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빚더미 中기업… 줄줄이 디폴트

 빚더미 中기업… 줄줄이 디폴트


  상장사 원타임에너지 부도 
 성장 둔화·금리 상승에  
 민간기업 파산 공포 확산

  중국 기업들의 채무불이행(디폴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 중국 기업의 디폴트 규모가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이란 시장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6일  경제 전문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상하이증시에 상장된 대형 에너지 기업인 윈타임에너지가 전날 만기가 닥친 15억위안(약  2500억원)의 단기 채무를 상환하지 못했다. 시장에서는 윈타임에너지의 디폴트 규모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다음달  말까지 45억9000만위안의 채권 만기가 돌아오기 때문이다.



윈타임에너지와 자회사들이 지금까지 발행한 채권은 5억달러어치의 달러 채권을 포함해 274억위안(약 4조5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중국 채권시장에서 최대 민간 에너지 업체 화신에너지의 296억위안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액수다.



올 들어 디폴트를 선언한 중국 기업은 모두 24곳에 이른다. 인민은행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공모채권과 사모채권 디폴트 규모는 663억위안(약 11조1100억원)으로 전체 채권의 0.39%를 차지했다.    


  中, 미중 무역전쟁 본격 대응…보복관세·국제사회 공조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 들어 중국 기업이 발행한 공모채권에서 발생한 디폴트는 165억위안으로 역대 최대 규모였던 2016년  207억위안의 80%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 중신증권은 “2016년의 디폴트 사태는 주로 국유기업의 과잉 생산이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올해는 대부분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민간 부문에서 발생했고 다양한 업종에 걸쳐 있는 게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신용평가사들이  전례 없이 많은 중국 기업의 신용등급을 강등하는 추세를 감안하면 회사채 디폴트 공포가 더욱 커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중국  신용평가회사 다궁은 올해 13개 기업의 신용등급을 낮췄고 10개 기업의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했다. 성신과 롄허 등 다른  신용평가사들도 비슷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신용평가사  중국청신의 리스 국장은 “올 들어 기업 수익이 나빠졌고 경제 성장 둔화로 향후 개선되지도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비은행이  은행처럼 대출하는 섀도뱅킹(그림자금융)에 대한 단속이 이어지는 한 채권 차환 발행도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게다가  회사채 금리까지 상승하고 있어 국유 은행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민간기업은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 상환에 더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중국 회사채 금리의 기준이 되는 AA- 등급 회사채 금리는 최근 연 6.99%까지 올랐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과의  통상전쟁이 본격 시작되면서 중국 기업의 부담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베이징=강동균 특파원 kdg@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70658491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 들어 중국 기업이 발행한 공모채권에서 발생한 디폴트는 165억위안으로 역대 최대 규모였던 2016년  207억위안의 80%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 중신증권은 “2016년의 디폴트 사태는 주로 국유기업의 과잉 생산이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올해는 대부분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민간 부문에서 발생했고 다양한 업종에 걸쳐 있는 게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그전까지는 과잉생산에 의한 자연스런 구조조정으로 부도가 났었는데 지금은 인위적으로 부도를 내고 있다는 뜻이다.

이것은 중국정부가 사업성이 없는 기업은 일부러 죽이고 있다는 얘기다.

왜 죽일까?

이유는 당연하게도 미국의 금융시장에 대한 공격대비용이다.

앞으로 무역전쟁을 일으키면 당연히 위안화 가치가 높아질것이다.

 그러면 그 때는 이런 부실기업들은 가격경쟁력이 떨어져 없어질 기업될 기업들이다.

그 때가 되면 너무 많은 기업이 한꺼번에 정리가 되면서 금융시장에 불안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중국정부는 사전포석 차원에서 디폴트 위험이 있는 기업들을 현재 정리하고 있는 중이다.

정리하는 것은 실적이 안 좋고 부채비율이 높으며 핵심역량을 갖춘 기업이 없어질 확률이 높다.

그러면 중국에 투자했을 때 웬만하면 잘 알려진 기업 위주로 투자하는 것이 더 낫다는 얘기가 된다.

특히 한국에 상장 된 주식들은 중국에 상장이 안 되어서 온만큼 이런 기업들은 아예 사지 않는 것이 낫다.


신용평가사들이  전례 없이 많은 중국 기업의 신용등급을 강등하는 추세를 감안하면 회사채 디폴트 공포가 더욱 커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중국  신용평가회사 다궁은 올해 13개 기업의 신용등급을 낮췄고 10개 기업의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했다. 성신과 롄허 등 다른  신용평가사들도 비슷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중국의 신용평가사들이 강력하게 구조조정을 이끌고 있다.

부실기업은 신용도를 낮추고 신용도가 낮아지니 추가 대출이 힘들고 기존 대출도 상환하라 하면 부실기업은 바로 퇴출된다.

아마도 이런 부실기업 리스트가 있을 것이다.

그러니 부실기업은 무역전쟁에 대비해 현재 정리수순으로 가고 있는 것이다.


기업뿐 아니라 중소은행들도 파산을 면치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빌려준 놈이 있으니 빌려갔을터이니 말이다.

물론 중국정부에서 살려준다면 모두 살아나겠지만 말이다.

그러나 이런식의 부실화된 기업들이 많아지면 중국증시가 좋아질리가 없다.


당분간은 중국증시쪽은 피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남들 오를 때 겨우 버티고 남들 떨어질 때 훨씬 많이 떨어질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확실히 좋아지는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면 중국쪽은 그냥 시세만 확인하자.

손해가 났으면 적극적으로 팔아 치우자.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美도 한국처럼 저출산 골치… 신생아 30년 만에 최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