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구현모 May 16. 2016

0515 오늘 본 글

셰릴 샌드버그, 로봇, 체벌, 도시축제

1. Sheryl Sandberg just gave an incredible, emotional speech to college grads http://www.theverge.com/2016/5/14/11676316/sheryl-sandberg-commencement-speech-resiliency

But I am also aware that I am walking without pain. For the first time, I am grateful for each breath in and out—grateful for the gift of life itself. I used to celebrate my birthday every five years and friends’ birthdays sometimes. Now I celebrate always. I used to go to sleep worrying about all the things I messed up that day—and trust me that list was often quite long. Now I try really hard to focus on each day’s moments of joy.
It is the greatest irony of my life that losing my husband helped me find deeper gratitude—gratitude for the kindness of my friends, the love of my family, the laughter of my children. My hope for you is that you can find that gratitude—not just on the good days, like today, but on the hard ones, when you will really need it.

한국의 졸업축하연설 중에 유명한 게 있나? 기억도 안난다. 쓰잘데기 없는 허례허식말고, 이런 진정성 있는 축사를 해주길.


2. Why Britain is beating the U.S. at financial innovation http://techcrunch.com/2016/05/13/why-britain-is-beating-the-us-at-financial-innovation/?ncid=tcdaily


1929 대공황 당시, 미국의 증시는 대폭락했다. 서민층도 적극적으로 주식시장에 참여한 대가는 참혹했다. 많은 이들이 돈을 잃고, 집을 잃었다. 그때문에 미국의 주식관련 규제는 강해야만 했다. 원칙이 아닌 구체적 금지를 바탕으로한 규칙에 충실할 것을 요구. 그에 비해 영국은 기관과 부유층에 피해가 집중. 이때문에 미국만큼 세세하게 규칙을 만들지 않았다. 재앙에 대한 다른 반응은, 다른 규칙을 만들게끔 한다. 다른 반응은 다른 미래를. 미국보다 나은 건 금융 하나 뿐인 영국인가보다.


3. Robots won’t just take jobs, they’ll create them http://techcrunch.com/2016/05/13/robots-wont-just-take-jobs-theyll-create-them/?ncid=tcdaily

I think it’s time to look at this in a different way: Robots in the workforce present an opportunity to stimulate job growth and create new types of work. Robots will not merely jobs, ’ also create .
Robots do not yet have the ability to perform complex tasks like negotiation or persuading, and are not as proficient in generating new ideas as are at solving problems. This means requiring creativ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kills are unlikely to be filled by robots any time soon. It’s likely our managers, nurses, artists and entrepreneurs will remain human.
Technology has not only created departments and within companies, but created the need for entirely new companies and businesses. The demand for technical skills will only increase with an increase in automation: Someone needs to fix the robot when a part is faulty. Driverless cars will still require mechanics.

컴퓨터가 많은 일을 없앨거라는 우려가 있었다. 실제로 직업이 없어졌지만 그만큼 생겼다.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무언가, 지적 노동을 해야 한다. 창직의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최선의 원칙은 무엇일까 생각하자. 대체불가능한, 꼭 필요한 능력자가 되어야 한다.


4. Are we ready to raise taxes on the rich? History says no http://theconversation.com/are-we-ready-to-raise-taxes-on-the-rich-history-says-no-57777

Our research shows that it is changes in beliefs about fairness – and not economic inequality or the need for revenue alone – that have driven the major variations in taxes on high incomes and wealth over the last two centuries.
In general, societies tax the rich when people believe that the state has privileged the wealthy, and so fairness demands that the rich be taxed more heavily than the rest. To understand whether today’s voters are ready to tax the rich requires identify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that drive these beliefs.
In this new technological era, advocates of reducing taxes on the rich have argued that fairness demands equal treatment, while proponents of taxing the rich have been forced to fall back on traditional ability to pay arguments – that the wealthy should pay more because they can afford it. With compensatory arguments gone, in most countries the consensus for high taxes on the rich eroded over time.
The rich paying a lower share of their income than everyone else clearly violates our sense of fairness, whether you are a proponent of equal treatment for all taxpayers or argue the rich should pay more because they are best able to. Reforms to address these privileges should be something both groups can agree on.

Equal treatment isn't a synonym for fairness. 전쟁이 있을 때, 중하위 계층은 전쟁에 끌려갔다. 상위 계층은 끌려가지 않았고, 그만큼 세금을 많이 냈다. 하지만 현대는 아니다. 어쨌거나 부자들은 동일하게 대하는 것이 공정이라고 하지만, 맥락을 고려해 대하는 것이 공정이다. text와 context는 다르다. context를 감안해야 진짜 공정


5. Hard evidence: spanking could lead to health problems, antisocial behavior http://theconversation.com/hard-evidence-spanking-could-lead-to-health-problems-antisocial-behavior-58566

Spanking remains a common parenting practice in the U.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term study of children beginning in kindergarten found that 80 percent of children had been spanked by the time they reached third grade.
Spanking was not linked with better child behavior. Instead, we found spanking was linked with worse child behavior. Spanking was associated with 13 of the 17 outcomes we examined, and all showed spanking was linked with detrimental outcomes.
The more children were spanked, the more aggressive and antisocial they were. We also found that children who were spanked were more likely to have mental health problems, problematic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lower cognitive ability.
However, spanking did not lead to increases in these positive behaviors. Instead, spanking predicted increases in problem behavior over time, proving that hugs, not hits, help children become caring and responsible individuals.

