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108년 만에 실적 공개한 샤넬… 매출 100억弗 육박

 108년 만에 실적 공개한 샤넬… 매출 100억弗 육박


                

루이비통 이어 매출 세계 2위 
 유럽·아시아 지역이 80% 차지 
 회사 매각 수순 관측엔 '부인'        

      프랑스 명품 패션기업 샤넬이 1910년 파리에서 영업을 시작한 이후 108년 만에 처음으로 경영실적을 공개했다.

샤넬은  지난해 96억200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다고 2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전년보다 11.5% 증가한 규모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영업이익은 27억달러, 순이익은 17억9000만달러였다.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은 28%에 달했다. 

지역별 매출은 유럽이 39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아시아가 37억5000만달러로 뒤를 이었다. 샤넬은 향수 신제품인 가브리엘 샤넬과 시계, 보석 판매 호조가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샤넬의 매출은 라이벌인 루이비통에는 뒤진다. HSBC는 루이비통의 지난해 매출을 108억달러로 추정했다. 루이비통은 실적을 공개하지 않는다. 구찌와 에르메스의 지난해 매출은 각각 72억달러와 64억달러로 샤넬에 못 미쳤다.  

  콧대 높은 샤넬도 앱 선보인다… "그래도 온라인 판매는 안해"  


    샤넬 소유주인 알랭 베르트하이머와 제라드 베르트하이머 형제의 지분 가치도 공개됐다. 이들의 지분 가치는 각각 230억달러였다.  블룸버그는 베르트하이머 형제의 재산이 과거 추정치보다 87억달러 많으며, 두 형제가 각각 프랑스 4~5위 부자면서 세계 부자  순위에서도 40위 안에 들어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샤넬이 경영실적을 처음 공개한 배경을 두고 ‘회사 매각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기업 산둥루이가 지난 2월 스위스 명품 브랜드 발리 지분 75%를 인수하는 등 최근  글로벌 명품업계에선 인수합병(M&A)이 활발해지고 있다. 루카 솔카 BNP파리바 애널리스트는 “샤넬 주주들이 갑자기 시장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기업공개(IPO)나 M&A를 위한 사전 작업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매각을 염두에 둔 조치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필립 블론도 샤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내부 논의 끝에 경영 투명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냈다”며 “우리는 자립성을 유지하면서 장기 전략에 초점을 맞출 재정 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62254581      

중국의 내수시장이 커질 것이다.

커지면 중국기업이 전부 잡을 것인가?

아니다.

고급품은 100년이 지나야 중국제품일 따라갈까 대부분의 시장은 명품기업이 잡을 것이다.


샤넬은  지난해 96억200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다고 2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전년보다 11.5% 증가한 규모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영업이익은 27억달러, 순이익은 17억9000만달러였다.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은 28%에 달했다. 


이 기사에서 중요한 것은 이 문장이다.

11.5% 증가한 규모

회사가 얼마나 성장해야 할까?

세계경제성장률이 3% 정도 된다.

그래서 5% 정도 성장이 일어나면 중속정도의 성장이고 10%가 넘는다면 고속성장이다.

20%가 넘을 것이라 예상된다면 아주 빠른 초고속 성장세인 셈이다.

아시아권에서 신흥부자나 중산층이 늘어나면서 명품기업들의 성장세가 아시아권 국가의 성장률보다 훨씬 빠른 성장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매출 영업이익률이 28% 정도란다.

웬만한 제조업체들 영업이익률이 몇 % 나올까?

아마도 5% 내외 아닌가?

그런데 28%라면 고객들에게 바가지를 씌워도 옴팡 뒤집에 씌운다는 얘기 아닌가?

사실 명품은 그래야 빈익빈 부익부가 더 심해지지

개나 소나 다 가지고 다니면 명품이 아니지 않는가?

사실 돈이 많아서 명품을 가지고 다니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왜냐?

돈이 많아서 주체를 못하니 써야지 그것도 과소비를 해야지.

그래야 경제가 돌아가니까 말이다.

그런데 진짜 문제는 돈이 없는 중산층이 따라하기 소비를 하면서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이런 명품백을 사려고 할부로 긋는 순간 자신의 노동은 명품백에 저당 잡혀 명품백을 값을 마련하는데 들어가니 노예도 이런 노예가 없다.

그래서 현대 사회는 스스로 노예가 된다.


그것이 인간의 욕망 아닌가?

페이스북이 발달 한 것이 자신의 욕망 분출 도구 아닌가?

아침에 커피 한 잔 마시면서 명품백 옆에 로고 보여주게 놔 둬야 소위 지인이라 불리우는 사람들에게 자랑질 해야 할 것 아닌가?


아주 인간의 욕망을 제대로 긁어주신다.

해외여행도 좀 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


페이스북은 나의 허영을 보여준다.

내 일상은 여전히 빚을 갚느라 허덕이는데도 한가로이 보여야 하는데 있다.


영업이익률이 이만큼 높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의 가치가 높다는 뜻이다.

물론 그만큼 주가도 올라가고 있다.

주가도 앞으로 계속 올라갈 것이다.

아시아의 허영을 채우려면 아직도 멀었으니까 말이다.


이런데도 코스닥 잡주만 본다.

양도세 걱정하면서 말이다.

양도세는 올라야 내는 세금이다.

안 오르면 안 내도 된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괴물' 넷플릭스에 쫓긴 디즈니… 79兆 베팅 21세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