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명훈 Feb 20. 2020

2020 정부지원사업 로드맵 설계법 _제1탄

안녕하세요 :)


오늘은 정부지원사업 로드맵 설계하는 부분에 대해 몇 가지 포인트를 공유하고 싶어 글을 씁니다. 아무래도 스타트업 창업교육업을 하다 보니, 주변 분들도 업계에서 일하시는 분들과 창업을 준비하시거나 이미 시작하신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요즘 제 페이스북 피드에 홈쇼핑과 인플루언서 사업 이야기를 올리고 있는데, 글을 보시고, 조심스레 전화를 주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제 근황을 잠깐 말씀드리면, 2020년부터는 '인플루언서 플랫폼' 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컨설턴트가 아닌, 플레이어로 뛰고 싶었고, 빠르고 탄탄하게 협력하고 상생하며 비즈니스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셀러들의 SNS 홈쇼핑 라이브 방송 커머스 (주)셀러비전


강의를 하며, 늘 외쳐댔던 #고객 검증 #시장수요검증은 지난 18개월 동안 해왔고, 지금도 앱 출시 전이라 속도에 맞춰 (예비)유저테스트를 꼼꼼하게 체크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모바일, 커머스, 인플루언서의 조합이다 보니 매출도 빠르게 나오고 있는 편입니다.


현대홈쇼핑 _프리미엄 로얄베르겐 뱀부타올 13,000장 / 12억 매진 찍었습니다.


며칠 전에는 현대홈쇼핑에서 저희 PB 브랜드 #프리미엄 로얄베르겐 뱀부타올을 라이브로 방송했습니다. 왕영은의 톡 투게더에서 방송 진행했고, 결과는 13,000장이 팔렸고, 12억 매진 찍었어요. 이렇게 홈쇼핑에서 검증된 제품들은 다시 인플루언서와 커머스를 연결하여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드는 일을 하고 있어요.


신사업 아이디어 검증 단계에서 2억 원의 매출을 내면서 비즈니스 모델을 빠르게 검증하고 있고, 협력할 수 있는 파트너와 빠르게 상생구조를 만드는데 모든 힘을 쏟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제가 지금까지 해왔던 기술(?)로 기업의 개발과 사업화 자금을 확보하려고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다가, 아직도 정부지원사업 지원 문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이 계실 거라 생각하여, 도움이 되고자 자료를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주)셀러비전 사업 기획 및 성과



저 역시도 플레이어로 정부지원사업에 도전하고 있으니까요 :)

우리 함께 공부해서 지원받아보아요!




아참.

그리고 하나 더 말씀드리면, 지금까지 해왔던 사업계획서 컨설팅으로 수익을 창출할 계획은 없습니다. 다만, 나름대로 노하우가 있기에 인플루언서 사업을 전개하면서 공유할 수 있는 부분들은 공유하고자 하오니, 부디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

창업자금이라고는 들어봤는데, 막상 시작하려니 막막하다고 생각되신다면 아래 기업개요를 잘 봐주세요. 천천히 하나씩 시작해보시면 됩니다.




2020 정부지원사업 로드맵 설계 _제1탄



1. 대표이사 연령

연령을 체크하는 것은 청년에 해당되는지 보는 거예요. 청년 특화지원사업이 있고, 장년만 지원할 수 있는 사업도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창업지원에서는 청년에 한 해 가산점을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성별

여성만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이 있는데, 여성벤처협회 사이트를 잘 살펴보시면 좋고, R&D 창업성장기술개발과제에서도 여성 특화 사업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경쟁률이 일반 과제보다 높지는 않겠죠? 여성 창업자분들께서는 기회 놓치지 말고 지원하시면 좋겠습니다.



3. 개업 일자

본인이 예비창업자인지, 1년 미만인지, 3년 미만인지, 3~7년 미만인지 구분하기 위해서 작성해보는 거예요. 보통 사업자등록일이 7년이 넘어가면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의 폭이 굉장히 줄어듭니다. (물론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만..) 아무튼, 요즘에는 3년 미만의 기업이 지원할 수 있는 사업들도 많고, 폭발적으로 성장해야 할 3~7년 사이의 기업들이 지원받을 수 있는 1~4억 지원규모의 사업들도 있습니다.



4. 작년도 매출

지원사업에서 주요한 성과지표가 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아이디어 단계에서 사업자등록을 해버리는 경우도 종종 보게 되는데, 창업 준비 상황에 따라 사업자등록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정부지원사업에서 실제 매출이 발생되었다면, 심사위원분들께서 늘 지적하시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날카로운 질문을 피해 갈 수 있습니다. 왜냐고요? 매출이 발생했으니까요. 그렇게 되면, 당연히 질문은 사업성 검증보다는 마케팅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사업화 전략으로 질문이 자연스레 옮겨가겠죠.



5. 조직 구성

당연히 혼자 하는 1인 창업보다 역량 있는 팀원들과 함께 창업한 case에 조금 더 마음이 갑니다. 아무리 잘난 1인도 지치기 마련이고, 뭐든 것을 다해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획, 개발, 마케팅, 전략기획, 재무 등등 각 파트에서 함께 어려움을 헤쳐나갈 조직이 구성되어 있을지 여부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물론 투자에서는 더더욱 그렇겠죠.



