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종보 Jul 19. 2023

13장 신체 건강(2)-문화에 따른 신체 다양성 습득

스티븐하이네의<문화심리학CulturalPsychology>

문화에 따른 신체 다양성 습득


발 모양에서 보았듯이, 유전적 요인과는 별개로 문화에 따라 신체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다. 예를 들어 동남아시아의 바다 유목민 부족인 모켄족Moken은 일 년에 7~8개월을 버마, 태국, 말레이시아 앞바다의 군도에서 작은 배를 타고 생활한다. 이들은 다이빙을 통해 물고기를 낚고 조개, 해삼, 바닷가재 및 기타 먹이를 해저에서 채취한다. 수영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다시피 물 속에서는 시야가 흐릿하다는 것이 문제다. 수중에서 초점을 맞출 수 있다면 맛있는 식사를 집으로 가져올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 모켄족 어린이는 유럽 어린이보다 수중 시력이 두 배 이상 높다(Gislen et al., 2003). 이는 물개가 물속에서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과정인 최대 동공 수축에 따른 시각적 조절이 제어되기 때문에 가능하다(Gislen & Gislen, 2004). 이는 유전적 적응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특수한 능력은 연습을 통해 습득되며, 유럽 어린이들도 모켄족과 같은 종류의 수중 시력을 개발하도록 훈련할 수 있다(Gislen, Warrant, & Kroger, 2005). 모켄족은 특별한 훈련을 받지 않고 식량을 구하기 위해 잠수하는 문화적 관습에 정기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그 능력을 습득한다는 점이 다른 점이다.

수중에서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능력은 문화적 관행에 따른 후천적인 시력 변화만이 아니다. 예를 들어, 당신의 눈을 생각해보라. 근시가 있어서 교정 렌즈를 착용하고 있거나 근시 교정을 위해 레이저 눈 수술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2004년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42%가 근시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972년의 25%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Vitale, Sperduto, & Ferris, 2009). 더 극단적으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도시 지역의 고등학교 졸업생 중 약 80~90%가 근시를 앓고 있으며, 이는 한 세대 전보다 훨씬 높은 비율이다(Morgan, Ohno-Matsui, & Saw, 2012; 그림 13.5). 일반적으로 근시 비율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Holden et al., 2016).

근시 위험에 기여하는 유전자는 많지만, 이것이 최근 근시 증가의 원인은 아니다(예: Wojciechowski, 2011). 생활양식이 큰 영향을 미친다. 근시의 원인 중 하나는 어린이들이 독서나 비디오 게임과 같이 사물을 가까이서 보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다. 학교 교육 기간과 근시 비율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Morgan & Rose, 2005). 또 다른 원인은 사람들이 야외에서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고, 햇빛에 노출되는 것이 근시를 예방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Rose et al., 2008). 중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하루 40분만 더 야외 활동을 하면 근시 발생률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e et al., 2015). 이 책을 가지고 밖에서 계속 읽어보길 권한다.

그림 13.5 문화적 관행으로 인한 생물학적 변화. 사람들이 화면을 읽고 보는 시간이 길어지고 야외 활동 시간이 줄어들면서 전 세계적으로 근시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과 다이어트.

문화가 다른 사람들을 구분하는 한 가지 인상적인 방법은 체중이다. 비만의 표준 정의를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점수 30 이상으로 사용하여 문화권을 비교하면 중국 여성의 1.5%에서 사모아 여성의 55%에 이르는 전 세계 비만율에 엄청난 변동성을 보인다(세계보건기구, 2005). 유전적 요인이 체중을 예측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고 특정 체중 관련 유전자가 특정 문화권에서 다른 문화권보다 더 흔할 수 있지만, 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 전 세계 비만율은 지난 수십 년 동안 특히 영국과 미국에서 급격히 증가했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04; 그림 13.6). 이 국가들은 비만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이 유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사실은 유전학으로 설명 할 수 없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화적 변화가 이러한 증가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더 높다. 비만이 유행하는 주요 원인으로 자주 논의되는 몇 가지 주요 원인은 고칼로리 식품의 과다 섭취, 더 많은 식사량, 과도한 온라인 사용이나 TV 시청으로 인한 좌식 생활 방식, 교외 지역에 거주하면서 운전이 많고 운동량이 적은 경우이다.

