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바닥' 노려 들어왔는데 '지하실'로 추락…조선·해운주

'바닥' 노려 들어왔는데 '지하실'로 추락…조선·해운주에 물린 단타족 

<1부> 시장 불신부터 걷어내자 

조급증 빠진 한국 투자자 
주식보유기간 세계 4번째로 짧아…싱가포르 38개월의 5분의 1
장기 박스권 갇혀 '수익률 갈증'…개미들 단타 매매 유혹 쉽게 빠져
실적 등 펀더멘털 분석 외면…몇 번 성공하더라도 한 방에 쪽박                    

기사 이미지 보기

크게보기

“주식투자 2년 만에 4억원이었던 원금이 9000만원으로 줄어들었어요. 죽고 싶은 심정입니다. 도와주십시오.”

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주식투자 관련 채팅방에서 만난 한 노신사는 얼마 전 ‘반기문 테마주’를 샀다가 1억원이 넘는 손실을 봤다고 가슴을 쳤다. 그러고는 단숨에 만회할 종목이 있으면 꼭 추천해 달라고 했다. 하지만 ‘단숨에’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는 없다. 이미 수많은 투자자가 경험적으로 알고 있는 사실이다.

◆개미 왜 단타 하나

그럼에도 한국의 개인투자자(개미)들은 ‘조급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세계은행(WB)의 국가별 주식거래회전율(주식거래량을 주식 수로 나눈 수치)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한국 투자자의 평균 주식 보유 기간은 8.0개월로 나타났다. 한국보다 보유 기간이 짧은 국가는 중국(2.5개월) 터키(6.5개월) 미국(7.3개월) 등 3개국에 불과했다.

싱가포르는 평균 주식 보유 기간이 38.8개월로 한국보다 무려 5배 가까이 길었다. 이 밖에 일본(10.5개월) 독일(14.3개월) 홍콩(18.5개월) 호주(19.0개월) 등 선진국 대부분이 한국보다 투자 기간이 긴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은 개인투자자들이 대부분 펀드 등 간접투자 중심이고 직접 주식매매는 전문 트레이더 수준의 일부 개인만 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주식 보유 기간이 짧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한국 투자자들은 왜 보유 기간이 짧을까. 일부 전문가는 코스피지수가 6년째 ‘장기 박스권’(1850~2100)에 갇혀 있는 국내 증시 환경을 꼽는다.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부사장은 “박스권 시장에선 주식을 오래 보유해도 예금 수익률을 웃도는 수익을 기대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개인투자자가 주식시장의 ‘큰손’이라는 점도 우리나라 투자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유가증권·코스닥시장 전체 거래대금에서 개인투자자 거래대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66.8%에 달했다. 개인투자자 주식 거래비중이 30% 수준인 해외와 비교해 두 배 이상 높다. 

◆단타 매매 왜 위험한가 

단타 매매가 늘어나면 기업의 펀더멘털(기초체력)보다 일회성 이슈를 중심으로 투자하는 양상이 두드러져 비합리적인 투자 행태가 난무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정치테마주가 대표적인 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합리적인 투자가 실종되고 시장이 왜곡되면 결국 주식시장 전체의 신인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 장기 투자에 대한 가치가 떨어지고 상장사의 성장성도 훼손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최근 5년간 개인투자자들의 순매수 상위 5개 종목의 수익률 분석에서도 나타났듯 개인들의 ‘단타 매매’가 몰린 기업들의 주가 움직임은 낙제점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개인투자자가 단기 투자로 원하는 수익을 거두기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입을 모은다. 우선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들과는 체급부터가 다르다. 대부분 개인투자자는 기업 및 시장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여건에서 투자를 결정해야 한다. 넉넉한 투자금과 훈련된 인력으로 무장한 간접투자자들과 정면 승부를 할 능력이 안 된다.

때로는 감정에 치우쳐 냉정한 판단을 하지 못하는 것도 단타에 불리하다. 운 좋게 몇 번 수익을 내더라도 한두 종목이 급락해 그동안 번 수익을 대부분 반납하는 개인투자자들이 많다. 

