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재거니 Apr 18. 2024

퇴행성 내반슬(오다리)

무릎과 무릎 사이가 벌어지는 내반슬(오자다리)은 영유아기에 많이 나타나지만 나이 들어 퇴행성으로도 생긴다.


나이 들면 애가 된다더니...


문재인 전 대통령이 걷는 모습이 뉴스 화면에 등장하면 내 눈에 들어오는 것은 잔뜩 벌어진 무릎과 무릎 사이와 어색한 걸음걸이다. 아주 전형적인 오다리 걸음걸이다. 1953년 생이니 지금 71살이다. 퇴행성관절염에 의한 것이다. 공수부대 출신이었어도 노화는 어쩔 수 없다.


2024년 총선에서 국민의 힘이 대패한 후 중진 간담회가 열렸다. 뉴스에 참석하는 다선 국회의원들의 모습이 보인다. 1960년 생 국회의원의 걸음걸이가 완전 오다리다. 나도 설마 저렇게 걷고 있는 것은 아닐까?


젊었을 때 아주 예뻤을 할머니를 안다. 칠순을 넘겼으리라 예상하는데, 아직 걸음걸이는 자연스럽지만 무릎과 무릎 사이가 충분히 넓다. 겨울에는 앵클부츠를 신고, 아직 배드민턴을 칠 수 있는 복 받은 할머니다.


오다리는 노화에 의한 무릎관절의 변형에 따른 것이다. 노화는 막을 수 없다. 어쩌면 노화의 진행을 멈추게 하거나 느리게 할 수 있다는 것은 '사기'일지 모른다.


무릎관절의 변형이 생겨 오다리가 되면 무릎 안쪽 연골에 더 많은(거의 모든) 하중이 걸린다. 관절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심지어 체중을 감량하라는데, 무릎 관절 좌우 연골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하중이 분포하지 않고, 안쪽 연골에만 하중이 집중되면 그 부분이 가속노화하게 된다. 연골의 수명이 다하면 결국 인공관절 수술 외에는 방도가 없다. 많은 정형외과 병원에서 오다리를 교정할 것을 권한다. 교정의 방법은 정도에 따라 운동, 장치(깔창 포함) 및 기구 등이 있지만, 종아리 뼈를 쐐기형으로 잘라 벌려 교정하는 수술(근위경골절골술)도 있다.


노화로 인한 오다리가 무릎연골을 빨리 노화시키니, 오다리를 빨리 교정하여 연골의 수명을 늘리라는 것이다.


뭔가 좀 이상하다.


노화가 노화를 가속하니, 노화 초기에 수술을 하면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것이다. 재활까지 포함하여 3개월 이상 걸리는 수술이고, 나중에는 뼈에 박은 금속판과 나사도 빼야 한다.


건강하게 오래 살기는 참 힘들다.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송끄란(Songkran)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