그림 13.6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비만. 지난 수십 년 동안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비만율이 증가했다.

출처: 경제협력개발기구, 2004 발췌.


서양에서도 국가 간 격차가 큰 편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비만율은 프랑스의 약 5배에 달한다. 크림, 버터, 치즈, 푸아그라, 페이스트리, 초콜릿 등 지방과 당분이 많은 음식이 풍부한 전형적인 프랑스 요리를 생각하면 이 사실이 더욱 놀랍다. 지방 섭취량이 많은 프랑스인은 미국인보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 높은 경향이 있다(Renaud & de Lorgeril, 1992).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인은 더 날씬하고 수명이 길며 심장병 발병률도 미국인보다 낮다(Richard, 1987). 지방이 풍부하면서도 심장병 발병률이 낮은 식단의 조합은 수십 년 동안 연구자들을 당혹스럽게 만들었으며, 이를 프렌치 패러독스French paradox라고 불렀다.

프렌치 패러독스에 대한 가장 유력한 설명으로 떠오른 한 가지 가능성은 프랑스인이 와인을 더 많이 마시기 때문에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관상동맥 심장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Renaud & de Lorgeril, 1992). 이것이 사실일 수도 있지만, 심리학자 폴 로진Paul Rozin과 그의 동료들은 다른 설명을 제시한다(Rozin, Kabnick, Pete, Fischler, & Shields, 2003). 프랑스인은 미국인보다 하루에 섭취하는 칼로리가 훨씬 적은데, 이는 식사량과 음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로진 팀은 사람들이 먹는 음식의 양은 주로 눈앞에 놓인 음식이나 매장에서 판매되는 개별 분량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고 추론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요구르트를 먹을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라면 요구르트 용기의 크기에 따라 답은 달라진다. 사람들은 요거트 1인분 용기를 한 개 반씩 먹는 것이 아니라, 한 용기에 담긴 양만큼 먹는 경향이 있다.

로진과 그의 동료들은 프랑스와 미국의 슈퍼마켓에 직접 가서 양을 측정함으로써 이 문제를 탐구했다. 미국의 요구르트 용기는 프랑스보다 약 80% 더 크며, 초콜릿 바, 청량음료, 라자냐 등 1인분 단위로 판매되는 다양한 식품도 더 크다. 과일도 프랑스보다 미국에서 더 크다! 또한 국제 체인 레스토랑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양도 다르다. 미국 맥도날드에서 감자튀김을 중간 크기로 주문하면 프랑스에서 같은 메뉴를 주문할 때보다 약 70% 더 많은 감자튀김이 들어간다. 치킨 맥너겟은 두 나라에서 크기가 동일하여 이 제품이 국제적으로 배송된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그릴드 치킨 샌드위치는 미국보다 프랑스에서 더 크다. 연구진은 구운 닭고기가 닭의 다른 부위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며, 미국에서는 닭이 프랑스보다 더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요리책에 명시된 재료의 양은 미국인이 프랑스인보다 더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미국인의 식사량에 대한 문화적 규범이 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로진 연구팀은 이러한 과도한 칼로리 섭취가 미국에서 비만과 관상동맥 심장 질환 발병률이 높아지는 주요 요인일 것으로 보고 있다.

파리의 비밀스러운 수치

뚱뚱한 프랑스 여성의 새벽 검거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볼 때, 푸짐한 양은 상당히 최근의 문화적 진화의 산물이다. 커피를 예로 들어보겠다. 1971년, 스타벅스는 미국인들에게 이탈리안 스타일의 커피 제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당시 미국인들이 많은 양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표준 8온스 이탈리안 사이즈(short이라고 함)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 더 큰 12온스 컵(tall이라고 함)을 제공했다. 그러나 곧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스타벅스는 더 큰 사이즈의 16온스 제품을 출시했다. 영어 단어 'tall'이 이미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탈리아어 단어를 사용하여 이 사이즈를 그란데grande라고 불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 큰 20온스 사이즈를 만들었고, 어떤 영리한 마케팅 전문가가 이를 벤티venti (이탈리아어로 20을 뜻함)라고 불렀다. 아쉽게도 이것도 충분히 크지 않았고, 2011년에 스타벅스는 트렌티trenti (이탈리아어로 30)라는 차가운 음료의 31온스 사이즈를 만들었다. 스타벅스 쿼란타quaranta(40)가 다음이 될까?

