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토리생각 May 17. 2024

인공지능시대 직장인의 자기개발은?


바야흐로 인공지능 시대입니다.


엔비디아로 들썩인 미국 주식시장을 봐도 그렇지요. 음, MBA 1학기 첫 수업에서 리포트 쓴게 엔비디아 였는데.. 쩝. 그 때 60$ 이었는데. 오늘 380$이네요.



인공지능시대 많은 직업들이 사라질 것이라 예상을 합니다.


단순 반복적인 직업들 말이죠. 특히, 룰이 정해져 있는 데이터 처리 등의 일들이 그럴 것이라고 합니다. 회계사가 1순위라고 보도하는 미국 신문이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아직은 아닌가 보네요. 작년대비 회계사 2차 시험 응시자가 11.2% 늘었다는 뉴스보도입니다.



회계사 2차 시험 응시자 4258명…전년比 11.2%↑






이미지 썸네일 삭제




회계사 2차 시험 응시자 4258명…전년比 11.2%↑              

[서울=뉴시스] 최홍 기자 = 금융감독원은 제58회 공인회계사 제2차시험 응시원서 접수기간 중 4258명의 응시원서를 접수했다고 25일 밝혔다


newsis.com








요즘 회사에서 일을 하다 보면, 특히 번역기의 역할을 실감하게 됩니다.


몇년 전까지는 당연히 이메일을 쓰기 위해서 구글 트랜스레이트를 초벌 번역 정도로만 썼지요. 그 이전에는 순전히 손으로 콩글리시를 열심히 적을 수 밖에 없었던 시절이고요.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지금은? 웬만한 거 대충 써서 번역기 돌립니다. 


아니면, 자동으로 응답 메일을 써달라고 챗GPT에 얘기하면 그냥 정답이 바로 바로 나오지요. 번역기가 지금의 생성형인공지능과 같은 것은 아니지만, 어쨋든 이것도 인공 번역이니 인공지능의 한 영역임은 분명합니다.



예전에 각 부서별로, 또는 회사의 어느 부서에 번역을 쉐어드 서비스 해주는 조직이 있었는데, 사라진지 오래지요. 직원들 다 알아서 셀프서비스 하는게 현실입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직장인들은 이런 인공지능의 시대에 무엇을 해야 할까요? 


아이러니 하게도 인공지능이 다 처리 가능할 것 같은 '자기개발'을 더 해야 한다고 합니다. 


저는 아무리 봐도, 이제는 웬만한 일처리, 서류작업 등을 생성형 AI가 더 잘할 것 같은데 말이죠. 아이러니 같습니다.



얼마전 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기사,산업기사 답안지가 실수로 파쇄되었다고 합니다.


모르긴 몰라도 변호사 시험도 챗GPT가 통과하는 세상에, 답이 정해져 있는 기사시험과 같은 것은 인공지능의 정보로 충분히 통과하지 않을까 추측해 봅니다.



국가시험 답안지 파쇄 사태… “재시험 제공, 원치 않으면 환불도”






이미지 썸네일 삭제




국가시험 답안지 파쇄 사태… “재시험 제공, 원치 않으면 환불도”              

지난달 치러진 국가기술자격시험 답안지 600여건이 채점을 하지 않은 채 파쇄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시험을 응시하고도 채점을 받지 못한 응시자들은 한 달 가까이 영문을 모르고 합격자 발표를 기다렸다가 시험을 다시 봐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23일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www.segye.com








인공지능 시대. 직장인이 해야 할 자기개발은 과연 무엇일까요?


우리가 지금 그저 옛날 방식대로 하고 있는 자기개발이 5년뒤, 10년뒤에 의미가 있을까요?



열심히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수십년간 배워왔는데, 정작 딥엘 번역기의 반의반도 못한 본인의 어학실력을 볼때, 과연 종래의 자기개발이라는 시간투자를 지금도 그냥 그렇게 하는게 맞는지 의문이 듭니다.



인공지능 시대. 직장인들의 자기개발에 대한 개념과, 목표, 구체적인 액션 아이템을 다시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p.s. 친한 친구가 있습니다. 이 친구는 끊임없이 자격시험을 공부합니다. 그 어렵다는 공인중개사는 물론이고, 이번 주는 행정사 시험을 친다고 합니다. 어쩌다가 보니, 회사의 건물 관리자로 지정되어 소방관리사 2급 자격도 취득을 했답니다. 물론, 이것 말고도 많죠. 친구의 얘기를 듣다가 문득 직장인의 자기개발에 대해 생각이 나서 몇자 적었습니다. 



결국은 인공지능이 대체할 수 없는 뭔가를 '자기개발'해야 하는것 아닌가 싶네요.



다음에는 그 쪽으로 한번 글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직장인자기개발 #인공지능시대자기개발 #인공지능 #자기개발 #번역기 #구글트랜스레이트 #딥엘번역기  





작가의 이전글 심각한 대기업 보고문화, 대안은 없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