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종보 Jul 18. 2023

13장 신체 건강(1.1)-게놈에 대한 문화적 영향

스티븐하이네의<문화심리학CulturalPsychology>

게놈에 대한 문화적 영향


지역 기후, 고도, 병원균에 대한 유전적 적응은 지리적 요인이 게놈을 형성한 경우이다. 문화적 요인이 게놈을 형성하는 사례도 있다. 예를 들어, 우유를 마시는 전 세계 대부분의 성인은 장에 유당 분해 효소가 부족하여 유당 불내증 증상이 나타난다. 유년기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락타아제가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락타아제 비지속성lactase non-persistence으로 알려진 이 상태는 아프리카를 떠나기 전 인류의 조상 집단에 존재했다. 얼마 후 특정 인구, 특히 북유럽의 일부 인구에서 락타아제 지속성에 대한 유전적 돌연변이가 발생했다(Hollox, 2005). 최근의 유전자 분석은 젖소 개체군에서 가장 높은 유전적 다양성으로 입증되는 것처럼 정확히 젖소가 가장 오랫동안 가축화된 지역에서 락타아제 지속성이 발달한 것으로 나타났다(Beja-Pereira et al., 2003; 그림 13.4). 낙농업은 락타아제 지속성이 선택되기 이전부터 존재해 왔으며(Holden & Mace, 1997), 따라서 이러한 유전적 변화는 사람들이 소를 가축화하기 시작한 지난 10,000년 동안에 발생했다.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돌연변이와는 달리 소를 사육하는 아프리카 문화 집단들 사이에서 유사한 유전적 돌연변이가 진화했는데(Tishkoff et al., 2007), 이는 유당을 소화하는 능력에 대한 선택 압력이 성인이 될 때까지 최소 두 번 이상 독립적으로 나타날 만큼 충분히 강했음을 시사한다. 요약하자면, 다양한 영양학적 이점을 가져온 낙농업의 문화적 관행은 소를 기르는 인구 사이에서 락타아제 지속성의 적응으로 이어졌다.


이것은 문화적 말이 유전적 수레를 끌고 가는 예이다. 인간은 동물계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생존을 위해 문화 정보에 의존하게 되었고, 문화가 생물학적 본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 압력으로 작용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인간은 유전자-문화 공진화의 산물로 문화적 정보에 의존하도록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진화시켰고, 정보는 그들의 적합성을 향상시킨다(2장 참조). 그리고 문화가 계속 진화함에 따라 게놈에 새로운 선택 압력이 가해지며, 이에 따라 게놈도 진화한다(Henrich, 2016).

그림 13.4 문화적 요인과 게놈. 성인기 우유 소화 능력은 락타아제 효소의 존재와 관련이 있다. 이 지도는 락타아제 지속성이 가장 높은 지역을 보여준다. 오른쪽의 색상 키는 백분율을 나타낸다. 지리적 분포는 낙농업이라는 문화적 관행이 사람들의 유전자를 어떻게 형성했는지 보여준다.

출처: Henrich, 2016.



유전자-문화 공진화에 대한 증거와 문화가 인간 게놈에 미치는 강력한 선택적 역할에 대한 증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검토는 Hawks, Wang, Cochran, Harpending, & Moyzis, 2007; Laland, Odling-Smee, & Myles, 2010 참조). 문화적 차이의 일반적인 영역은 우유 섭취와 같은 식습관이다.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식습관 변화는 유전적 진화를 동반하여 사람들이 섭취하는 음식에서 얻는 영양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예를 들어, 전분 섭취량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농경 사회의 사람들은 수렵 사회의 사람들보다 전분을 더 많이 섭취한다. 또한 전분을 주식으로 하는 사회에서는 전분 소화에 도움이 되는 타액 내 아밀라아제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키는 유전적 변이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Perry et al., 2007).

문화가 게놈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은 때때로 간접적이다. 예를 들어, 서아프리카에서는 꾸아어Kwa를 사용하는 농부들이 참마 작물을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숲을 개간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 문화적 관행의 우연한 부작용으로 비가 온 후 고인 물의 양이 증가하여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었다. 그 후 말라리아가 이 지역에 퍼지면서 겸상 적혈구 빈혈과 관련된 헤모글로빈의 유전적 돌연변이가 발생했고, 이는 말라리아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이점을 가져왔다(Durham, 1991; Livingstone, 1958). 같은 농업 관행을 따르지 않는 이웃 집단에서는 이와 같은 유전적 변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요약하자면, 참마 농사를 짓는 문화적 관행으로 고인 물이 많아져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가 많아졌고, 이는 특정 질병 저항성을 변화시키는 선택적 힘으로 작용했다. 문화의 영향력은 매우 광범위하게 퍼질 수 있다.

