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오지 주민의 발' 100원 택시…잇단 벤치마킹

       '오지 주민의 발' 100원 택시…잇단 벤치마킹


행안부, 공공서비스 우수 77건 선정 
"취약계층 서비스 사각지대 없애겠다"

700가구 발이 된 100원 택시
 만족도 97%…他 지자체로 확산

 독거노인 이불 세탁 서비스
영화관 운영·책 배달도 인기
 다문화통역풀도 큰 호응

 고양 장애인 위한 휠체어 버스
2년새 8000여명 가족과 여행

 전남 광양시는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는 오지 마을 주민을 위해 ‘100원 택시’를 운행하고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곳까지 100원만 내고, 택시비 차액은 전부 시에서 보조해준다. 2015년 5개 마을에서 시작한 이 서비스는 올해 21개  마을로 확장했고, 744가구가 이용 중이다. 광양시는 내년 이 사업 예산을 올해의 2배인 5억원으로 편성했다. 주민의 만족도가  97%에 달할 만큼 호응이 좋아 다른 자치단체들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자치단체의 ‘사각지대 공공서비스’ 올해 우수사례 77건을 5일 발표했다. 학교 밖 청소년, 결식아동,  홀몸노인, 벽지마을 주민, 장애인 등 공공서비스에서 소외되기 쉬운 취약계층을 찾아가 지원한 모범 사례를 모았다. 김부겸 행안부  장관은 “공공서비스 혜택이 구석구석 스며들어 사각지대가 없도록 세심히 살피겠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사각지대 공공서비스가 우수한  자치단체에 교부세, 보조금 추가 지급 등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도서관 책 배달부터 이불빨래까지

부산 수영구는 홀몸노인의 이불을 수거해 세탁한 뒤 배달하는 ‘꿀잠 이불 빨래방’을 선보였다. 수영동·광안1동·민락동·홀트복지관 등  4곳에 설치했다. 82세 할머니 A씨는 “산 송장같이 TV만 보고 살았는데 이불을 빨아 갖다 주며 이야기도 해주고 먹을 것도 갖다 주니 너무 고맙다”고 말했다.

  



충남 금산군과 충북 옥천군은 군내 영화관을 열어 주민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금산군이 지난 6월 2관 150석으로  문을 연 ‘금산시네마’는 2개월간 7000여 명이 관람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관람료는 일반영화관의 60%인 6000원을  받는다. 충북 옥천군도 2개관 95석 규모 ‘향수시네마’를 5월에 열었다. 옥천군 노인회장 B씨는 “30~40분 걸려 대전에 가야 영화를 볼 수 있었는데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좋아한다”고 말했다.  



행안부, 2018 우수 어린이놀이시설 7개소 선정  





강원 원주시는 장애인 임산부 다문화가정 등을 대상으로 시립도서관 책을 10권까지 집으로 배달해주는 무료 택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천 연수구는 악기를 접하기 힘든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인성 교육 차원에서 ‘연수 드림스타트 브라스밴드’를 운영하고  있다.


외국인 누리과정 지원·통역서비스도

대구시 북구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통역풀’을 올해 처음 시작했다.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우즈베키스탄 몽골 등 결혼이민자가  많은 8개국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통역사 25명을 채용해 외국인 주민을 지원하고 있다. 베트남 결혼이민자 C씨는 아이가  백혈병으로 칠곡 경북대병원에 입원한 뒤 의사가 하는 말을 못 알아들어 곤란을 겪던 중 이 통역서비스의 도움을 받았다.

