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절대낭만 Jonathan Feel Dec 05. 2021

내게 가장 아름다웠던
'가을의 전설'

<1984 최동원>을 타고 만난 최동원

최동원이 천천히 걸어 나온다. 모두 숨죽이고 바라본다. 마운드에 우뚝 선 최동원이 모자챙을 다듬는다. 그라운드에서 가장 높은 곳에서 선 그에게 모든 눈이 쏠린다. 야구장을 지배하는 자가 가질 수 있는 눈빛과 몸짓이 거기 있다. 나를 야구에 빠지게 만든 순간의 시작이었다.


<1984최동원>은 내게 선물이었다. 자이언츠가 ‘다시’ 가을야구에 탈락한 시기, 이른 스토브를 켜야 했지만, <1984최동원>은 세상에서 가장 멋진 가을로 데려다줬다. ‘추억팔이’라는 이름도 좋다. ‘정신승리’라고 불러도 좋다. 낭만과 혹사가 뒤범벅된, 돌아갈 수 없는 야구의 어떤 시절이 타임머신을 타고 내 심장에 콱 박혔다.


1. 나는 한때, 이‘동원’이었다. 


누구도 그렇게 날 부르지 않았지만, 동네야구를 할 때만은 그렇게 불러달라고 땡깡(?)을 부렸다. 맞다. 최동원 때문이었다. 금테 안경을 끼지는 않았지만, 야구소년 이동원은, 최동원의 역동적인 투구폼을 따라 온몸을 비틀면서 힘껏 야구공을 뿌렸다. 사실 폼만 아니라 표정도 따라 했다. 앙다문 입술에, 타자를 제압하겠다는 번뜩이는 눈빛. 비록 내 손을 떠난 공은 대부분 스트라이크존이 아닌 저 어딘가를 향했지만. 형편없는 제구 덕분에 포볼 공장장이었던 나는 야구할 때만큼은 최동원이고 싶었다. 불같은 강속구를 뿌려대고, 아리랑볼 같은 마구로 타자를 꽁꽁 묶고 싶었다.


그렇게 동네에서 야구놀이한답시고 꼼지락대던 야구소년에게 최동원은 야구 그 자체였다. 야구라고 쓰고, 최동원이라고 읽었다. 1984년은 그런 해였다. 초등학교 입학 전부터 야구 기사 스크랩을 하고, 아버지를 따라 구덕야구장을 드나들던, 야구소년에게 최동원은 진짜 야구의 맛을 보여준 영웅이었다. 불같은 강속구도, 뽕삘 나는 아리랑볼도 가질 수 없었던 내가 야구를 하고 싶었던 건, 온전히 최동원 때문이었다. 그때 그 시절, 최동원은 그렇게 야구의 다른 이름이었다.


2. 야구를 사랑하게 만든 남자, 최동원 


2022년이면 프로야구 개막 40년, 자이언츠는 라이온즈와 함께 연고지나 팀이 바뀌지 않은 유이한 구단이다. 하지만 자이언츠의 우승은 단 두 번, 정규시즌 우승은 단 한 차례도 없다. ‘구도 부산’이라는 별칭과 팬들의 열광을 떠올리면, 자이언츠 구단의 역대 성적은 시쳇말로, 개판(?)이다. 그럼에도 아직 나는 왜 자이언츠를 버리지 혹은 떠나지 못하는가.



나는 프로야구가 폭발적인 흥행을 할 수 있었던 첫 번째 모멘텀은 최동원이 일군 1984년 코리안시리즈라고 생각한다. 혼자 4승을 거둔 사건은 한국을 뒤흔들었고, 야구가 보여줄 수 있는 가장 놀라운 드라마가 연출됐다. 드라마로 만들어도 믿기지 않을 사건을 스크린으로 만나면서 나는 결과를 빤히 알면서도 다시 빠져들었다. 어쩔 수 없었다. 그것이 <1984최동원>이 주는 최고의 묘미였다. 함께 영화를 본, 사랑하는 사람에게 말했다.(그녀는 나를 만나기 전, 야구를 몰랐고, 최동원은 그저 이름만 들어본 존재였다.) “최동원 덕분에 야구가 가슴에 팍 들어왔다.” 내 야구의 심장은 최동원이라는 고백이었다. 1984년 당시 세 살배기 야구가 국민 스포츠로 부상할 수 있었던 최초 모멘텀은 최동원이라는 불멸의 존재 덕분이라고 여전히 나는 자신한다.


3. 영화를 보면서 펑펑 울었다. 볼 때마다 울었다. 