불행히도, 영양과 건강면에서 스타벅스는 예외가 아니라 표준이 되어왔다. 미국에서는 모든 종류의 음식에서 1인분 크기가 증가하고 있으며, 패스트푸드 체인점에서는 처음 도입되었을 때보다 현재 2~5배 더 많은 양을 제공하고 있다(Young & Nestle, 2007). 또한 미국인들은 1970년대보다 하루에 약 200-300칼로리를 더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4).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볼 때 그림 13.6에 나타난 비만율의 증가는 그리 의아해 보이지 않는다. 문화적 변화는 신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음식에 대한 태도.

그러나 식사량만으로는 프렌치 패러독스에 대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다. 로진과 그의 동료들은 또한 음식에 대한 프랑스와 미국의 태도가 다른 몇 가지 중요한 점을 지적한다. 프랑스인은 미국인보다 식사를 더 여유롭고 즐거운 활동으로 여긴다(Rozin, Fischler, Imada, Sarubin, & Wrzesniewski, 1999). 예를 들어, 감자튀김, 청량음료, 그릴드 치킨 샌드위치를 적게 먹어도 미국인보다 맥도날드에서 식사하는 시간이 약 2배 더 긴 경향이 있다(Rozin, Kabnick, Pete, Fischler, & Shields, 2003). 그리고 프랑스에서는 사람들이 음식을 음미한다. 이 질문에 대한 반응을 생각해 보라: "휴가 중 식사를 포함한 다음 호텔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어떤 호텔을 선택하시겠습니까? 평범한 음식을 제공하는 고급 호텔과 훌륭한 음식을 제공하는 평범한 호텔?" 프랑스인의 약 80%가 음식이 좋은 호텔을 선택한 반면, 미국인은 40%에 불과했다(Rozin et al., 1999).

미국인, 특히 여성은 음식에 대해 상반된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인에 비해 미국인은 소금, 지방, 설탕을 적게 넣는 등 건강에 좋게 변형된 제품을 섭취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Rozin et al., 1999). 예를 들어, 미국 여성의 약 80%가 저지방 제품(예: 저지방 요구르트)을 일주일에 몇 번 먹는다고 답한 반면, 프랑스 남성의 약 20%만이 저지방 제품을 먹는다고 답했다. 영양가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음식을 먹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인의 35%만이 스스로를 건강한 식습관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프랑스인의 약 75%는 건강한 식습관을 가진 사람이라고 답했다. 음식하면 떠오르는 단어를 나열해 달라는 질문에 미국 여성들이 가장 많이 응답한 단어 중 하나는 "살찌다fattening"였는데, 이 단어는 프랑스인의 빈번한 응답 목록에는 나타나지 않았다(Rozin, Kurzer, & Cohen, 2002). 이와 관련하여 미국 여러 지역의 미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여성의 14%가 초콜릿 바를 사먹는 것이 너무 창피하다고 느낀다고 답했다(Rozin, Bauer, & Catanese, 2003). 마찬가지로 다른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 특히 여성이 프랑스인, 벨기에인, 일본인보다 음식에 대해 더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한다(Rozin et al., 1999).

건강한 식단을 유지할 가능성은 국가 내에서 예측할 수 있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문화적 적합성, 즉 자신의 선호도, 태도, 습관이 주변의 지배적인 문화와 잘 맞을 때 더 잘 기능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Stephens, Markus, & Fryberg, 2012). 예를 들어, 7장에서 설명한 것처럼 사람들은 중심 문화와 문화적 적합성이 있을 때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덜 경험한다. 문화적 적합성의 이점은 식습관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독립적인 자아관(미국에서 자아 개념에 대한 지배적인 규범)을 가진 미국인은 상호 의존적인 자아관을 가진 사람보다 건강한 식습관을 갖는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상호의존적 자아관(일본의 지배적인 규범)을 가진 일본인은 독립적인 자아 개념을 가진 사람보다 더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다(Levine et al., 2016). 즉, 일본과 미국의 자아 개념이 다르면 동일한 태도와 행동(예: 건강한 식습관 추구)이 예측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적절하다" 또는 "옳다"고 느끼는 자아상이 더 건강한 생활 양식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신체 높이.

