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윤주 Jan 17. 2022

나를 이렇게까지 사랑해주다니

(당신이) 나를 이렇게나 사랑해주다니,

하는 감각이 나에겐 있다.


확실히 사랑받고 있다는 감각.

분명한 사랑 속에 있다는 믿음.


손에 꼽을 만한 장점이다.


팩트를 말하는 게 아니다.

팩트라니, 사랑에 그런 게 있을 리가.


다만 누군가와 사랑을 주고받을 때

나는 내 사랑이 상대의 (나에 대한) 사랑에

미치지 못한다고 직감하는 순간이 잦다.

그래서 고맙다고 느낀다. 툭하면.


습관이다.

모든 건 습관이다.

그렇게 감각하도록 단련된 근육 같은.


최초의 근육은 30년 전쯤.

엄마는 내게 말했었다.(당연히 기억 못하실 거다)


윤주야, 세상에 
자식을 위해 죽지 못할 부모는 없어.



그 순간의 음성과 눈빛이 너무 생생하다.

정작 맥락은 어렴풋한데도.


물론 그 말이 맞지 않다는 건 자라면서 충분히 알게 되었지만

내가 그 순간 꼼짝없이 그걸 믿게 되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눈빛과 음성은 사랑이다,라고.


그러니까 거듭

엄마가 그래서 나를 얼마나 사랑했느냐,보다 중요한 것은

내가, 어린 내가, 온 몸과 마음의 근육으로 그것을

‘믿었다’는 것 자체다.


어린 시절의 엄마는 고된 시집살이와 허약한 체력으로  예민했고 

 곤두선 신경을 종종 딸들에게 풀곤 했다.(대개의 부모가 그렇듯이)


하지만 엄마가 어떤 모습이든 간에

엄마가 나를 목숨처럼 사랑한다,는 믿음은

마흔 먹은 지금까지도 내게 유효해서

이 수많은 단점과 약점에도 불구하고 나의 정신을 붙든다.


누군가의 목숨 같은 사랑을 받은 ‘순간’이 있었다는 것.

그걸 내가 인지했고 기억해왔다는 것.

그 관계에서 단련된 근육을, 다른 관계들의 결정적인 순간에도 적용하게 된 것.


‘(당신이) 나를 이렇게나 사랑해주다니’ 하는 놀라움을

인생의 여러 순간마다 여러 사람을 통해 느끼고

그것이 감사로 이어지는 경험들.


인생은 두렵지 않은 적 없고

세상은 이해된 적 없지만


내게 사랑에 대한 감각과,

그것을 감사로 연결하는 근육이 있다는 걸

다행히 나는 아직 잊지 않고 있다.


잊지 않는 한 그러므로

ㅈ같은 일이 난무해도 나는 괜찮은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