6. 기업 주소

지역특화 사업이 있어서 체크하는 거예요. 대구에서만, 대전에서만, 제주에서만 지원해주는 사업이 있기 때문에 기업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도 중요합니다. 조금만 고민해보면, 지사 개념으로 중복 여부 체크하여 더블로 사업비를 선정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불법이냐고요? 아니요. 창업진흥원과 모집공고 기관으로부터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지원해야겠죠?



7. 업태/업종

이 부분은 이야기할 게 많습니다. 사업자등록 7년이 넘어가도 이종 창업으로 창업을 하게 되면, 새로 시작한 사업자로 정부지원사업에 지원하여 창업자금을 확보할 수 도 있습니다. 제조업만 18년 했다고 하더라도 소프트웨어로 새롭게 창업을 한 case에 해당되나요? 그렇다면, 당신은 정부지원사업에 도전하실 수 있습니다.



8. 사업지역

실제 충북에서 사업자를 내고, 제주도의 천연원료로 제품을 만들기 위해 제주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case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주의 유명 매장에 창업자의 제품이 입점되었다고 해볼게요. 그곳에서 월 3,000만 원의 매출이 나서 주 3회 이상 제주도로 가게 된다면, 제주도 연계과제를 찾아서 지원해보면 좋습니다. 물론 몇 가지의 조건들이 있겠지만, 찾다 보면 있습니다.



9. 기 수행과제

실제 컨설팅 업을 해오면서 가장 많이 질문받았던 부분입니다. 이미 한 번 받았는데 또 받을 수 있는지 말입니다. 두 번 받았는데, 또 받을 수 있는지, 세 번 받았는데 또 받... 을 수 있는지 말입니다. 정부지원사업을 컨설팅하는 분들도 정확하게 A기업이 최대한 몇 개 사업에 지원해서 얼마의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지 100% 정확하게 예측하고 설계하는 건 어려울 겁니다. 다만, 흔히 알려져 있는 사업들을 조합하고, 컨설턴트마다 특화되어 알고 있는 정보들을 모아서 알려줄 수는 있겠죠.


아무튼, 요즘에는 정부지원사업과 사업계획서 관련하여 고퀄리티 교육들이 무료로 모집되고 있기 때문에 조금만 관심을 갖고 찾아보면,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해봅니다. 아무튼 중요한 건, 본인이 지금까지 몇 개의 정부지원사업에 선정되었는지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하고, 그 기반으로 2020년 정부지원사업 로드맵을 설계해야 합니다.



그래도 궁금하시다고요?

cco@sellervision.co.kr 궁금한 사항을 남겨주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위 신청 제외대상도 꼭 체크해야 합니다. 특히 4~5번 사항은 꼭꼭!! 두세 번 체크해야 할 만큼 중요합니다. 다 준비했는데, 마지막에 중복 사업수행 때문에 지원 못하게 된 case 도 있었거든요. 암튼, 꼭 확인해주세요.





이 부분도 드릴 말씀이 많습니다만.

무조건 안 되는 건 아닙니다. 음식점업은 안 되겠지만, 잘 찾아보면 푸드트럭 지원사업도 있고, IT를 입히는 방법도 있습니다. 안된다고 해서 포기하시면 안 됩니다. 방법은 있습니다.





이번에 제가 공유드린 자료는 2020 정부지원사업 로드맵 설계 1탄입니다. 추가적으로 실제 어떻게 나만의 로드맵을 설계하는지 R&D 과제와 투자유치 연계까지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저도 올해 하반기에는 TIPS를 준비하고 있거든요.

이 부분도 진행하면서 노하우와 주의사항도 꼼꼼하게 체크해서 공유드려볼게요.



만약.

지금 이 글을 예비창업자분께서 읽고 계시다면 위에서 설계한 가이드대로 진행해보시면 좋습니다. 무조건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이 정답이냐고요? 아닙니다. 순서라는 게 있습니다. 조금 더 명확하게 사업모델을 만들고,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나온 KPI를 잘 만들어 사업계획서 안에 녹여내야 합니다.


요즘에는 사업계획서 교육이 워낙 많다 보니, 사업계획서 퀄리티가 대부분 높습니다. 그 이야기는 사업계획서의 디자인적인 요소보다는 실제 사업모델의 필요성과 검증, 비즈니스로의 연계, 수익창출 가능성과 그 전략 + 전문성을 본다는 거죠. 따라서, 지자체 창업캠프부터 시작해서 경진대회 입상, 입주지원의 과정을 거쳐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에 도전하시는 편을 추천드립니다.






(주)셀러비전의 경우 아래와 같이 정부지원사업 로드맵을 설계하였습니다.


Pre-TIPS와 R&D 과제, 그리고 지자체 과제들이 있는데, 중복지원 허용까지 15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5억 규모의 지원사업이 가능하냐고요? 가능합니다. 일반 사업화 과제 + R&D 2~3개 + TIPS까지 이어지는 구조로 가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한번 도전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면,

위의 9가지 내용을 작성해보고, 지원 가능한 사업들을 찾아서 정리하는 것이 로드맵 설계의 시작입니다. 아주 쉽죠? 작성하시면서 궁금증이 있으시거나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그럼,

자료 2탄에서는 실제 로드맵을 설계하는 노하우와 시뮬레이션을 담아볼게요. 3탄은 TIPS + R&D 연계 최적 조합에 대해 공유해보겠습니다.



PS.

아참!

정부지원사업 지원전략 가이드 _(주)셀러비전 정명훈 CCO  _hwp  파일을 받지 못하신 분들은 댓글로 이메일을 남겨주세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2020년도 정부 창업지원사업 통합 공고 [다운로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