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종보 Jul 14. 2023

13장 신체 건강(1)-인구 집단 간 유전적 다양성

스티븐하이네의<문화심리학CulturalPsychology>

파리의 점심 시간, 프랑스인들은 음식에 대한 태도가 미국인들과는 매우 다르다. 그 결과 프랑스에서 비만과 심장병 발병률이 훨씬 낮다. 프랑스 음식이 미국 음식보다 지방 함량이 높은 경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놀라운 건강상의 차이가 존재한다.


13장 신체 건강


장 개요


인간의 생물학적 다양성 

• 인구 집단 간 유전적 다양성 

• 게놈에 대한 문화적 영향 

• 문화에 따른 신체 다양성 습득


문화와 수면


사회 경제적 지위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변수 

• 민족과 건강


문화 간 의료 관행
 


360만 년 전 탄자니아 라에톨리Laetoli 근처에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Australopithecus afarensis로 추정되는 원시 인류 세 명이 젖은 화산재로 뒤덮인 들판을 걸어서 건너가 훗날 고인류학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가 될 만한 흔적을 남겼다. 화산재 속에 보존된 이들의 발자국은 이후 사람과hominid 계통에서 이족보행에 대한 최초의 직접적인 증거로 여겨졌다. 침팬지의 발자국과는 달리 라에톨리 발자국에서는 엄지발가락이 옆으로 바로 튀어나오지 않았고, 네 발로 걷는 걸음을 지탱하기 위해 관절이 만든 평행한 발자국이 없었으며, 발자국을 만든 초기 인류는 현대 인류와 같은 방식으로 발뒤꿈치로 먼저 땅을 디딘 후 발가락으로 밀어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네 발로 움직이던 유인원이 뒷발로 걸을 수 있는 동물로 변화한 것은 인류 진화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두 발로 걷는 것은 음식을 나르고 도구를 만드는 데 손을 자유롭게 하고, 몸에 닿는 직사광선을 줄이고 상체를 바람에 노출시켜 체온을 낮추며, 원시 인류의 장거리 이동 효율을 향상시켰다. 라에톨리 발자국은 현대 인류와 공유된 행동의 초창기 증거를 볼 수 있는 창을 제공했다.

그러나 이 같은 발자국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걸음걸이가 현대인만큼 두 발로 걷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시사한다. 라에톨리 잘자국은 발의 앞부분이 더 넓고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과 더 분리되어 있으며 아치가 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Henrich, Heine, & Norenzayan, 2010b; Stern & Susman, 1983). 이족보행을 했지만, 라에톨리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아직 현대인처럼 완전한 이족보행을 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았다. 그들의 발은 여전히 인간이 아닌 몇 가지 주요 특징을 보존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라에톨리 발자국은 첫 두 발가락 사이의 간격이 넓고 아치가 높은 발을 나타내지만, 이 발자국을 남긴 사람들은 대부분의 현대인의 활동과는 다른 문화적 전통에 참여했다는 점, 즉 신발을 신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습관적으로 신발을 신으면 발 모양이 변하기 때문에 이것은 매우 중요한 세부 사항이다. 신발을 신으면 발이 좁아지고 처음 두 발가락이 더 가까워지며 아치가 낮아진다. 페루 아마존의 수렵 부족인 마치겡가족Machiguenga(그림 13.1)과 같이 신발을 신지 않는 현대인의 발자국과 라에톨리족의 발자국을 비교한 결과, 거의 구별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uttle, Webb, & Baksh, 1991; Tuttle, Webb, Weidl, & Baksh, 1990). 신발을 신지 않는 현대인은 라에톨리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발과 비슷한 모양의 발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라에톨리 발자국은 명확하지 않아 확실한 비교는 어렵지만).

그림 13.1 맨발 또는 신발? 왼쪽은 습관적으로 신발을 신지 않는 마치겡가족 남성의 것이고, 오른쪽은 평소 신발을 신는 미국인 남성의 것이다. 출처: Tuttle et al., 1990.


그렇다면 놀랍게도, 당신의 발 모양 역시 하나의 문화적 산물로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신발을 신으면 발 모양이 달라진다. (좀 더 극단적인 예로 중국에서는 발을 묶는 전통이 있다.) 또한 신발은 사람들이 달리는 방식도 바꾼다. 인류 진화 역사 대부분 동안 사람들은 샌들이나 가죽신과 같은 밑창이 얇은 신발을 신거나 맨발로 다녔다. 오늘날의 쿠션이 있는 러닝화는 1970년대에야 발명되었다. 최근까지 이란의 모든 사람들은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신지 않았고, 발에 손상을 입은 사례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인간이 지구력 달리기 선수로 진화하여 (Bramble & Lieberman, 2004), 장거리에서 먹잇감을 따돌릴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Carrier, 1984).

맨발로 달리는 사람은 전족부나 중족부로 착지하는 반면, 러닝화를 신은 사람은 후족부로 착지하는 경향이 있다(Leiberman et al., 2010). 멕시코의 타라우마라족Tarahumara과 같은 일부 문화 집단은 협곡을 가로지르는 정기적인 장거리 킥볼 경기에 맨발 또는 샌들만 신고 참가하며, 최대 100마일을 48시간 동안 달린다(Balke & Snow, 1965; 그림 13.2). 수십 년 동안 타라우마라족이 국제 울트라 마라톤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놀라운 지구력을 발휘했다는 보고가 있었다(Bennett & Zingg, 1935; Lumholtz, 1894; McDougall, 2009 참조).

