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스냅챗 베낀 '인스타그램 스토리' 이용자 스냅챗 2배

 스냅챗 베낀 '인스타그램 스토리' 이용자 스냅챗 2배 


페이스북의 자회사인 인스타그램이 2016년 사진과 동영상을 24시간 이내에 사라지도록 하는 기능인 '스토리'를 론칭했을 당시 실리콘밸리는 경악했다. '순간 사라짐' 기능으로 미국 청소년들을 열광하게 한 스냅챗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기 때문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가 스냅챗을 죽이려 한다"는 말이 공공연히 떠돌았다. 저커버그는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 경쟁이 될만한 회사가 부상하면 그 회사를 사버렸다. 그러나 스냅챗의 에번 스피걸 CEO는 저커버그의 인수 제안을 거부했다. 


이 때문에 저커버그가 스냅챗을 고사시키는 전략을 택했다는 것이다. 24시간 사라짐 기능뿐 아니라, 꽃 왕관이나 토끼 귀와 같은 스냅챗과 유사한 필터도 도입했다. 


전세계 20억 명이 넘는 이용자 인프라를 가진 페이스북의 인스타그램 스토리가 스냅챗을 따라잡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스토리는 출시 8개월 만에 스냅챗 이용자 수를 넘어섰고, 1년여 만에 2억5천만 명, 그리고 28일에는 4억 명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현재 1억9천만 명 수준으로 이용자 수 정체의 늪에 빠진 스냅챗의 2배가 넘는다. 최근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인스타그램이 페이스북의 자회사가 아닌 독자적인 회사라면 가치가 1천억 달러가 넘는다"고 추산했다. 


2012년 페이스북은 이 앱을 10억 달러에 인수했었다. 인스타그램은 이날 스토리의 사진이나 비디오에 음악을 추가하는 기능을 발표했다. 지난주에는 누구나 10분짜리 동영상을 게시할 수 있고 팔로워가 1만 명 이상인 경우 1시간짜리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인스타그램 TV(IGTV)도 발표했다. 


구글의 유튜브를 겨냥한 것으로 보이지만, 스냅챗과의 격차를 더욱 벌리는 결과로 이어질 것은 자명하다.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소셜미디어 업계에 혜성처럼 등장하면서 주목을 끌었던 스냅챗은 지난해 뉴욕증시에 상장했지만, 현재 주가는 공모가인 17달러에도 못 미치는 13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824974&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기술주와 서비스 주식의 차이점이 있다.

기술주는 1등이니 비싸고 2등이나 3등은 시가총액에 있어서 싸다.

그래서 1등이 올라가는 것보다는 2, 3등이 주가가 올라가는 것이 더 빠르고 더 가파를 수 있다.

관련산업이 팽창을 할 때 말이다.

예를들어 MLCC라는 제품이 있는데 그와 관련된 것은 모든 전자제품이다.

그러니 전자제품이 늘어나는 것만큼 MLCC수요도 늘어나는데 1등인 무라타보다는 삼성전기의 주가 흐름이 가파른 이유는 다 이런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서비스주식은 다른 점이 있다.

2등은 고사하고 1등만이 살아남는다는 사실이다.


예를들어 우버가 이러한 서비스 산업의 극단적인 예이다.

만약 차를 호출을 했는데 우버는 1분만에 왔고 카카오택시는 5분만에 왔다고 치자.

그러면 손님은 어디에 갔을까?

이미 우버를 타고 가버리고 없다.

그러니 카카오택시는 망하고 만다.

오히려 기술주와는 반대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래서 스냅과 같은 기업은 망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서비스 기업의 강점은 무엇인가?

많은 사용자 풀(Pool)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2등은 바로 아웃이다.

우버가 왜 빨리 왔을까?

우버가 빨리온 이유는 많은 우버 운전자가 깔려 있기 때문이다.

우버 운전자의 차에 부스터(booster: 우주선의 발사체 전체나 제1단 로켓, 또는 보조 엔진을 부르는 이름)가 달려 있어서 빨리 온 것이 아니란 얘기다.

그러니 돌아 다니는 놈이 훨씬 많고 그러니 내가 호출을 했을 때 주변에 있는 확률이 더 높아 빨리 왔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페이스북과 같은 서비스는 어떻게 설명이 되나?

여기도 마찬가지로 사용자 풀이 많아서 강점을 지닌다.

페이스북은 뭐 하는 SNS인가?

핵심은 자랑질 아닌가?

그런데 자랑질 하려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자랑질 해야 속이 시원하지 않는가?

오랜만에 샤넬백을 샀는데 예전에는 지인들과 저녁 모임에서 몇 명에게만 보여주고 부러운 시선을 느꼈지만 지금은 페친들 수백명, 수천명에게 자랑질 할 수 있지 않은가?

그러니 사이즈가 다르다.


얼마전 유튜브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한 말이 있다.

꽤 많은 팔로워를 가지고 있는 운영자였다.

아프리카 TV에서 유튜브로 옮겨 왔는데 왜 왔는지에 대해 답변한 그의 말은 이렇다.


 '아프리카TV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한국사람만 상대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튜브는 한계가 없다. 왜냐하면 세계인을 상대로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돈도 훨씬 많이 벌 것이라 생각한다.' 라고 말이다.


유튜브는 그냥 세계인이 쓰는 것이라 한계가 없다고 생각한 것 같다.

사실 한국컨텐츠 방송도 세계적으로 유튜브를 통해 뻗어 나가고 있지 않은가?

그러니 사이즈가 다르다.


결국 서비스는 사용자가 많은 것이 깡패다.

사용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주가가 올라간다는 뜻이다.

그리고 그가 사용자를 다 먹는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이런 서비스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고 업계2위를 공략하는 것은 좋지 않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아마존, 온라인 약국 ‘필팩’ 인수 전격 발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