문화적으로 공유되는 식습관이 체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식습관이 한 문화권의 사람들의 키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 네덜란드를 여행하면 한 가지 분명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사람들이 모두 키가 크다는 점이다. 평균적으로, 네덜란드인은 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사람들이다.

사람들은 키가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예를 들어 학교 농구팀에 속한 사람들이 토론팀에 속한 사람들보다 평균적으로 키가 큰 이유(농구 선수는 보통 토론자보다 키가 큰 부모를 둔 경우가 많다)를 설명하는 데는 유전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유전자는 특정 문화권 내에서 키의 개인차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유전자는 문화 간 및 역사적 기간에 따른 키 차이를 설명하는 데 덜 유용하다(Malcolm, 1974). 예를 들어, 오늘날 네덜란드 남성의 평균 키는 6피트 1센티미터로 5피트 10센티미터에 약간 못 미치는 미국 남성보다 3인치 이상 크지만, 1865년 당시 미국 남성의 평균 키는 5피트 8센티미터로 당시 네덜란드 남성보다 약 3인치 더 컸다. 남성의 데이터는 대부분 군 기록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여성도 비슷한 패턴을 보인다(Floud, 1994; Shay, 1994). 한 국가의 평균 키가 이렇게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은 단순한 유전적 설명으로 받아들이기 어렵게 만든다. 대신 식습관 요인이 원인일 가능성이 더 높다.

19세기 후반 미국인의 평균 키는 세계에서 가장 큰 편에 속했는데, 이는 소득의 상대적 우위를 반영하는 것이었다(1인당 GNP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았다). 예를 들어, 당시 미국 남성의 키는 호주인과 거의 같았고, 영국인보다 1인치, 노르웨이인보다 2인치, 프랑스인보다 3인치, 이탈리아인보다 4인치, 일본 남성보다 7인치 이상 컸다(Floud, 1994; Floud & Harris, 1997; Steckel, 1994; Whitwell, de Souza, & Nicholas, 1997). 이 기간 동안 네덜란드는 경제 침체를 겪고 있었다. 네덜란드 경제는 19세기 후반이 되어서야 회복되기 시작했고, 평균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네덜란드인의 평균 신장이 증가했다(Drukker & Tassenaar, 1997). 소득과 키 사이의 이러한 연관성에 대한 추론은 안정적이고 안전한 소득이 특히 유아기 및 청소년기와 같이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연령대에 더 건강한 식생활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Steckel, 1983). 소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기간에는 중요한 성장기에 더 영양가 높은 식품을 구입할 수 있다. 소득과 키 사이의 이러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는 1950년대에 캘리포니아로 이민 온 일본인들이 식단과 영양의 영향으로 일본 동포들보다 키가 5인치 정도 더 컸던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Greulich, 1957).

지난 세기 동안 가장 큰 키 변화는 19세기보다 현재 키가 약 8인치 커진 한국 여성과 약 6.5인치 커진 이란 남성의 키가 가장 컸다(NCD Risk Factor Collaboration, 2016). 유제품 섭취와 같은 식단의 특정 문화적 측면이 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Wiley, 2005). 예를 들어, 한 국가의 남성 평균 키와 그 국가의 평균 유제품 소비량 간의 상관관계는 약 r = .8이다(Heine, 2017). 또한 각국의 평균 신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한 것이 아니라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변동했다. 산업 혁명 기간 동안 사람들이 도시로 이주하기 시작하고 인구가 급증하며 많은 곳에서 일일 칼로리 섭취량이 감소함에 따라 유럽인의 평균 키가 감소했다(Komlos, 1998).

요약하자면, 발 모양과 크기, 근시, 체중과 키를 포함한 신체적 특성은 매우 다양하며, 이는 대체로 사람들이 서로 다른 문화권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례는 문화가 단순히 사람들의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놀라운 증거다. 생물학이 끝나고 문화가 시작되는 경계는 그렇게 명확하지 않다.

작가의 이전글 13장 신체 건강(1.1)-게놈에 대한 문화적 영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