사람들은 종종 유전자를 인간 특성의 궁극적인 기원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구 집단 간의 유전적 차이에 대한 이러한 종류의 논의는 금방 불편해질 수 있다(Heine, 2017). 예를 들어, 인종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이 피부색이 다른 이유가 유전자 때문이라면, 인종이 다른 사람들이 서로 다른 사회적 경험을 하는 이유도 유전자 때문이어야 하지 않을까 궁금해할 수 있다. 즉, 전 세계적으로 유전자 빈도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논의는 사람들이 인종적 차이가 서로 다른 유전자의 산물이라고 생각하게 만들 수 있다(Schmalor & Heine, 2017). 그러나 이러한 추론은 표면적으로는 그럴듯해 보일 수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몇 가지 분명한 문제점이 드러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 걸음 물러나 유전자와 인종의 관계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인종이 다른 사람들은 어떤 면에서 서로 매우 뚜렷하게 보일 수 있으므로 그들 사이에 많은 유전적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일부 유전자 빈도는 인종마다 다르지만(위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대부분의 경우 유전자는 인종 범주로 잘 묶이지 않는다(Templeton, 2013). 전 세계의 모든 유전적 다양성 중 약 4%만이 다른 대륙의 인종을 구별한다(Rosenberg et al., 2002). 유전적 변이의 대부분은 같은 민족 유산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한다.

인간의 유전적 다양성은 다른 종에 비해 작다. 예를 들어, 침팬지의 서로 다른 "종족"은 침팬지 유전적 다양성의 30% 이상을 차지한다(Gonder et al., 2011). 인류는 약 7만 년 전 대격변적인 화산 폭발의 여파에서 살아남은 아프리카에 살던 극소수 인류의 후손이기 때문에 유전적으로 덜 뚜렷하다(Ambrose, 1998). 이는 (태어난 곳에서 멀리 돌아다니지 않는) 침팬지와 달리 인간은 전 세계를 여행하며 그 과정에서 만난 사람들과 짝짓기를 해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민족 집단을 구분하는 유전적 변이가 소량이지만, 유전자가 심리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집단 간의 유전적 차이가 이 책에서 논의한 심리적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검토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실험 설계는 본질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일본인은 미국인과 다양한 사고 방식이 다르다는 것이 입증되었지만, 이러한 차이 중 일부는 문화적 경험보다는 유전적 변이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비교문화 연구에서 이민자와 그 자녀가 고유 문화권에서 사는 사람들과 다른 패턴의 반응을 보인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예: Heine & Lehman, 2004; Norenzayan, Choi, & Nisbett, 2002). 이러한 연구는 이민자들이 고유 문화권의 사람들과 유전적으로 유사하지만 중심 문화의 문화적 관습에 참여하기 때문에, 문화적 경험이 심리적 과정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 이상적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민자 표본을 포함하는 모든 비교 문화 연구는 심리적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다른 많은 연구에서도 점화 문화(예: Hong, Morris, Chiu, & Benet-Martinez, 2000; Ross, Xun, & Wilson, 2002) 또는 상황 표본추출(예: Kitayama, Markus, Matsumoto, & Norasakkunkit, 1997; Morling, Kitayama, & Miyamoto, 2002)과 같은 문화적 변수를 조작한 후 유사한 결과를 찾는다. 이러한 종류의 연구는 관찰된 차이를 설명하는 문화적 경험의 역할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책에 소개된 모든 비교 문화 연구가 이러한 종류의 실험 설계를 포함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다른 현상에 대한 문화 간 심리적 차이에서 유전자의 역할은 아직 검증되지 않은 이론적 가능성으로 남아 있다.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이 주제에 대한 나의 견해는 문화에 따른 일부 심리적 차이가 인구 수준의 유전적 차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이론적 가능성은 있지만, 지금까지 확보된 증거는 어떤 심리적 특성에 대한 그러한 추측을 뒷받침할 만큼 일관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새롭게 부상하는 기술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는 연구 주제이다. 향후 10년 정도에 걸쳐 우리는 심리적 과정의 문화적 차이에 유전자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할 수 있는 훨씬 더 많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13장 신체 건강(1)-인구 집단 간 유전적 다양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