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왓슨 도입은 좋지만…환자 빅데이터 고스란히 해외로"

"왓슨 도입은 좋지만…환자 빅데이터 고스란히 해외로" 

해외 의료용 AI 도입 늘면서 빅데이터 주도권 '흔들'
"국산 인공지능 개발 시급" 

이지현 바이오헬스부 기자 bluesky@hankyung.com                

기사 이미지 보기

“길병원 부산대병원에 이어 지역 대학병원 한두 곳이 추가로 IBM의 인공지능(AI) 왓슨 도입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의료 서비스 수준을 높이겠다는 취지는 좋지만 자칫 국내 환자들의 빅데이터만 해외에 넘겨주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AI 연구를 하는 한 대학병원 교수의 말이다.

왓슨은 환자 정보를 활용해 해외 연구논문 등을 분석한 뒤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을 제시해주는 기기다. 국내 의료기관들은 왓슨이 제시한 치료법을 환자에게 설명한 뒤 환자 스스로 치료방법을 선택하도록 돕고 있다. 환자 호응은 높은 편이다. 의사에게 치료법을 전달받은 환자 상당수가 왓슨이 제시한 치료법을 선택할 정도다. 하지만 의료계에서는 불안감도 내비친다. 왓슨을 쓰는 병원이 늘면 국내 의료 빅데이터가 해외로 고스란히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자칫 의료 주권을 빼앗길 수도 있다. 

왓슨에 입력하는 환자 정보는 주민등록번호 등을 지운 비식별 정보다. 이는 환자의 개인정보가 보호된다는 것을 의미할 뿐 국내 의료 빅데이터가 보호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국내 환자의 임상 정보는 AI를 훈련시키는 또 다른 재료가 될 수 있다. 환자 정보뿐 아니다. 좋은 치료법과 중간 치료법, 나쁜 치료법을 나란히 보여주는 왓슨은 의사와 환자가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하지 않으면 이유를 묻도록 설계돼 있다. 의사와 환자가 선택하는 이유에는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해서’라는 항목도 있다. 이를 통해 국내 건강보험 체계까지 학습할 수 있다. 의료용 AI를 개발하는 의사들이 ‘AI 연구는 시간 싸움’이라고 말하는 배경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국내서도 관련 연구를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AI 기술이 있는 공학도와 의료 빅데이터를 지닌 병원 간 협력 연구도 늘고 있다. 가능성은 크다. 시장을 선점한 AI가 찾지 못한 응용 분야도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규제가 문제다. 일부 대학병원은 AI 연구 법률 자문을 위한 별도 위원회를 꾸렸을 정도다.


빅데이터 주도권 싸움은 속도전이다. 정부가 주도하겠다고 시간 낭비를 할 때가 아니다. 다양한 민간 개발자들이 도전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줄 때다.

이지현 바이오헬스부 기자 

bluesky@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21515171 

IBM이 혹시 임상실험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우리나라의 환자들은 왓슨과 의사 과장 중 누구의 말을 더 신뢰할까?

100% 왓슨이라고 한다.

그런데 왓슨이 내린 처방을 환자가 안 따르면 어떻게 되나?

그냥 꽝이다.

처방을 따라야 진행과정을 살필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환자들이 왓슨의 처방을 따르고 있다.

왓슨의 처방을 많이 본 것은 아니지만 좀 더 수술 후 강력한 얘기를 더 하는 것 같다.

예를 들면 의사는 약물치료도 괜찮다는데 왓슨은 약물치료와 동시에 종양이 완전 제거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니 방사선치료를 더 하라는 식으로 말이다.

의사의 처방보다 더 강력한 처방을 하면 환자는 왓슨을 따를 수 밖에 없다.

덜 강력한 처방을 내리는데 그것을 들었다가 정말 왓슨 말대로 되면 어떻게 하는가?

암 재발하면 의사가 책임지나?

그러니 왓슨의 말을 듣는다.

그럼 왓슨은 이런 처방을 내림으로써 자신의 처방을 유약한 환자들이 더 따를 가능성이 높고 그렇다면 자신의 처방대로 따랐으니 차후 자신이 데이터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그것을 데이터센터로 보내서 환자의 데이터를 쌓고 임상결과도 쌓는다.

그러니 왓슨은 처음부터 더 센 처방을 내리게 된다.

그러면 왓슨의 말을 따랐던 환자는 어떻게 되나?

과잉진료를 받을 수 있는 것 아닌가?

왓슨이 항상 더 센 처방을 내리게 된다면 말이다.

물론 가상의 시나리오지만 그럴 수 있다.

우리나라도 빨리 만들었으면 좋겠지만 벌써 글로벌 기업들은 현장에서 써먹고 있는데 기술력 차이가 10년 이상 차이나지 않을까 걱정된다.

물론 걱정되면 인공지능 주식을 사면 된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수구 노조' 타락에 눈감은 '진보 정치'  '철옹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