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1kg 남짓 초소형 위성이 전세계 연결… 구글·스페이스

 1kg 남짓 초소형 위성이 전세계 연결… 구글·스페이스X도 투자 나선 '큐브샛'


과학 이야기 
 
 오지 인터넷·우주 탐사용까지 
 제작비는 1억~2억원에 불과 
 
 스페이스X, 세계 통신망 연결 
 구글은 실시간 지도 제공 추진        

      지난 5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인공위성 ‘마르코’가 보낸 지구 사진을 언론에 공개했다. 지구가 하얀 점으로  보이는 흔한 우주 사진이지만 NASA가 특별히 이를 공개한 데는 이유가 있다. 서류가방 크기의 초소형 인공위성이 지구로부터  100만㎞ 떨어진 우주공간으로 나가 찍은 사진이기 때문이다. 

애디 클래시 NASA 제트추진연구소 수석엔지니어는 “초소형 인공위성이 이처럼 멀리 비행한 것은 기념비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초소형  인공위성 ‘큐브샛’(사진)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개인이나 대학 동아리도 제작할 수 있는 간단한 교육용 위성부터 24시간  육지와 바다를 감시하는 관측용 위성, 오지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용 위성, 우주 탐사용 위성까지 다양한 역할을 하는  큐브샛이 등장하고 있다.

큐브샛은 정육면체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초소형 위성을 말한다. 1999년 미국 스탠퍼드대와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주립대가 교육용으로 처음 개발했다. 제작부터 발사까지 수천억원이 드는 대형 위성과 달리 제작비가  1억~2억원으로 저렴하고 발사비는 ㎏당 1억원에 불과하다.

      

      최근 큐브샛은 상업용 위성 시장을 넘보고 있다. 여러 대를 동시에 활용하는 ‘군집 위성’ 방식으로 개별 위성의 성능  부족을 극복하면서 전체 운영비용은 낮췄다. 지구 전체의 대기 상황을 감시하거나, 여러 지역의 위성사진을 동시에 찍는 등 한 대의  고성능 인공위성만으로는 불가능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2279명 꿈 실은 '차세대소형위성 1호' 우주로… 별 탄생 신비 밝힌다  


    미국 플래닛랩스는 상업용 큐브샛 분야에서 선도적인 벤처기업이다. 2013년부터 팔뚝만 한 큐브샛 150여 개를 우주에 띄워 지구  전 지역을 매일 촬영하는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 벤처기업 스파이어는 60여 개의 큐브샛으로 세계 바다를 누비는  7만5000척의 선박을 추적하고 있다. 구글은 2014년 위성 벤처기업 스카이박스를 인수한 후 시시각각 바뀌는 지상 상황을 반영한  실시간 지도를 제공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테슬라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는 2020년까지  4400개의 통신 중계용 위성을 띄워 세계를 통신망으로 잇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소프트뱅크가 1조원을 투자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원웹은 통신용 소형 인공위성 600개를 1200㎞ 상공에 쏘아 올릴 계획이다. 페이스북 역시 ‘아테나 프로젝트’라는  비슷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항공우주기업 스페이스워크스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운용 중인  소형(10~100㎏) 및 초소형(1~10㎏ 미만) 인공위성 중 상업용 비중은 56%에 이른다. 상업용 소형·초소형 위성 비중은  점차 커져 2022년까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해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사물인터넷(IoT) 시대가 본격 열리면 이를 연결하기 위한 초소형 위성 시장이 더 커질 전망”이라며 “드론(무인항공기)처럼 큐브샛을 쏘아 올리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72775631      

신문에 자주 나오면 뭔가가 있는 것이다.

요즘에 5G보다는 오히려 초소형 위성 얘기가 나오고 있다.

이것은 지상보다는 우주에서 통신을 하겠다는 얘기이다.

왜 지상보다는 우주일까?

지상은 나라별로 격차가 아주 심하기 때문이다.

잘 사는 나라들은 얼마든지 광케이블이건 5G건 다 깔면 된다.

그러나 못 사는 나라들은 전혀 인터넷이 안 되는 상황에 직면한다.

그것이 아프리카 대륙과 남미 대륙이다.

그런데 이런 곳은 땅이 넓고 못 사는 나라들이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페이스북이 얼마전 22억 명까지 늘리고도 정체상태에 빠졌다.

그이유는 지상으로 가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래서 지금 초소형 위성을 통한 전세계 와이파이를 구현하려는 노력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그들은 페이스북이건 유튜브건 모두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도 무료로 말이다.

그러면 성장률도 다시 늘어난다.

이들은 자율주행차는 안 될 것이다.

왜냐하면 와이파이는 되나 자율주행차에 필요한 초당 1GB의 데이터를 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말이다.

그러니 아주 고급은 아니나 저급의 품질이라도 지도로 음식점을 찾고 버스정류장을 찾고 맛집은 찾는 것은 가능하다.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인터넷 기능은 될 것이라 보인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쓰는 것이 그렇게 고급형만 쓰는 것은 아니고 거의 대부분은 쓸모 없는 것을 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렇게 위성서비스가 된다면 관련 기업도 괜찮겠지만 정작 아주 수혜를 입을 기업은 FAANG 기업이 될 것이다.

인공위성 관련 주식은 얼마든지 후발주자로 대체가 가능할 것이고 그들은 저가의 출혈경쟁을 통해 수익률은 녹아 내릴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FAANG기업과 같은 기업은 대체하기 불가능하다는 편이 맞다.

그러기에 오히려 위성회사보다는 위성을 통한 서비스를 보는 편이 더 맞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아마존 2분기 순익 2조8천억원…작년 동기 대비 12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