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포스코 '백색황금' 리튬 국내 첫 생산

JD 부자연구소 | 포스코 '백색황금' 리튬 국내 첫 생산 - Daum 카페                                                         

포스코 '백색황금' 리튬 국내 첫 생산

[세계 처음 화학 추출에 성공… 연간 2500t 생산 공장 준공]

- 독자 기술 개발 7년 만에 결실
휴대전화·전기차용 배터리 핵심 원료로 수요 크게 늘어 "노트북용 7000만개 생산 규모"

- 비철강 강화 시동 건 권오준 2기
올 신소재 개발에 4000억 투자 "新성장산업 적극 육성할 것"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리튬 화학 추출에 성공해 상업생산에 들어갔다. 휴대전화와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 핵심 원료로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리튬은 흰색을 띠고 있어 '백색 황금' '전기차 시대 휘발유'로 불린다. 포스코는 7일 전남 포스코광양제철소에서 연간 2500t의 탄산리튬〈키워드〉을 생산할 수 있는 8500㎡ 규모의 리튬 생산 공장(포스엘엑스·PosLX) 준공식을 가졌다. 리튬 상업생산을 위한 독자 기술 개발을 시작한 지 7년 만의 결실이다. 김종주 산업통상자원부 전자·전기과장은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이차전지 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주원료인 배터리용 탄산리튬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포스코가 배터리용 탄산리튬을 자체 생산함에 따라 이차전지 제조 기업들이 원료 걱정 없이 경쟁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7년 만에 리튬 첫 결실…노트북 배터리 7000만개 상업생산

포스코는 광석이나 염수(소금물)로부터 인산리튬을 추출한 뒤 이를 다시 탄산리튬으로 만들어내는 공법을 독자 개발했다. 평균 12~18개월이 걸리는 기존 자연 증발식 리튬 추출법과 달리 이 공법은 짧게는 8시간에서 길어도 1개월 내 고순도 리튬을 추출할 수 있다. 리튬 회수율이 80% 이상으로 높아져 경제성이 뛰어난 데다 리튬의 순도도 99.9%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포스코 관계자는 "일본·유럽·미국 업체들도 독자 공법 개발에 투자하고 있지만, 상업생산에 성공했다는 소식은 아직 듣지 못했다"며 "해외의 리튬 광산에서 원료만 들여와 생산을 할 수 있어 수입 대체 효과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리튬 추출과 관련해 100건 이상의 국내외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 7일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전남 포스코광양제철소 내 리튬 생산 공장(포스엘엑스·PosLX)에서 휴대전화와 전기차에 들어가‘백색 황금’이라고 불리는 탄산리튬 최종 제품을 손에 들어 보이고 있다. 포스코는 이날 연간 2500)탄산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8500㎡ 규모 리튬 생산공장 준공식을 갖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리튬 상업생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포스코

 포스엘엑스(PosLX) 공장은 연간 2500t의 탄산리튬을 이차전지용 양극재 제작업체인 포스코 ESM과 이차전지 제작업체인 LG화학삼성SDI에 공급한다. 이 정도의 탄산리튬은 약 7000만개의 노트북용 베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이차전지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생산 규모를 4만t까지 늘려갈 예정이며, 이럴 경우 수입 대체 효과가 연간 수천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색 황금 리튬에 꽂힌 '권오준 시즌 2'…"비철강, 획기적으로 강화"

철강업계에서는 이날 준공식을 지난달 25일 연임에 성공한 '권오준 시즌 2'의 첫 행보로 보고 있다. '시즌 1'에서는 '철강 본원의 경쟁력 강화'를 내걸었던 권 회장이 리튬 등 비철강 부문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섰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권 회장은 연임에 성공한 직후 "포스코의 수익성은 어느 정도 확보가 됐는데 계열사의 수익성 확보도 중요한 만큼 앞으로는 이 부분에도 힘을 많이 쏟겠다"며 "비철강 생산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지난 2일 COO(최고운영책임자·철강부문장) 체제를 도입해 철강 부문은 오인환 사장(COO)에게 맡기고 본인은 미래 성장 동력 확보, 비철강 부문 개혁에 전념하겠다고 선언했다.

권 회장과 리튬의 인연은 7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권 회장이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원장으로 재임하던 2010년 포스코는 국토해양부·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과 협정을 맺고 염수에서 리튬을 뽑아내는 기술 상용화 작업을 시작했다. 그는 이때부터 리튬 사업을 포스코의 신성장 사업으로 구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리튬은 최근 전기차 생산 확대 등과 맞물려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 1대에 들어가는 리튬은 5~7g에 불과하지만 전기차 1대에는 40~80㎏이 들어가기 때문에 '전기차 시대의 휘발유'로도 불린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생산이 늘어남에 따라 가격도 폭등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인 매쿼리 리서치는 "2020년이면 전 세계 리튬 수요가 26만t을 넘길 것으로 예상되지만 공급은 24만t에도 미치지 못해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관측했다.

권 회장은 "배터리용 리튬은 물론, 양극재용 고순도 니켈 등 에너지 소재 사업에서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으로 미래 신성장 사업을 육성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올해 신소재 개발에만 40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탄산리튬

리튬 화합물 중 가장 보편적인 화합물로 전기차, 휴대전화, 노트북 배터리에 들어가는 리튬이온전지의 주원료.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07/2017020703443.html

그렇다. 리튬은 제2의 석유다.

