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현금 사라지는 북유럽… 덴마크 노숙자, 모바일로 기부

JD 부자연구소 | 현금 사라지는 북유럽… 덴마크 노숙자, 모바일로 기부 받는다 - Daum 카페                                                         

현금 사라지는 북유럽… 덴마크 노숙자, 모바일로 기부 받는다

[북유럽, 전자 화폐의 천국]

유럽 최초로 지폐 만든 스웨덴, 세계서 가장 현금 안 쓰는 나라로
덴마크, 지하경제 3분의 1 줄어… 탈세·테러 등 범죄행위도 막아
일부선 사생활 침해 문제 제기… 노년층 불편 크다는 우려 나와

▲ 헬싱키=정경화 특파원

"현금은 없어도 전혀 불편하지 않지만 카드가 없으면 일상생활이 불가능합니다."

핀란드 헬싱키에 사는 티모 히니넨(27·회사원)씨는 지난 1일 오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한 달치 교통비 70유로(약 8만6000원)를 교통카드에 충전했다. 회사 앞 카페에서 0.5유로(600원)짜리 초콜릿을 사면서는 직불카드를 내밀었다. 지갑 대신 스마트폰 케이스에 카드 1장과 신분증만 꽂고 다니는 티모씨는 "현금을 갖고 다닌 지 3~4년은 된 것 같다"며 "가게에서 오히려 현금 내미는 손님을 귀찮아한다"고 말했다. 핀란드 내 현금인출기기(ATM) 숫자는 20년 전 2500개에서 1500개로 줄었고, 일부 은행은 ATM 기기로 현금을 인출할 때마다 수수료를 받기 시작했다. 핀란드를 비롯해 스웨덴·덴마크·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들이 '현금 없는 사회(Cashless Society)'에 성큼 다가서고 있다.

◇버스표 현금으로 못 사? 노숙인도 모바일로 기부받는다? 

덴마크는 지난 1월 1일 화폐 직접 생산을 중단했다. 지폐와 동전은 필요한 만큼 다른 나라에 위탁 생산해 들여오고, 장기적으로는 전자화폐 'e크로네' 도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노르웨이와 스웨덴도 이미 화폐 생산을 외국에 위탁했다. 덴마크 최대 은행인 단스케뱅크가 2013년 도입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모바일페이'는 덴마크 전체 인구 560만명 중 300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단스케뱅크는 노숙자도 모바일페이를 통해 기부를 받을 수 있도록 작년 10월 노숙자연합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노숙자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갖고 있어 모바일 기부에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다.

▲ 휴대폰과 작은 카드리더기만 있으면 어디서나 결제가 가능하도록 한 스웨덴의 카드 결제 시스템 아이제틀(iZettle)은 지난해 스웨덴 내 매출이 30% 늘었다. 노점상과 소상공인들에게 특히 인기가 높다. /아이제틀

1661년 유럽에서 가장 먼저 지폐를 발행한 스웨덴은 이제 세계에서 가장 현금을 안 쓰는 나라로 불리고 있다. 스웨덴의 2015년 현금 결제 비율은 20%로 5년 전(39%)에 비해 절반으로 줄었다. 스톡홀름에서는 2007년부터 버스·지하철 요금을 현금으로 지불할 수 없도록 했다. 미리 충전된 교통카드만 사용 가능하다. 시내 곳곳 상점에는 '현금 없는 가게(Kontantfri butik)'라는 팻말이 붙어 있다. 대다수 소매점과 노점상이 지불 수단을 카드로 한정하고 있고, 손님들이 현금을 내밀어도 거절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했다. 교회 헌금도 오래전부터 카드 결제 기계를 이용하는 추세다. 스웨덴 은행들은 한 달 결제 금액을 제한한 어린이 대상 직불카드를 발급하는 등 카드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스웨덴 정부는 2030년이면 현금 사용이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노르웨이 최대 은행 DNB도 지난해 "노르웨이 전체 인구의 6%만이 일상생활에서 현금을 사용한다"며 "대부분 은행 지점이 현금을 보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자연히 금융 서비스와 IT 기술을 결합하는 핀테크 산업도 성장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카드 결제 방식을 보다 간편하게 바꾸는 모바일 지급 결제 분야나 모든 디지털 화폐의 거래 내역을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 등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핀란드 핀테크 기업 '유니클'은 얼굴 인식 기술을 통해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했고, 스웨덴에서는 모바일 카드 결제 애플리케이션 '아이제틀'의 매출액이 작년 한 해 동안 30%나 늘었다. 스마트폰과 소형 카드리더기만 있으면 어디서나 카드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계산대를 갖추기 어려운 작은 점포나 노점상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사생활 침해나 노년층 불편 등 우려도?