Dont spank your children. 오히려 나중엔 해가 된다고. 교육은 규칙. 규칙은 대화. 규칙을 어겼을 때의 벌은 굳이 폭력일 필요가 없다. 폭력은 벌이나, 벌이 폭력일 이유는 없다는 것과 같다.


6. 더민주 운동권은 열린우리당 운동권과 어떻게 다른가? 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60513104604587

당선자들이 여장을 푼 뒤 당시 열린우리당의 상징색인 노란색 점퍼로 갈아입고 한데 모였다. 152명이 모였으니 강당이 그득했다. 여의도 국회의 반이 강원도로 옮겨온 셈이었다. 임채정 의원이 주제발표를 했다. 뭐 그리 흠 잡힐 말을 한 게 아닌데, 초선인 임종인 의원이 발끈해 일어났다. “총선을 통해 사회경제적 혁명이 일어났는데, 중립적 태도를 취해서 무얼 하자는 것인지 전혀 이해할 수 없습니다.” 도전적이었다. 정청래 의원도 기억난다. “이념이란 게 과연 나쁜 겁니까?” 에두르지 않고 바로 찌르고 들어가는 입담이 이때부터 선을 보였다. 돌이켜 보면 그때부터 ‘실용이냐 개혁이냐’는 논쟁의 서막이 올랐다. 끝없이 반복되는 되돌이표였고 중구난방이었다. 보수언론은 이를 ‘백바지 대 난닝구 논쟁’이라고 비하했다. 김근태 원내대표는 그날 이런 말을 했다. “152명의 다양성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통합을 할수 있는지에 대해 좀 걱정이 됩니다.” 그의 우려는 머잖아 현실이 되고 만다.
 다들 유쾌했다. 청와대도 국회도 모두 장악했으니 모든 게 잘 될 것 같아 보였다. 그런데 뭔가 모를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도 있었다. 워크숍에 같이 취재 갔던 후배 기자가 전해 준 내용이다. 그날 여흥 자리가 끝나갈 무렵 유시민 의원이 한쪽 구석에 그림자처럼 앉아 있더란다. 말을 붙였더니 그는 혼잣말처럼 “불안해, 불안해”를 연발했다고 한다. “뭐가 그렇게 불안하다는 거냐”는 질문에 “왜 이렇게 불안한지 나도 잘 모르겠지만, 불안해”라고 말했다니 본능적인 감각이 작동했나 보다. 그의 예감은 2004년 해가 가기 전에 현실이 되고 말았다. 이른바 4대 개혁 입법이 좌절되면서 열린우리당은 가파른 내리막길을 걸어야 했다.

전문가와 운동권이 왜 싸우냐? 엥간히 노답이었다.


7. ‘현중’ 노조의 임금인상 요구는 옳은가?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43765.html

전체 고용인력의 70%를 차지하는 비정규직에 대한 인력 구조조정은 진작에 소리소문 없이 시작됐다. 이들도 정규직과 함께 일했고, 생계를 책임져야 할 아내와 어린 자식들이 딸려 있건만, 단지 비정규직이라는 이유만으로 항의 한번 제대로 못한 채 길거리로 나앉고 있다. 노동계에서는 이를 두고 ‘소리 없는 살인’이라고 부른다. 회사는 침몰 직전의 위기이고, 사무직과 비정규직 동료들에게는 구조조정의 칼날이 떨어지는데, 생산직 중심의 노조가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모습이 국민들의 눈에는 어떻게 비칠까?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은 “구조조정 시기에는 노조가 조합원만이 아닌 비정규직을 포함한 노동자 전체의 대표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조합에 타격을 주고, 미래 노동운동도 크게 훼손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제도권은, 제도 바깥 사람을 향해야 한다. 보다 많은, 다수를 위한 제도가 되어야 진짜 제도권이다. 그렇지 않은 제도권은, 소수의 기득권 아니 탐욕일 뿐이다.


8. Why cities should stop building museums and focus on festivals http://theconversation.com/why-cities-should-stop-building-museums-and-focus-on-festivals-57333

Recognizing the value in cultivating events, cities like Nashville and Austin have learned to promote a festival-friendly environment over the last decade. Both cities established entertainment zones that balance relaxed noise ordinances with affordable, mixed-use housing. At the same time, these cities champion their distinctive character and communities by embracing their festivals as “signature events.”

콘크리트 문화의 종말. 도시를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선 지속가능성을 고민해야 한다. 현대엔 콘크리트 건축물보다 페스티벌로 도시를 키우는 게 더 낫다는 이야기. 문화산업으로 도시를 발전시키는 예시가 한국엔 부족하다. 임기 중에 쇼부치려는 게 급급해서.. 오세훈의 디자인서울이 예술-문화산업쪽으로 발전했으면 어땠을까? 더이상 공구리 발전은 보지 않길.

작가의 이전글 0514 오늘 본 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