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세계의 공장' 중국, 제조업 성장 멈췄다

'세계의 공장' 중국, 제조업 성장 멈췄다


기업 경기지수 2년 만에 정체
"통상전쟁 진짜 충격은 내년 상반기 나타날 것"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 제조업이 2년여 만에 불황 문턱에 섰다. 미·중 통상전쟁의 충격파가 본격화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0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10월 수치인  50.2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이로써 중국의 제조업 PMI는 2016년 7월(49.9) 이후 2년여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PMI가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세를, 밑돌면 경기 위축세를 뜻한다.

  





중국의 제조업 PMI는 2016년 8월부터 50을 넘어 확장세로 돌아섰다. 지난 10월까지 27개월 연속 확장세를  기록했는데 이번에 중립 수준으로 내려왔다. 국가통계국은 “올해 들어 부채 축소 정책 여파로 자금난을 겪는 기업이 늘어난 데다  미·중 통상전쟁이 격화하면서 제조업 경기가 확장과 위축을 가르는 임계점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제조업 PMI가 9월 이후 3개월 연속 전달 수준을 밑돈 점을 감안할 때 12월에는 제조업 경기가 50 아래로 떨어져 불황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함께 발표된 11월 비제조업 PMI 역시 53.4로 전달 53.9에 못  미쳤다. 비제조업 PMI는 주로 서비스업 동향을 반영한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포함한 종합 PMI는 52.8로 전달에 비해  0.3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3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작년 동기 대비 6.5%에 그쳐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후인 2009년 1분기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이로 인해 중국에선 경기 하방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경제가 아직 바닥에 이르지 않았다는 관측이 많다. 셰야쉬안 중국  자오상증권 애널리스트는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진짜 충격은 내년 상반기에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이징=강동균 특파원 

kdg@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3017771




경기지표만큼 사실을 나타내주는 것은 없다.

중국이 경기가 안 좋다는 얘기다.


1980년대 초반이다.

폴볼커가 당시 미국의 FED의장이다.

중동의 오일쇼크로 인해 경기가 스테그플레이션이 일어날 것 같자 금리를 올렸다.

그것도 한꺼번에 20%로 말이다.

간과한 사실이 있는데 금리를 올리자 미국의 기업들이 죽어 넘어졌다.

그래서 폴볼커가 출근을 할 때 중소기업 사장들이 폴볼커의 뉴욕 집 앞에서 데모를 했다.

폴볼커는 그래도 그들을 보면서 금리를 올렸다.

미국의 거품을 뺐던 것이다.

그래서 당시 1980년대 초반 나스닥이 상승을 하다가 1983년 하강을 한다.

이것이 폴볼커가 취한 금리정책 때문이다.



이것이 미국의 기준금리다.

1980년 기준금리를 무려 20%까지 올렸다.

인베스팅 닷컴은 미국의 기준금리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비슷한 미국채 10년물을 집어 넣어 보았다.



그랬더니 이런 그래프가 나왔다.

즉 금리를 올리니 주가가 떨어지고 금리를 낮추니 주가가 올라간다.


1980년부터 올라가다가 1983년 6월부터1984년 7월까지 1년간 떨어진다.


이때는 급격한 금리인상 시기였고 그로인해 미국이 먼저 구조조정을 당한 것이다.

그리고 다시 1984년부터 7월부터 오르기 시작한다.

폴볼커가 금리를 다시 떨어 뜨린 것이다.        

미국이 금리인상을 하고 지금 다시 2018년 2월로 떨어진 것은 미국의 금리인상과 관계가 깊다. 

이번에 연준이 금리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것은 분명 좋은 신호다.

이번 12월에는 금리를 올리겠지만 내년부터는 금리 속도를 조절하면 증시는 안정적으로 올라갈 것이라 보인다.

물론 금리변수로만 보면 그렇다는 것이다.


중국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어려워지고 있다.

미국은 1980년대와 똑같이 행동하고 있다.


중국을 타겟으로 잡고 중국을 죽이기 위해 먼저 주변나라들 기준금리 올려서 가지치기 하고 있다.

왜냐하면 일단 미국다음으로 컸다는 얘기는 경제력이 받쳐준다는 얘기가 된다.

그러니 중국과 협조적인 나라들을 가지치기 해서 연합세력을 약화시키는 것이다.


예전에 소련을 죽일 때 중국과 손을 잡고 금리를 올려서 동유럽과 남미를 망가뜨린 것처럼 말이다.


지금도 중국을 죽이기 위해 소련, 남미, 북한, 이란 등등을 먼저 금리를 올려 잡고 있다.


중국과 연합세력이 될만한 신흥국들이 먼저 맛이 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중국과 친할수록 경제는 맛이 갈 것이다.

그러니 중국을 비롯한 이란, 터키, 러시아, 남미의 증시는 개판이 되어야 정상이다.

그래서 한국이 중국과 붙을수록 개판 될 확률이 높아진다.


그리고 중국을 칠 것이다.

일본을 미국이 쳤던 것처럼 말이다.


지금은 80년대와는 다르게 서서히 금리를 올리고 있어 급격히 증시가 출렁이는 것 같지는 않다.

그래서 트럼프도 파월에게 서서히 금리를 올려줄 것을 얘기하고 있다.

그래야 증시가 오르다가 급격히 하락하는 경우가 없을테니 말이다.

그래서 내년에 파월이 올해처럼 4번 올린다면 증시가 중간에 한번 출렁일 가능성이 있다.

마치 10월처럼 말이다.

만약에 2번만 올린다면?

올해처럼 출엉이지 않을 수 있다.

그래도 금리 인상이 이어진다면 10월에 한번은 다시 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


50대 50으로 나누어 1등 주식과 그외주식으로 해서 그 외주식은 -3%룰을 지키고 1등 주식은 공황이 오지 않는 한 계속 가져 가는 식으로 투자할 수밖에 없다.

어차피 장기투자가 되어야 큰 돈을 버니 말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트럼프·시진핑 무역전쟁 담판의 날…일요일 아침, 세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