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종보 Jul 20. 2023

13장 신체 건강(3)-문화와 수면

스티븐하이네의<문화심리학CulturalPsychology>

문화와 수면


수면은 신체적 휴식과 생리적 회복을 가능하게 하고(Adam & Oswald, 1977), 기억을 통합하며(Diekelmann & Born, 2010), 뇌에서 신진대사 물을 제거하는 등 필수적인 기능을 하는 생물학적 필수 요소이다(Xie et al., 2013). 그러나 수면의 구체적인 기능 중 많은 부분이 아직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으며 계속해서 논의되고 연구되고 있다. 어떤 종류의 수면은 거의 모든 포유류 종에서 발견된다(Siegel, 2008). 그러나 명백한 생리적 근거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수면 습관에는 문화 간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


5장에서 설명한 것처럼 대부분의 문화권에서는 어린이가 부모 또는 보호자와 같은 침대에서 함께 자는 반면, 서양에서는 어린이가 따로 자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문화가 수면 습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또 다른 방법은 다양한 수면 시간을 고려하는 것이다. 사람은 특정 시간(예: 8시간)의 수면을 취했을 때 가장 잘 기능한다는 인식이 일반적이므로, 밤에 잠자리에 들어 8시간 연속 수면을 취하는 것이 가장 건강하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 개념은 보편적이지 않다. 초기 영국 발라드 포팅게일의 늙은 로빈Old Robin of Portingale에 나오는 이 구절을 떠올려 보라: "첫 잠에서 깨어날 때/ 뜨거운 음료가 준비되어 있네. 그리고 다음 잠에서 깨어날 때 / 당신의 슬픔은 식을 것이네."(Johnson, 1894, 175 쪽). 이는 중세 유럽 문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이디어를 보여주는데, 전기 조명이 들어오기 전에는 사람들이 해가 진 후 잠자리에 들었다가 한밤중에 한 시간 정도 깨어났다가 나중에 다시 잠자리에 들었기 때문에 야간 수면에는 두 개의 뚜렷한 기간이 있었다는 것이다(Crook, 2008; Ekirch, 2005; 그림 13.7). 오늘날 일부 자급자족 사회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확인되었는데, 한밤중에 일어나 불을 피우거나 간식을 먹거나 조용히 대화를 나누거나 음악을 듣거나 섹스를 하는 시간으로 수면이 두 번으로 분리되어 있었다(Worthman, 2008; 다른 해석에 대해서는 Yetish et al., 2015 참조). 대부분의 인류 역사에서 이러한 수면 습관은 전형적인 패턴이었다(Worthman & Melby, 2002).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사람들이 매일 14시간 동안 어두운 방에 있으면 한밤중에 깨어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두 번의 수면 패턴으로 되돌아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Wehr et al., 1993).

그림 13.7 시간대별 수면 습관. 헨리 푸젤리Henry Fuseli의 1765년 작품 미드나잇Midnight은 전기 조명이 등장하기 전 흔히 볼 수 있었던 두 수면 시간 사이의 시간을 묘사한 작품이다.


사람들의 총 수면 시간도 문화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일본과 한국 성인은 프랑스 성인에 비해 하루 수면 시간이 약 1시간 적다고 보고했다(OECD, 2009). 마찬가지로 아시아 여러 국가의 청소년은 북미 청소년에 비해 40~60분 정도, 유럽 청소년에 비해 60~120분 정도 덜 자고 있다(Olds, Blunden, Petkov, & Forchino, 2010).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훨씬 더 젊은 층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17개국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연구에 따르면 일본 영유아는 북미 영유아에 비해 수면 시간이 약 1.5시간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Mindell, Sadeh, Wiegand, How, & Goh, 2010). 일반적으로 아시아 국가의 유아는 서구 국가의 유아보다 훨씬 적게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13.8). 그리고 북미의 유아가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이 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다른 연구에 따르면 네덜란드 유아가 미국 유아보다 약 1.3시간 더 많이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Super, Blom, Harkness, Ranade, & Londhe, 2014). 이러한 결과는 이 분포의 극단에 위치한 국가(일본과 네덜란드)의 사람들이 총 수면 시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나타낸다.

수면이 인간의 삶에서 가장 잘 이해되지 않는 측면 중 하나로 남아 있는 주된 이유는 직접적이고 조심스레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수면 연구자의 감시를 받지 않고 집에서 사생활을 보호받으며 잠을 자므로, 발표된 대부분의 문화 간 수면 연구는 본인이나 유아 자녀를 대상으로 한 자가 보고에 의존한다. 이 방법의 한계는 자가 보고에 실제 수면 시간이 아닌 수면 방식에 대한 자신의 견해가 반영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림 13.8 수면 시간의 문화적 다양성. 이 그래프는 이 연구에 참여한 부모가 매일 영유아의 수면 시간을 보고한 것을 보여준다.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도 문화에 따라 하루 수면 시간이 크게 다르다.

출처: Mindell et al., 2010 발췌.


나와 동료들은 일본, 유럽계 캐나다인, 아시아계 캐나다인 대학생들에게 일주일 동안 시계를 착용하게 하여 수면의 질을 객관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보다 직접적인 생리적 측정치를 얻고자 했다(Cheung, Takemura, & Heine, 2014). 몇 가지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유아에게서 관찰된 패턴과 유사하게, 일본 학생들은 전혀 차이가 없는 캐나다인 두 집단보다 약 한 시간 정도 덜 잤다. 아시아계 캐나다인이 유럽계 캐나다인과 비슷하게 잠을 잔다는 사실은 수면이 전통적 문화 규범보다는 현지 문화 규범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일본인은 캐나다인보다 잠을 적게 자지만 수면 효율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며, 밤에 깨는 횟수가 적거나 잠드는 시간이 짧은 것이 아니라 캐나다인보다 훨씬 적은 수면으로 버티고 있을 뿐이었다. 또한 일본 학생들은 이상적인 수면 시간이 캐나다인보다 1시간 정도 적다고 답했다. 또한 캐나다인은 일본인보다 더 많이 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기하게도 낮에 더 피곤함을 느낀다고 스스로를 묘사했다. 그리고 캐나다인은 일본인보다 자신의 건강이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데 달려 있다고 강하게 믿고 있다고 보고했다. (비슷한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Benedict, 1946 참조.)

문화에 따라 수면 시간이 달라지는 이유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한 가지 가능성은 수면의 가치에 대한 문화적 신념이 사람들이 실제로 수면을 취하는 시간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Arslan, Kocoglu, & Durmus, 2016).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수면 시간의 차이는 특정 문화권에서 수면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에 대한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13장 신체 건강(2)-문화에 따른 신체 다양성 습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