰 섹션에 실렸습니다. 전문은 웹진 《한국연구》 웹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