지금 포스코가 개발했다는 것이 상용화가 되면 정말 엄청난 일이 벌어진 것이다.

포스코 주가를 봤다.

많이 떨어졌다.

사실 포스코 중국에 밀리면서 앞으로 멸망할 일만 남았는데 큰 일을 해냈다.

포스엘엑스라는 회사의 주식은 따로 없는 것 같다.

혹시 그렇지 않으면 댓글 달아주면 고맙겠다.

비교표를 보니까 기존의 리튬보다 훨씬 시간과 회수율 순도 등 나무랄데가 없다.

포스코는 광석이나 염수(소금물)로부터 인산리튬을 추출한 뒤 이를 다시 탄산리튬으로 만들어내는 공법을 독자 개발했다

그렇지만 기사 내용중 이 기사의 한 줄이 수상하다.

리튬의 추출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리튬광산에서 추출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해수(그냥 바닷물)에서 추출하는 방식이다.

이 중 해수에서 추출하는 방식은 아직까지는 경제성이 없어 그리 선호되는 방식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바닷물 1kg에 약 35g 정도가 평균적으로 녹아 있는데 이 가운데에는 리튬과 같은 가치 있는 원소들이 아주 낮은 농도로 해수에 용해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리튬은 바닷물 1리터 중에  약 0.17mg, 우라늄은 약 0.003mg의 농도로 존재하고 있다.

극미량이다.

그러나 바다가 엄청나게 큰 만큼 만약 해수에서만 리튬을 추출할 수 있다면 정말 리튬은 끊임없이 쓸 수 있는 자원이다.

그러나 경제성이 없어서 다른 나라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그래서 포철 권오준 회장의 아르헨티나 리튬사업은 '대국민 사기극'과 같은 기사도 났다.

http://www.amn.kr/sub_read.html?uid=24217

그럼 일반적으로 리튬을 추출하는 방식은 어떠한가?

리튬광산에서 리튬을 생산하는데 리튬은 철광석이나 석탄과 다르게 생산지역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 세계적으로 리튬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는 칠레,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국가와 미국, 중국 등 소수에 불과하다.그래서 이들 국가에서는 염호(鹽湖, brine)를 증발한 후 정제하여 생산(생산기간 ; 1~2년)하거나, 리튬이 포함된 리티아 휘석(spodumene), 페탈라이트(petalite), 비늘 운모(lepidolite) 등의 광석을  채광한 뒤 선광, 제련과정을 거쳐 생산하고 있다. 때문에 리튬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경우 공급량을 단시간 내에 조절하기 어려워 리튬 확보에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많다.

http://www.amn.kr/sub_read.html?uid=24217

즉 리튬이 많이 들어있는 광석을 통해 리튬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기사를 자세히 보니 해수라고만 나온 것이 아니라 광석이나 염수(소금물)로서 추출한다는 말이다.

만약 해수(바닷물)이라면 해수라는 말만 나와야 한느데 해수라고 안 나오고 광석이나 염수라고 나온다.

그러니 해수에서 추출하는 것이 아닌 리튬광석을 수입해서 우리나라에서 추출만 하는 방식이 아닌가 생각된다.

포철 권오준 회장의 아르헨티나 리튬사업은 '대국민 사기극'

이 기사에서 왜 사기극인지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그것은 아르헨티나에 광산에서 직접 추출한다는 내용이다.

기사의 핵심내용은 이렇다.

이에 대해 정민우전팀장은 “포스코 리튬공장이 들어서는 아르헨티나 살타주 포주엘로스 소금호수는 해발 4000m로 이곳에 공장을 짓는다는 것은 무모한 발상”이라며“산소부족으로 사람이 살기 어렵고 또한 지상에 비해 높은 공사비와 전기, 용수, 도로, 폐수처리등 많은 인프라 비용이 소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특히 해발 4천미터에서 연간 4만톤의 리튬생산에 4천만톤의 폐수가 발생되므로 불법처리를 한다면 모를까 정상적인 폐수처리라면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고했다. 사업성 측면에서 부정적 견해다. 연내 완공키로 한 2500톤 설비규모는 연간 매출액 기준으로 225억원에 해당된다. 4만톤 규모로 확대한다해도 포스코그룹 매출액 작년기준 58조 7천억의 0.6%(3600억년 수준으로 포스코 실익에 별반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

정전팀장은 “리튬사업은 포스코 미래를 책임지는 신성장사업이 아니다”면서“권회장이 추진하는 아르헨티나 리튬사업은 한심한 사업가적 자질을 보여주는 대목”이라며“새로운 회장이 오면 철회해야할 사업”이라고 비판했다.

즉 공장이 지어진 곳이 비정상적인 곳이라는 얘기고 그것을 통해 가공한다 해도 별로 실익이 없다는 얘기다.

아마도 지금 신문에 난 것은 포스코는 리튬광산에서 광석을 채취해서 한국에서 획기적인 가공시간만을 단축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것이 결론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인공지능 비서 기기, 올해 전세계서 2450만대 팔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