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전기車·휘발유車 가격, 5년 내 같아진다"  

"전기車·휘발유車 가격, 5년 내 같아진다" 

[20년간 배터리 '한 우물'… 김명환 LG화학 배터리연구소장]

90년대 초 구본무 회장이 "배터리에 미래 걸겠다" 결심… 20여년만에 日 제치고 글로벌 1위
"4차 산업혁명 확산되면 배터리 시장이 반도체보다 커져"

 "앞으로 5년 내 정부 보조금 없이도 전기차와 휘발유차 가격이 같아질 것입니다"

국내 최고 배터리 전문가로 꼽히는 김명환(61) LG화학 배터리연구소장(사장)은 "지금 전기차는 '1세대 전기차'에 불과하고 앞으로 5년 내에 한 번 충전으로 400~500㎞를 달릴 수 있는 '진정한 전기차 시대'가 도래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20년 동안 '배터리 연구'라는 한 우물을 판 김 소장은 최근 포스코청암재단으로부터 기술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올해 신설된 기술상은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산업화해 국가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사에게 주는 상으로, 경쟁률이 200대 1에 육박했다.

▲ 김명환 LG화학 배터리연구소장은“앞으로는 소비자들이 환경을 생각해 전기차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 비용이‘0원’이 되기 때문에 전기차를 타는 시대가 곧 도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

 김 소장은 "앞으로 전기차는 생산 규모 확대로 가격을 획기적으로 내릴 수 있지만 휘발유차는 환경 규제로 인한 부담금이 늘어 점점 비싸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가 환경을 생각해 전기차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차를 사용하면 에너지 비용이 '0원'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가정마다 태양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솔라패널이 있으면 전기차를 굴리는 에너지 비용은 0원에 가까워진다"고 말했다.

김 소장이 배터리에 입문한 것은 1996년이다. 1992년 영국 출장길에 우연히 '충전식 배터리'인 2차 전지를 접했던 구본무 LG그룹회장은 귀국길에 충전식 배터리 샘플을 가져와 "미래를 걸겠다"고 결심했다. 럭키금속에 이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주문했지만 지지부진하자, 김 소장이 있던 LG화학으로 '충전식 배터리 프로젝트'가 넘어온 것이다.

김 소장은 "처음에는 전문가들조차 'LG화학이 소니 등 글로벌 선두 기업과 싸우는 건 불가능하다'고 했다"면서 "배터리 재료에서부터 제조 설비까지 모두 일본에서 수입해야 하고, 기술·자원조차 없는 한국이 어떻게 일본을 이길 수 있겠냐는 논리였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김 소장은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1998년 청주에 첫 충전식 배터리 양산 라인을 설치했으나, 성능·수율 등 품질 확보에 실패했다. 그는 "우선 기술력이 일본에 한참 뒤져 해마다 적자가 계속됐다"며 "회사 내에서 '괜히 시작했다' '당장 접어야 한다' 등의 비판 여론이 많아 고개를 못 들고 다녔다"고 말했다. 그러나 구본무 회장의 독려와 김 소장의 끈기가 합쳐져 2007년 일본과 차별화된 배터리 개발에 성공했다. 2009년 양산에 들어가 2015년에는 마침내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인 네비건트 리서치가 뽑은 '세계 전기차 배터리 경쟁력 1위'에 올랐다.

김 소장은 성공 비결에 대해 "누구나 1등을 베낄 수 있지만, 진정한 1등이 되기 위해서는 지금 1등과는 뭔가 달라야 한다"면서 '차별화 전략'을 꼽았다. 당시 세계적인 기업들은 각형 배터리를 채택했지만, LG화학은 파우치형 배터리를 선택했다. 김 소장은 "파우치형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를 높인 고유의 구조 특허를 갖고 있으며, 표면적이 넓어 열 발산이 쉬워 수명이 길고 안전성도 높다"고 말했다. LG화학은 현대·기아차를 비롯해 미국의 GM, 포드, 유럽의 폴크스바겐, 르노, 볼보, 중국의 상하이자동차, 창청(長城)자동차 등 전 세계 30개 자동차 회사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납품하고 있다. 전 세계 배터리 회사 중 가장 많은 자동차회사에 납품한다.