전국에서 외국인 주민 수가 8만2000여 명으로 가장 많은 경기 안산시는 자치단체 최초로 외국인 아동 대상 누리과정(3~5세) 보육료를  지난 7월부터 지원하기 시작했다. 550개 어린이집 누리과정 외국인 아동 600여 명에게 매월 보육료 22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전라남도는 영암 강진 장성 곡성 해남 진도 등 접근이 쉽지 않은 마을주민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일자리버스’ 잡어스(JOB-US)를 운영  중이다. 5월에 도입해 3개월간 26회에 걸쳐 137명에게 취업상담을 했다. 경기 고양시는 외출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해 전국  자치단체 최초로 휠체어리프트와 편의시설이 갖춰진 ‘꿈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2016년 4월 첫선을 보인 이후 지난달까지  8000여 명의 장애인과 가족이 이 버스를 타고 각지로 여행을 다녔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0526301


전남 광양시는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는 오지 마을 주민을 위해 ‘100원 택시’를 운행하고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곳까지 100원만 내고, 택시비 차액은 전부 시에서 보조해준다. 2015년 5개 마을에서 시작한 이 서비스는 올해 21개  마을로 확장했고, 744가구가 이용 중이다. 광양시는 내년 이 사업 예산을 올해의 2배인 5억원으로 편성했다. 주민의 만족도가  97%에 달할 만큼 호응이 좋아 다른 자치단체들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는 항상 이러한 현상을 볼 때 왜 그럴까? 에대한 궁금증을 가져야 한다.

그러면 본질이 보이고 본질을 통해 우리가 대처해야 할 점까지 찾아 낼 수 있다.


100원 택시가 있단다.

이런 경제원칙과 반대로 가는 정책이 왜 나왔을까?

왜냐하면 젊은이들이 모두 도시로 그것도 서울로 가버렸기 때문이다.

왜 갔을까?

서울에 일자리가 있고 지방에는 일자리가 없으니까 그렇다.

지방에는 농사짓는 노인 몇 분 빼고는 살지 않는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제조업 중심으로 예전부터 도심지 인근에 공장을 짓고 근처에 신도시를 지어서 출퇴근을 시켰기 때문이다.

그래야 농사만 지어서 못 살던 조선왕조 500년을 벗어나 잘 살 수 있으니까 말이다.

농업은 생산성 향상이 없고 제조업은 생산성 향상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역을 통해 미국의 싼 쌀을 가져오고 우리나라는 미국에 스마트폰 등을 팔아 서로 이익이 되는 무역을 했고 발전했다.

게다가 세계화의 바람으로 지방에서도 싼 인건비를 찾아 동남아로 가버리는 사태 때문에 지방에 일자리 마저도 다 없어졌다.


그렇다면 현재 지방에 남아 있는 노인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거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왜냐하면 이들은 출퇴근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방은 경전철, 버스 등등 모든 교통수단이 사업성이 안 나와 그냥 끊어져 버린 것이다.

그렇다면 지방에 사는 노인들이 가끔 아주 가끔 시내로 나올 경우가 있다.

병원을 가건 마실을 가건 손주를 보러 가건 말이다.

그 때 전화를 걸면 오는 택시가 100원 택시라는 것이다.

어차피 수요는 그리 많지 않으나 택시비 부담도 적으니 시에서 부담한다는 얘기다.

이런 곳은 사람이 앞으로 더 살지 않아 부동산 가격이 오를리가 없을 것이다.

당연한 상식인데도 요즘에 지방에 몰려 다니며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현재가 가장 부동산 초호황기가 맞다.

왜냐하면 베이비붐 세대, 70년대 X세대, 에코세대가 집을 원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딱 10년 남았다.

1기 신도시가 30년이 넘는 시점이다.

그 때가 되면 재건축 얘기가 나와야 하는데 재건축 얘기가 안 나오는 대단지들에서 매물이 쏟아져 나올 것이다.

그 때부터 우리나라의 부동산은 양극화 될 것이다.

서울과 수도권, 지방 그리고 새아파트와 헌아파트 말이다.

물론 앞에 있는 것들이 좋다.

직장이 많고 사람들이 원하는 주거 형태이기 때문이다.


지방은 점점 더 많은 지역으로 100원 택시가 뻗어 나갈 것이고 있던 경전철도 사업성이 없어서 끊어질 것이다.

단타는 지금 치더라도 장기적인 임대사업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10년 후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기 때문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日, 中서 뺀 인력 동남아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