‘떨어지는 칼날’을 잡은 뒤 손절매를 하지 못해 투자금을 날리는 경우도 허다하다. 마주옥 한화금융투자 투자전략팀장은 “금리 환율 유가 등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의 흐름은 단기간에 바뀌지 않기 때문에 주가도 한번 내리막을 타면 다시 반등하기까지 긴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 주가의 장기 하락을 단기 하락으로 오판해 저가매수에 나서는 사람들이 큰 낭패를 본다”고 말했다. 그 대표적 사례가 조선·해운주라고 했다.

◆상장사도 원하지 않아 

개인의 단기 투자 쏠림으로 기업의 성장잠재력이 훼손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업이 주주가치를 올리기 위해 배당과 자사주 매입을 늘리면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재원이 줄어들 수 있어서다. 해외 헤지펀드가 국내 투자자들의 조급증에 편승해 기업에 무리한 주주환원책을 요구하는 경우도 눈에 띈다. 

지난해 2월 미국계 헤지펀드 SC펀더멘털은 GS홈쇼핑을 상대로 배당을 지금의 두 배가량 늘리고 유통 주식의 10%를 사들여 소각하라는 주주제안을 했다. SC펀더멘털은 삼호개발 경동도시가스 모토닉 등에도 비슷한 제안을 했다.

하지만 이 헤지펀드는 주주친화책에 대한 기대로 주가가 오르면 바로 보유 지분 전량을 팔아치웠다. 이들 헤지펀드는 소액주주들과 연대해 주주총회 표 대결에 나서는 등 기업을 전방위로 압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 경영 활동보다 경영권 방어와 주주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시간과 인력, 비용을 허비하고 있다”고 호소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최만수/김익환 기자 

bebop@hankyung.com

http://stock.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21349931 

그럼에도 한국의 개인투자자(개미)들은 ‘조급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세계은행(WB)의 국가별 주식거래회전율(주식거래량을 주식 수로 나눈 수치)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한국 투자자의 평균 주식 보유 기간은 8.0개월로 나타났다. 한국보다 보유 기간이 짧은 국가는 중국(2.5개월) 터키(6.5개월) 미국(7.3개월) 등 3개국에 불과했다.

지표상으로 단타투자를 많이 한다는 얘기다.

그럼 한국이 왜 주식투자의 보유개월수가 짧을까?

사람들의 생각이 짧아서?

주식은 투기구조이기 때문에?

내가 생각하는 바는 부동산이건 주식이건 단타를 하려는 수요는 원래 90%가 넘는다.

부동산 투자자들도 만나면 장기투자하려는 수요가 원래 없고 단타를 하려는 수요만 차고 넘친다.

원래 그렇다.

우리나라 국민성에서도 그렇게 드러난다.

일본은 10년전 맛집 지도를 가지고 가도 된다고 한다.

왜냐하면 변하지 않으니까 말이다.

그래서 50년, 100년 아니 그 이상을 하는 기업들도 허다하다.

그래서 그들의 프랜차이즈는 굉장히 유명한 오사카의 프랜차이즈인데도 불구하고 전국에 5개 밖에 없다고 한다.

우리나라 같으면 벌써 수 백, 수천 개 생겼다가 사그러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6개월도 길다.

찜닭, 불닭과 같은 프랜차이즈가 있지 않았나?

그런데 요즘 찾아보기가 힘들다.

그만큼 많이 망하고 유행도 빨리 변한다.

이러한 국민성은 좋게 말하면 열정적이고 나쁘게 말하면 급하다는 것이다.

빨리 승부를 보려는 것이다.

그런데 왜 유독 주식만 그런 단타, 개미 등에 대한 얘기가 있을까?

부동산은 경기가 얼어 붙으면 팔리지 않는다. 

그러니 단타를 치고 싶어도 단타를 칠 수가 없다.

손실이 확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주식은 내놓으면 바로 팔린다.

그러니 저런 노신사처럼 손실이 확정된다. 