<1984최동원>앞에서 심장이 팡팡 뛰었고, 눈시울은 뜨거웠다. 1984년의 야구장에 있는 것처럼 나는 흥분하고 있었다. 그리고 새삼 확인했다. 부산(자이언츠) 야구의 심장은 최동원이라는 사실을. 이 영화는 1984년 자이언츠의 건국(?) 신화를 다루고 있는 신화적인 다큐 영화였다. 영화 속 야구인 모두가 증언하듯, 한국시리즈 4승(그리고 1패)은 현대 야구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당시 1, 3, 5, 7차전을 준비하라는 말은 “너 그냥 던지고 죽어라”는 말의 동의어다. 지금으로선 상상도 할 수 없는 혹사 명령이다. 더구나 그해, 최동원은 정규시즌 절반가량을 나왔다.(총 100경기 중 51경기 출장, 284.2이닝 투구, 27승 13패 6세이브)

당시 강병철 감독은 이런 말을 했다고 전해진다. “동원아, 우짜노. 여까지 왔는데...”

최동원의 답변은 짧고 굵었다. “네, 알겠심더. 마, 함 해보입시더.” 독이 든 성배를 그는 기꺼이 마셨다. 나는 그 말을 했을 최동원의 앙다문 입술과 표정을 상상했다. ‘완전연소’가 아니라면 차라리 사라지고야 말겠다는 승부사의 단호한 표정 같은 것 말이다.


마침내 코리안시리즈를 잡고 감격하는 그에게 스포츠 캐스터가 묻는다. 최동원 선수, 뭘 하고 싶어요? 최동원은 모든 피로를 다 짊어진 듯한 표정으로 말한다. “자고 싶어요.” 내 눈물이 다시 터졌다. 우승으로 세상의 모든 것을 움켜쥔 스물여섯 청년에게 코리안시리즈는 얼마나 무겁고 힘겨웠을까. 다시 그날로 돌아가도 1차전부터 7차전까지 던질 거라는 말은, 오직 최동원이니까 가능한 무엇이다.  

‘신은 부산에 최고의 팬과 최악의 팀을 주셨다.’ 롯데 자이언츠 팬들이라면 고개를 끄덕이는 이 문구. <1984최동원>을 보면서 새삼 이 문구가 떠올랐다. 나는 최동원이 최고의 팬을 낳는 결정적 산파였다고 생각한다. 올드 자이언츠 팬은 최동원에게 일정 부분 빚지고 있다. 자이언츠라는 이름에는 최동원이라는 거인의 지분이 분명하게 있다. 매년 속으면서도, 새로운 시즌이 열리면 알면서도 속아주는 팬들의 마음에는 최동원이 있다. 자이언츠, 어쩔 수 없는 애증 그 이상의 존재.


4. 피하지 않는 남자, 최동원


<1984최동원>의 증언자들은 말한다. 마운드 위의 최동원은 위압감 그 자체였다고. 카리스마가 어마어마했다고. 그라운드 가장 높은 곳에서 고개를 꼿꼿하게 들고, 모자를 살짝 올려서 금빛 안경테 사이로 승부사 눈빛을 품은 최동원은 여전히 멋지고 아름다웠다. 그는 피하지 않는 남자였다. 그도 홈런이나 안타를 맞았다. 그러나 그는 그것을 부끄러이 여기지 않았고 되레, 다음 타석에서 똑같은 구질의 공을 던졌다. 칠 테면 쳐봐라. 지승호 씨의 표현이었던가. 최동원을 두고 ‘단 한 번도 치사하지 않았던 남자’라고 일컬었다. 영화 속 최동원은 진짜 그러했다. 

많은 미디어와 팬들이 최동원을 묘사할 때, 자존심이 강했다는 말을 빼놓질 않는다. 그 말도 백 번 맞지만, 나는 자존감도 덧붙이고 싶다. 모르긴 몰라도, 자존감이 충만했던 야구인, 그만큼 야구를 사랑하고 부산을 사랑했던 사람. 나는 그렇게 멋지고 아름다운 사람을 사랑했다. 