그는 "4차 산업혁명과 무선통신 시대가 확산되면 2차 전지 시장 규모는 반도체 시장보다도 더 커질 것"이라며 "로봇이나 웨어러블(착용형) 스마트 기기, VR(가상현실) 시대를 주도하는 글로벌 최고 배터리 업체 자리를 계속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12/2017021201829.html

전기차가 휘발유차만큼 가격이 동일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앞으로 전기차는 생산 규모 확대로 가격을 획기적으로 내릴 수 있지만 휘발유차는 환경 규제로 인한 부담금이 늘어 점점 비싸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가 환경을 생각해 전기차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차를 사용하면 에너지 비용이 '0원'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가정마다 태양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솔라패널이 있으면 전기차를 굴리는 에너지 비용은 0원에 가까워진다" 

5년 이면 굉장히 짧은 시간이다.

이유는 석유는 규제로 인하여 가격이 높아지게 되어 있고 배터리는 기술개발로 인하여 가격이 떨어지게 되어 있다.

게다가 만약 태양광으로 전기를 얻을 수 있으면 전기 가격마저 0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LG화학이 노력하여 세계경쟁력1위에 오른 것은 대단하다.

문제는 전기차라는데 있다.

전기차라는 것이 현재는 석유차에 비하면 경쟁력이 떨어진다.

그러면 당연히 보조금에 의하지 않으면 전기차는 석유차보다 나을 것이 없다.

충전소도 없고 가격도 비싸고 충전시간도 길어 바로 바로 쓸 수 없는 그런 전기차를 누가 쓰나?

그러니 당연히 보조금을 나라에서 줘야 한다.

그럼 나라에서 줘가면서 전기차를 쓰도록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래야 환경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나라는 환경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석유에 붙는 세금 석유차 안 쓰면 더 손해다.

그러니 나라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한 나라가 별로 없다.

그러나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나라가 있다.

북유럽과 중국이다.

북유럽은 석유를 쓰면서 지구 온난화로 북극의 빙하가 녹아내려 나라가 잠길 위기에 처해 있다.

네덜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등과 같은 나라들이다.

그래서 노르웨이는 2025년부터 내연기관 자동차가 못 돌아다니게 법을 바꿨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05/2016060500705.html

독일은 2030년 

http://thegear.co.kr/13074

파리 등 4개 도시 2025년까지 디젤차량 운행 전면 금지 선언
프랑스 파리, 스페인 마드리드, 그리스 아테네, 멕시코의 멕시코시티 등 4개 도시 시장들이 오는 2025년까지 디젤 차량의 시내 운행을 전면 금지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02/0200000000AKR20161202162900085.HTML
속속 세계의 도시들이 동참하고 있다.

그러니 석유는 지는해다.

배터리로 갈 것이다.

그런데 한국의 업체는 불리하다.

써 줄 자동차 회사가 내연기관 자동차 회사들 뿐이다.

전기차만 만들어대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소극적이다.

LG화학은 현대·기아차를 비롯해 미국의 GM, 포드, 유럽의 폴크스바겐, 르노, 볼보, 중국의 상하이자동차, 창청(長城)자동차 등 전 세계 30개 자동차 회사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납품하고 있다. 전 세계 배터리 회사 중 가장 많은 자동차회사에 납품한다.
죄다 내연기관 자동차 회사들이다.

물론 전기차 회사가 얼마나 되나?

그런데 전기차 회사가 세계의 전기차 생산량의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테슬라, BYD 같은 전기차 전문 업체들 말이다.

테슬라는 파나소닉이 꽉잡고 있고 BYD는 자사에서 배터리를 소화한다.

그러니 LG는 당분간 적자를 못 면한다.

게다가 중국에서 한국의 배터리 회사를 내치고 있다.

그러니 계속해서 적자가 나는 구조다.

작년 사상최대의 이익을 낸 LG화학 부문 중 적자를 낸 곳이 배터리 부문이다.

돈을 못버는 것을 몇 년간 더 해야 한다.

LG의 한계는 좁은 내수시장이다.

중국이나 미국과 같은 넓은 내수시장이라면 모를까 한국에서는 가뜩이나 비싸고 석유에 세금 많이 붙는 우리나라에서는 밀어주기도 힘들다.

해외에서는 그리 적극적이지 않다.

그러니 계속해서 힘들뿐이다.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하는데 그것이 좀 쉽지 않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뉴스테이·행복주택·보금자리 석연찮은 ‘데자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