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하사탕 Dec 13. 2020

자기 말만 하는 사람

말이 너무 많은 사람

인간관계의 시작은 대화라고 생각한다. 말로써 서로를 알아가게 되고, 친해지게 되고, 관계가 이어지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대화를 통해서 서로의 공통점이나 관심사를 알아가게 되는 게 보통이다. 거기에 더해서 '대화가 서로 잘 통해야' 오랜 기간 동안 알고 지낼 사이일지 아닐지 판가름이 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삶을 살아가다 보면 항상 말이 잘 통하는 사람이 있고 말이 잘 통하지 않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말이 잘 통한다면 앞서 말했듯이 오랜 기간 알고 지낼 관계가 되고, 말이 잘 통하지 않는 다면 서로 거리를 두다가 결국 사이가 멀어지기도 한다. 


말이 통하지 않는 많은 부류 중에서 '늘 말이 많은 사람'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한다. 말이 그냥 많은 게 아니라 상대방의 말은 듣지 않고 오직 자신의 이야기만 하는 사람 말이다. 이런 사람들은 상대방의 의견은 듣지 않고 자기 말만 하기 때문에 대화라는 과정이 성립되지 않는다. 대화란 탁구를 치는 것처럼 서로의 의견이 왔다 갔다 해야 하는 것인데, 일방적으로 자신의 말만 하는 경우는 대화가 되지 않는 것이다. 이런 부류의 사람들을 만나게 되면 '정말 내 고막에서 피가 나는 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이런 부류의 사람을 일명 TMT. 투머치 토커(too much talker)라고 한다.



대학교 후배 중에 한 명이 TMT였다. 그 친구는 대화에 있어서는 상대방을 존중해주지 않았다.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상대가 지루해하든지 말든지, 일이 있어서 가야 되든지 말든지 상관이 없었다. 그냥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모두 쏟아내야 했다. 이런 부류의 사람을 처음 만나봤던 당시의 나는, 그 친구의 말을 끊을 줄 몰라 거의 대부분 그녀의 이야기를 들어줬던 것 같다. 


처음에는 재밌는 이야기들이었다. 그냥 시시콜콜하게 사는 이야기들. 그런데 여기서 점점 다른 사람의 TMI가 나오기 시작하고 불평과 불만으로 그 이야기들이 확장이 되다 보니 여간 피곤한 게 아니었다. 게다가 앞서 말했듯이 이러한 이야기를 끊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퍼부어댔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게 힘들다는 것을 이 친구를 통해서 처음 깨닫게 될 정도였다. 피곤한 티를 내도, 그만 가봐야 된다고 말을 해도 그녀는 끝까지 나를 붙잡고 이야기를 했다. 



그녀는 무엇을 갈구했기에 그렇게까지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이야기들을 다 쏟아내려고 했을까. 아마 이야기라는 도구를 통해서 자신의 부족한 점을 가리려고 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녀가 하는 이야기는 항상 자신의 이야기가 아닌,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들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야기라는 도구를 이용해서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기 때문에 끊임없이 이야기를 토해내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라는 생각도 해본다. 이 친구의 경우 대학 시절 험담을 돌려 가며 해서 혼자가 되어본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가십거리들은 사람들이 흥미 있어하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사람들을 모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이를 이용해서 사람을 만나는 것이 그녀의 입장에서 인간관계의 전부였을지도 모른다. 그 인간관계가 일시적인 관계인 것이 문제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물론 이런 부류의 사람을 또다시 만나게 된다면 나는 무조건 거리를 둘 것이다. 그래도 이런 사람도 있었구나 하며 이해해보려고 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