‘떨어지는 칼날’을 잡은 뒤 손절매를 하지 못해 투자금을 날리는 경우도 허다하다. 마주옥 한화금융투자 투자전략팀장은 “금리 환율 유가 등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의 흐름은 단기간에 바뀌지 않기 때문에 주가도 한번 내리막을 타면 다시 반등하기까지 긴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 주가의 장기 하락을 단기 하락으로 오판해 저가매수에 나서는 사람들이 큰 낭패를 본다”고 말했다. 그 대표적 사례가 조선·해운주라고 했다.

이게 무슨 개소리인가?

떨어지는 칼날을 잡은 뒤 손절매를 하지 못해 투자금을 날린다.

소위 전문가들이 이렇게 얘기한다.

단타를 염두에 둔 말이다.

5%라도 오르면 팔고 10% 떨어지면 팔라고 한다.

그럼 언제 돈 버는가?

100배 오를 주식이 아니면 처음부터 사지도 말아야 하는데 떨어지는 칼날 얘기하고 있다.

100배 오를 주식은 떨어지면 더 사야 한다.

오히려 기회다.

매번 잡주만을 사고 잡주를 사라고 하니 저렇게 떨어지는 칼날을 얘기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우량주라는 것이 제조업 기반이고 중국한테 빼앗기는 산업이며 환경에 좋지 않아 없어져야 할 산업으로 계속해서 가지고 있으면 0로 수렴하는 산업이 대부분이다.

조선, 철강, 자동차, 석유화학 등과 같은 것들 말이다.

경쟁력도 없고 그렇다고 세계1위도 아니고 앞으로 없어지는 산업이다.

그러니 떨어지는 칼날 얘기한다.

100배 오를 주식은 애초부터 없다.

삼성전자나 네이버의 스노우와 같은 기업이 그나마 요즘의 세계적인 흐름을 타고 뻗어나갈 기업이다.

그 외에는 장기투자할 종목이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두번째 이유는 우리나라에 정말 장기적으로 투자할만한 기업이 있는가이다.

한국 수출 점유율 1위 품목 68개 '세계 14위'

중국 1762개… 1위 점유율 31.6%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12/2017021201879.html 

이 기사를 보자. 중국 1762개 한국 14개.

일단 세계1위가 되어야 안정적인데 세계1위 상품이 68개 밖에 없다. 

세계 수출 시장에서 한국은 화학(22개), 철강(12개), 섬유(9개), 비전자 기계(7개) 제품 등에서 1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2015년에 18품목이 1위로 새로 진입한 반면 축전지와 철강재 관 등 17품목은 다른 나라에 1위를 넘겨줬다. 

최근에는 그나마 17개 제품이 최근 1등을 다른 나라에 빼앗겼다.

그런데 지금 68개 제품중에서도 철강, 섬유 등은 계속 1위를 할지 모르겠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장기투자를 할 수 잇겠나?

그렇다고 앞으로 세계시장에 치고 나갈 수 잇는 벤쳐기업이 마구 쏟아져 나오는 형국도 아니다.

중국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1762대 68

게임이 안 된다.

내 돈 내고 모험할 일 있나?

세계1위도 아닌 기업을 뭘 믿고 투자하나?

그들의 회계장부를 믿고 투자를 하나?

대우조선해양같이 큰 회사도 그렇게 구멍이 뚫리는데 작은 회사는 오죽하겟나?

유망한 기업이란 것이 태평양 아모레처럼 중국에나 기대는 화장품 회사다.

중국 요즘 변심하고 한국제품 못쓰게 하니 주가 망가지지 않나?

그런 기업에 투자해야 하나?

해외기업에 투자할 수 없는 시절도 아닌데 왜 그런 기업에 투자해야 하나? 

세째 박스피다.

미국은 사상최고의 다우지수를 갱신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갇혀있다.

그러니 우리나라는 2100 팔고 다시 1800까지 떨어지면 사고를 반복하는 것이다.

박스피는 위의 이유 때문이리라.

1위 제품도 없고 시장도 좁고 단타를 좋아하는 국민성도 그렇고 말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백악관, 북한에 '상상 뛰어넘는 응징' 경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