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봄소리 Aug 08. 2017

어른의 맛, 쓰다

어린 시절 친척들과 함께 저녁을 먹는 자리에서 보리차인줄 알고 맥주를 마신적이 있었다. 

"우엑, 아우 써. 이런 걸 왜 마시지?"

맥주의 쓴 맛은 얼굴을 지푸리게 할 정도로 자극적이었다. 하지만 어른들이 맥주를 마시면서 더 웃고 떠드는 모습은 즐거워보였다. 어른들만 마시게 되어있는 술의 맛이 쓰다니, 쓴 맛은 마치 어른의 전유물인것 같았다. 일부러 쓴 맛을 찾을 필요가 없는데 쓴 맛의 어떤 매력에 어른들이 좋아하는 것일까. 혹시 쓴 맛 이상의 어른들만 알 수 있는 또 다른 미각이 있는 것일까. 쓴 음식은 내게 맛이 없었다. 맛있는 걸로 가득한 세상에 쓴 맛은 일종의 돌연변이, 바이러스, 원래 존재하면 안 되는 맛처럼 느껴졌다. 음식이 타면 쓴 맛이 난다. 탄 음식은 잘못 만들어진 실패한 음식이다. 쓴 맛은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로 술이 함께 나오는 자리에서는 보리차와 맥주를 구분하기 위해 마시기 전에 조심스럽게 거품의 흔적을 찾아보곤 했다. 쓴 맛은 내게 어른의 맛이었다. 엄마가 애들은 마시면 안된다고 하시던 커피, 아빠가 좋아하시는 보약, 할아버지가 즐겨 드시는 인삼도 모두 쓴 맛이었다. 술은 금지의 음식이었지만 쓴 맛을 좋아하지 않던 나에게는 별 상관없는 일이었다. 어린시절 모든 금지된 것은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쓴 맛은 예외였다.  



성인이 된 후 마시게 된 맥주의 맛은 여전히 썼다. 하지만 맥주는 쓴 맛 외에도 복합적인 맛을 갖고 있었다. 하얀 거품이 주는 부드러운 맛, 적당한 떫음과 신 맛, 시원한 청량감, 황금 빛 고매한 맛. 어쨋거나 단순히 '쓰다'라는 정의를 상쇄시킬만큼 맥주는 맥주만의 맛이 있었다. 쓴 맛은 맛 자체로는 맛있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맥주처럼 복합적인 다른 요소와 어우러질 때 다른 어떤 맛에서는 느끼지 못하는 정제된 맛이 있다. 달콤한 매력도, 매운 맛이나 신 맛처럼 아주 자극적이지도 않은, 차분하면서도 진중한 맛이다. 혹은 에스프레소처럼 순수한 본연의 맛을 즐기는 재미가 있다. 커피에 설탕과 프림을 타면 달고 부드럽고 맛있어진다. 하지만 그 달콤함은 커피의 맛이 아니다. 커피만의 향과 맛은 모든 커피의 베이스가 되는 에스프레소 그 자체에 모두 담겨있다. 

 


쓴 맛은 우리가 가장 나중에 즐기게 되는 맛이다. 인생을 비유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맛도 쓴 맛이다. 인생의 쓴 맛을 맛봐야만 비로서 인생이 무엇인지 알게 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쓴 맛은 단순히 부정적인 의미만 갖고 있지 않다. '몸에 좋은 약은 쓰다'라는 말처럼 고통에 대한 인내는 좋은 결과를 만든다. 세상일이 쉽지 않고 어려움도 많지만 참고 견디면 또 다른 희망을 만날 수 있다. 어른의 쓴 맛, 아니 인생의 쓴 맛은 순간적이기보다는 연속적이다. 쓰디 쓴 경험을 슬퍼하거나 화내지 않고 더 좋은 날들에 대한 자양분으로 받아들인다. 기왕 쓴 맛이라면 희망에 기대어 꿈꾸어 보는 것이 좋지 아니한가. 


어린 시절에는 먹고 사는 행위 자체가 기쁨이었는데, 어른이 된 지금은 어떻게 먹고 살것인지가 문제이다. 아  인생 참 쓰다, 써. 하지만 당위정처럼 달콤한 껍데기 이면의 본질과의 만남이라면 쓴 맛도 효용력이 있다. 그렇게 우리는 쓴 맛을 알게되며 어른이 되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