5. 돌아와요, 부산항에  


<1984최동원>에서 최동원은 당시 임호균 선수 아들 돌잔치에서 노래를 부른다. 귀한 영상인데,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열창하는 장면이 나온다. 과거 그에게 부산은 어떤 곳인가, 물었던 기사가 있었다. “차를 몰고 부산 요금소에 들어서면 기분이 참 묘하다. 따뜻한 촉감의 무언가가 몸을 감싸는 기분이 느껴진다. 그러면 속으로 ‘이게 무엇일까’ 하는 생각을 한다. 고향 집에 찾아가 어머니를 뵙고 나를 기억하는 고향 팬들과 만나면 늘 뿌듯하고 고마운 마음이 생긴다.” 영화에서 부산을 사랑했던 남자라는 조진웅 씨의 내레이션이 나온다. 고향을 위해, 야구를 사랑하여 거침없이 공을 던졌던 사람, 최동원이었다. 나는 그의 노래가 무척 슬펐다. 그가 결국 고향 팀 롯데 자이언츠의 감독이 되어 돌아가지 못한 채 생을 끝냈기 때문이다. 


과거나 지금에나, 거품만 잔뜩 끼고 허세만 가득한 부산‘싸나이’들이 난무한다. 제멋대로 부산싸나이를 자부하지만, 어림도 없다. 내게 진짜 부산싸나이의 표본은 최동원이다. 단 한 번도 치사하지 않았던 사나이. 자신의 어깨가 망가질 것을 알면서도 구단과 팬과 자신을 위해 묵묵하게 임무에 나섰던, 불이익이 충분히 예상됐던 일 앞에서도 피하지 않았던 사나이. 앞선 타석에서 홈런을 맞고도 똑같은 공을 던져댈 정도의 배짱과 자존감을 갖춘 최동원이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최동원은 한국 야구사에서 ‘최고 투수’가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최동원보다 강렬하고 최고의 기억을 안겨준 투수는 없다. 

선동렬도 박찬호도 하지 못한, 류현진과 김광현도 하지 못할, 전무후무한 투수이자 야구선수다.


그는 한편으로 스토리텔러였다. 이보다 더 짜릿할 수 없는 환희의 순간을 만들어낸 동시에, 역경과 비난, 좌절이 범벅된 세월을 보냈다. 그러나 그는 세상을 떠난 지금도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별다른 이유는 없다. 최동원이니까! 그는 다시 태어나도 1차전에서 7차전까지 던질 테고, 트레이드를 거부할 것이며, 먼 길을 돌고 돌아 자이언츠 감독이 되는 순간을 기다릴 것이다. 다시 태어나 단 하나 바뀐다면, 그가 롯데 자이언츠 감독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


두 차례 <1984최동원>을 찾았다. 눈물을 흘렸고, 뿌듯했고, 감정이 북받쳐 올랐다. 그렇게 최동원을 좋아했던 어린 시절로 돌아가서 멋진 가을야구를 만났다. 비록 자이언츠는 2021년 시즌에도 가을야구에 진출하지 못했지만, 나는 1984년으로 가서 가을야구 우승을 만끽했다. 최동원 형님은 내게 야구였고, 고향 부산이었다.


전 LA 다저스 감독 토미 라소다는 “1년 중 가장 슬픈 날은 야구 시즌이 끝나는 날”이라고 했다. 나는 올해 <1984최동원>으로 야구 시즌을 끝냈다. 1년 중 가장 슬픈 나날을 맞이하며 평펑 눈물을 흘릴 수 있어서 감사했다. 추억팔이가 됐건, 정신승리가 됐건, 이 영화는 1984년의 최동원을 사랑했던 당시의 모든 이들에게 감히 선물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조은성 감독님은 어쩌면 그때 그 시간과 감정이 뿔뿔이 흩어져 온데 간데 없이 사라졌다 해도, 당시의 마음만은 잊지 않기를, 혹은 그 마음을 길어 올리길 바란 것은 아니었을까. 나는 <1984최동원>에게 무한한 고마움을 느꼈다. 1984년, 십 대였던 나는 이제 사십 줄이다. 여태껏 나를 지탱했던 힘은 사람이었고 기억이었을 것이다. 그중의 하나가 최.동.원.이고 1984년의 최동원이다.


비록 노트북 타자로 찍는 글씨지만, 그 이름 한 자 한 자 찍을 때마다 내 마음은 요동을 쳤다. 행복한 기억이었다. 다시, 작별을 고한다.


안녕, 나의 우상, 나의 영웅, 나의 야구, 나의 부산, 동원이 형님.

당신 덕분에 행복했던 시절이 있어서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당신의 혼과 불멸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은 걸 보니, 당신은 행복한 사람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고맙고, 고맙고, 사랑하고, 사랑합니다. 


#1984최동원  #아름다운청년최동원을다시만난기쁨  #극장에서펑펑울었던2021년의가을  #임호균김용철감독님들도만났도다  #남아있는사람이먼저간사람을위해할수있는일

매거진의 이전글 정든님,정은임을 추모하고 기억하는 시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