덴마크 국세청은 지난 2012~2014년 사이 덴마크의 지하경제 규모가 3분의 1 정도 줄었다고 발표했다. 현금 거래 축소가 검은돈의 규모를 줄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북유럽 각국은 '현금 없는 사회'가 되면 화폐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탈세나 테러, 마약 등 범죄 활동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모든 금융 거래 내역이 시간과 장소까지 세세하게 전자 시스템에 기록되기 때문이다. 탈세가 감소하면 정부 세수가 자연스레 늘고 뇌물 수수, 마약 거래, 밀수 등 불법 거래는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금 없는 사회'는 보안과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개인의 소액 결제 내역까지 정부나 기업의 손에 통째로 넘어가거나 해킹당할 경우 개인의 사생활이 '빅 브러더'에 감시당할 위험이 커진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라르스 로데 덴마크 중앙은행 총재는 작년 12월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디지털 화폐에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거래 내역을 추적하는 기술을 도입하는 등 현금을 대체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도 "가장 시급한 문제는 기술 개발이 아니라 개인 정보에 관한 정부와 국민 간의 신뢰를 어떻게 쌓느냐는 것"이라고 밝혔다.

현금 없는 사회로 빠르게 이행하면서 현금을 선호하고 신용카드나 모바일 결제에는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이 감수해야 할 불편이 크다는 불만도 나온다. 지폐나 동전 등 실물 화폐를 주고받지 않다 보니 소비가 헤퍼지는 경향도 나타난다고 한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07/2017020703470.html

이렇게 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니 이렇게 갈 것이다.

지갑에 돈을 넣을 필요도 없고 동전지갑을 만들 필요도 없다.

그럼 왜 이리 하는가?

첫째 정부의 세수확보다.

그냥 컴퓨터만 보면 되니 얼마나 심플하고 쉬운가?

누구나 다 이렇게 쓰고 아예 동전이나 지폐를 만들지 않는다면 자금의 이동은 투명하게 보인다.

은행 전산망만 들여다 볼수 있으면 말이다.

그러니 국회랑 짜고 법안만 만들면 된다.

은행 전산망 선진화 법안 뭐 이런 말로 말이다.

유럽에서 하면 우리나라도 따라하게 되어 있다.

선진국이 하는데 후진국이 안 할 이유가 없다.

그러니 세수가 투명하게 보인다.

고소득자의 탈루나 검은 돈은 감추기 힘들어지게 될 것이다.

둘째 정부의 시장 개입이다.

중요한 이유인데 현금이 없어지면 정부의 시장개입이 쉬워진다.

이유는 요즘 같은 불황기에 사람들이 물건을 안 사서 유효수요(사람들이 사려는 의지나 욕구)가 없는 것이 문제라고 판단 되었다고 치자.

그럼 정부는 은행에 모든 예금에 마이너스 금리 1%를 걸어버린다.

그러면 어떻게 되나?

카드로 돈 긁고 다녀야 된다.

만약 현금이 있는 사회라면?

그렇다면 뱅크런이 일어나겠지.

은행이 파산한다.

집에 금고 사놓고 거기다 현금 쟁여놓겠지 누가 은행에 보관료 줘 가면서 은행에 맡길까?

만약 현금 없는 사회가 되면 금을 사자.

금고 주식은 팔고 말이다.

사람들이 카드로 금 사지 않을까?

금은 마이너스가 되지 않는 대신에 적은 부피로 큰 자본을 빼돌릴 수 있고 그 가치가 영원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현금이 없어지기 시작하면 남은 돈으로 금을 사자.

언제 팔아야 하는가?

불황인데 정부가 은행에 마이너스 금리를 때릴 때 팔자.

물론 아직 먼 이야기이고 이러한 시나리오는 유럽에서 먼저 펼쳐질 것이다.

왜냐하면 신문기사의 말대로 2030년이면 북유럽 국가들 중 일부는 모든 현금이 사라진다 하지 않는가?

이들의 동향을 신문기사로 살펴 보는 것도 중요하다.

무엇을 샀는가에 대한 것 말이다.

북유럽이 부동산이 오른 곳도 있다.

덴마크와 같은 곳 말이다.

막판까지 가면 그럴 수도 있을 것 같다.

부동산은 감가상각되지만 그래도 월세는 나오니 금보다는 조금더 큰 재물을 쉽게 보관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부동산은 아마도 누구나 사고 싶어하고 팔기 쉬운 곳이 아닐까?

내가 살고 있는 곳은 아니라고 생각하자.

주식에서 잡주가 상장폐지 되듯이 내가 갖고 있는 부동산도 상장폐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자.

나만 좋은 부동산이 아닌 남도 좋아 하는 부동산이 아니라면 말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쏘나타 친환경차, 中 출시 미뤄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