그림 13.2 지구력 달리기. 타라우마라 선수들이 밑창이 얇은 샌들을 신고 장거리 킥볼 경기에 참가하고 있다.


문화 경험은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 방식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와 전반적인 신체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심리학 교과서에 신체 건강에 관한 장을 포함시키는 것은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물학적인 주제로 간주되는 이 주제는 문화적 영향이나 심리학의 영역 밖에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급성장하는 건강 심리학 분야는 심리적 요인이 신체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문화는 다양한 심리적 변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명확히 밝혀냈다. 또한, 신체 건강과 생물학의 여러 측면에서 문화의 역할에 대한 연구 프로그램이 점점 더 많이 문서화되고 있으며, 이 장의 주제는 바로 이 부분이다.


인간의 생물학적 다양성


문화 간 생물학적 다양성에 대한 설명은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세계 여러 지역의 인간이 여러 세대에 걸쳐 서로 다른 선택 압력을 받았으며, 그 결과 인간 게놈은 여러 인구 집단에 걸쳐 다양해졌다는 것이다. 즉, 타고난 생물학적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설명은 다양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일생 동안 그들의 생태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을 한다는 것이다. 즉, 후천적인 생물학적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인구 집단 간 유전적 다양성


전 세계의 모든 사람은 유전적으로 고유하며, 이는 각 개인이 다른 사람과 동일하지 않은 자신만의 유전자 변이(돌연변이 포함)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단, 일란성 다태아는 예외로, 개인이 동일한 형제자매와 동일한 유전적 변이를 가지고 있다.) 각자의 고유성에도 불구하고 개인은 다른 사람들과 많은 유전적 변이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특히 같은 조상을 가진 사람들과는 훨씬 더 많은 유전적 변이를 공유한다. 그 원인은 여러 세대에 걸쳐 발생하는 유전적 이동과 지리적, 문화적 선택 압력이다. 모든 종과 마찬가지로 인간은 환경적 요인에 반응하여 진화해 왔으며 오늘날에도 계속 진화하고 있다. 선택 압력은 위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세계 각 지역마다 다른 특정 특성이 진화해 왔다(Hawks, Wang, Cochran, Harpending, & Moyzis, 2007; Laland, Odling-Smee, & Myles, 2010).

피부색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피부색은 호주 원주민, 멜라네시아 사람, 적도 아프리카 사람들의 짙은 갈색부터 일부 북유럽 사람들의 매우 연한 황분홍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을 띠고 있다. 왜 이런 차이가 있을까? 가장 설득력 있는 설명은 장이 음식에서 칼슘과 인을 흡수하여 뼈의 성장과 회복에 사용하는 데 필요한 햇빛으로부터 비타민 D를 합성하는 인체의 능력에 있다. 피부가 태양으로부터 단파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R)을 흡수하지 않으면 신체는 비타민 D를 생성할 수 없다. 자외선이 너무 많으면 엽산이 분해되어 빈혈, 선천적 결손증 또는 피부암을 유발할 수 있다. 인류는 자외선 지수가 높은 아프리카에서 처음 출현했으며, 피부에 충분한 멜라닌 또는 색소를 보유하도록 진화하여 엽산을 분해하기에는 부족하지만 비타민 D를 만들기에 충분한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기 인류는 자외선 지수가 낮은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자외선을 흡수해야 했기 때문에 피부의 멜라닌이 적은 사람이 피부가 어두운 친척보다 생존에 유리했고 피부색도 그에 따라 진화했다(그림 13.3). 이러한 추론은 세계 각지에서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이 피부색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통해 뒷받침된다(Jablonski & Chaplin, 2000).

피부색은 기후에 대한 적응 반응이다. 이와 같은 적응은 인구 전체에 걸친 하나의 큰 유전적 다양성 영역을 나타낸다. 기후는 강력한 선택 압력이며, 지역 기후에 더 잘 적응한 사람들은 살아남은 자손을 더 많이 낳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사람들은 열 스트레스와 관련된 유전적 변이가 다르다는 증거가 있다(Williamson et al., 2007). 고도는 또 다른 선택 압력이다. 미국의 가장 높은 지점과 비슷한 고도에 있는 티베트 고원의 고산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해수면에 존재하는 산소의 약 60%만 이용할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심각한 고산병에 걸릴 수 있다. 그러나 티베트 민족은 낮은 수준의 산소에도 불구하고 번성할 수 있는 유전적 변이를 진화해 왔다(Yi et al., 2010).

인류 진화의 또 다른 강력한 선택 압력은 특정 지역 병원균의 존재였다. 병원균에 대한 유전적 저항력이 높은 사람은 생존과 번식 가능성이 높다(Wang, Kodama, Baldi, & Moyzis, 2006). 예를 들어, 3장에서 스페인 사람들이 잉카인들보다 천연두에 대한 유전적 저항력이 더 뛰어난 이유(수천 년 동안 천연두를 옮기는 가축과 함께 살아왔기 때문)에 대해 논의했다. 이는 스페인이 잉카를 비교적 쉽게 정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또 다른 예로, HIV 감염이 흔한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바이러스에 대한 주요 유전적 내성이 50년 이내에 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Cromer, Wolinsky, & McLean, 2010).

 그림 13.3 유전적 변이와 피부색. 전 세계적으로 피부색은 매우 다양하다. 더 밝은 피부는 더 높은 위도에서 충분한 자외선을 흡수하기 위한 적응으로 진화했다.

작가의 이전글 12장 도덕과 종교(7)-생각의 도덕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