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국내 바이오株는 시들한데…글로벌 헬스케어펀드 `불끈`

국내 바이오株는 시들한데…글로벌 헬스케어펀드 `불끈`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 이슈 등으로 한 차례 타격을 입은 제약·바이오주가 네이처셀 주가 조작 논란까지 겹치면서 투자 심리 급랭에  시달리고 있다. 해당 악재가 개별 종목의 이슈로 끝나지 않고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바이오주로 옮겨붙는 모양새다. 특히 국내 바이오  업종의 주가가 맥을 못 추면서 국내 헬스케어 펀드 역시 수익률 하락으로 고전하고 있다. 반면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바이오주에  투자하는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는 조정장에서도 꾸준한 실력을 과시하고 있어 희비가 갈렸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코스피 의약품과 코스닥 제약 업종의 시총 합계액은 127조5322억원으로 7월 들어  1조2000억원 이상 감소했다. 올해 2분기 동안 8조8680억원이 줄어들었지만 이달 들어서도 투자금 이탈이 진정되지 않고 있는  셈이다. 특히 코스닥 시총 상위 바이오주들의 고공 행진에 힘입어 올해 초 81조원에 육박했던 코스닥 제약 업종 시총은 35조원대로  반 토막이 났다. 

특히 최근 네이처셀 주가 조작 사태가 터지면서 바이오주를 둘러싼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가 더욱  증폭되는 모양새다. 대표이사 구속 소식에 하한가를 기록했던 네이처셀은 19일에도 20% 이상 급락세를 보였고  신라젠(-7.30%), 메디톡스(-4.98%), 나노스(-6.55%), 바이로메드(-2.52%), 셀트리온제약(-1.94%) 등  코스닥 시총 상위 대형 바이오주도 낙폭을 키워갔다. 

또한 코스닥 시총 상위 2위 종목인 CJ ENM이 11.4%나 떨어지면서 19일 코스닥지수는 10거래일 만에 800선이 붕괴됐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13.95포인트(1.72%) 내린 796.49에 마감했다. 

제약·바이오주의 위기감 고조에 국내 헬스케어 펀드 역시 반등할 기회를 찾지 못하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 종목에  투자하는 펀드들은 최근 3개월간 두 자릿수 손실률을 기록하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코스피200 헬스케어 지수를 추종하는  미래에셋TIGER200헬스케어 상장지수펀드(ETF)는 같은 기간 -14.88%의 수익률을 보였고, DB바이오헬스케어 펀드와  미래에셋한국헬스케어 펀드 등 액티브 유형도 -14% 안팎의 손실률을 보여 극심한 수익률 부진에 빠졌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헬스케어 업종을 담는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는 최근 3개월 동안 10%대  수익률을 선보이며 대조를 이뤘다. 미국 S&P 바이오 지수와 나스닥 바이오 지수 등이 같은 기간 7%대 이상의 상승세를  보이면서다. 유럽 지역에서도 최근 1개월간 빅파마 지수가 4.9%의 상승률을 보이며 업종 상승세가 확산되고 있다. 

개별 상품 기준으로는 미래에셋TIGER나스닥바이오 ETF가 최근 3개월 동안 16.85%의 수익률로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 중 가장 수익률이 좋았고, 메리츠글로벌헬스케어 펀드와 미래에셋글로벌헬스케어 펀드 역시 10%대 수익률을 올리며 순항하고  있다.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8&no=456252&sID=502      

왜 우리나라는 안 되고 외국은 될까?

정확히는 외국도 아니고 그냥 미국만이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헬스케어 업종을 담는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는 최근 3개월 동안 10%대  수익률을 선보이며 대조를 이뤘다. 미국 S&P 바이오 지수와 나스닥 바이오 지수 등이 같은 기간 7%대 이상의 상승세를  보이면서다. 유럽 지역에서도 최근 1개월간 빅파마 지수가 4.9%의 상승률을 보이며 업종 상승세가 확산되고 있다. 


왜냐하면 성장성이 없는데 너무 커져 버렸기 때문이다.

성장성이란 세계로 나갈 수 있는가인데 우리나라는 신약개발을 해서는 못 나간다.

왜냐하면 돈이 너무 들기 때문이다.

1년에 신약개발하려면 1000억씩 들어가고 임상에 들어가면 그것보다 더 들어가야 하는데 그 기간이 몇 년에 걸쳐서 해야 한다.

그러니 돈이 없다.

돈이 많은 나라는?

미국이다.

그러니 미국이 잘 될수밖에 없다.

미국은 돈의 조달도 쉽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신약개발보다는 카피약 개발이 더 나은 이유이다.

그런데 그 카피약도 경쟁이 치열한데 그것마저 싹을 잘라버리고 있으니 그것도 힘들어졌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규제가 심하다.

솔직히 약보다는 약 이외의 바이오가 좋다.

그것은 거의 제조업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약은 등락이 심하고 카피를 해서 베끼기 쉬워 특허기간 만료되면 글로벌제약사도 엄청나게 떨어진다.

애브비 같은 경우가 그렇다.

휴미라의 특허가 만료될 날이 얼마 안 남아 별로 주가가 안 좋다.

글로벌 제약사도 이모양인데 우리나라가 제약을 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그래서 하나를 히트 한다 하더라도 꾸준하게 히트를 못 내면 등락이 엄청나다.

그러나 제약 이외의 제품들은 다르다.

수술장비를 한다거나 임플란트를 한다거나 혈액 분리기를 한다거나 등등 말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이런 것을 할라치면 규제가 너무 심해서 할 수가 없다.

원격진료 허용한다고 하는데 관련법 고쳐야 한다.

그러니 될리가 없다.

관련법을 고칠리가 없으니 말이다.

결국 우리나라는 앞으로 바이오가 먹거리인 것을 알지만 규제와 더불어 근본을 알 수 없는 사기꾼들이 제약사를 차려 주가 부양하고 감옥가는 일이 허다하니 외국인이 안 들어온다.

그래서 개미지옥이 된 것이다.

그러나 바이오에 미래가 있다.

인류의 돈 많은 사람들이 노인이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시장만 보면 답이 없다.

그러나 세계시장은 답이 있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北 석탄 반입한 한국에 '우회적 경고' 보낸 美정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