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2兆 들인 한진重 수비크조선소 '기업회생' 신청

2兆 들인 한진重 수비크조선소 '기업회생' 신청


영도조선소 중심 클린컴퍼니 추진

 컨테이너선 경쟁 中에 밀려 수주부진 극심…3년째 적자
 공장 가동률도 20%대로 추락
 조선 기자재 납품해온 부산·경남 협력사 줄도산 우려





필리핀 수비크 조선소 전경 


 경영 정상화를 추진해온 한진중공업이 암초를 만났다. 해외 현지법인인 필리핀 수비크조선소가 수주 부진에 따른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주저앉았기 때문이다. 수비크조선소에 기자재를 납품해온 부산·경남 지역 경제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진중공업은  8일 자회사인 수비크조선소가 필리핀 올롱가포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2006년부터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서 북서쪽으로 110㎞ 떨어진 수비크만에 세계 최대 도크 시설을 갖춘 조선소를 짓기 시작했다. 부산 영도조선소가  좁아 선박 대형화 경쟁에서 밀리며 내린 결정이었다. 영도조선소의 아홉 배에 달하는 300만㎡ 면적의 수비크조선소에서는  초대형유조선(VLCC)과 컨테이너선 등을 건조하고, 군함 등 특수선만 영도조선소에서 짓기로 했다.  



수비크조선소는  2008년 첫 선박을 인도한 이후 100여 척의 선박을 건조하는 등 순조로운 성장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6년(-1820억원)과 2017년(-2340억원) 연이어 대규모 영업적자를 냈다. 수비크조선소가 주로 짓던 VLCC와  컨테이너선의 가격과 기술 경쟁력이 중국 조선소들에 뒤처지면서 수주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일감이 줄면서 작년 3분기(7~9월)  조선소 가동률은 27.9%까지 추락했다. 수비크조선소는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 빅3’가 주로 짓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종 건조 기술을 확보하지 못했다.




수비크조선소를 짓는 과정에서 한진중공업 재무구조는 급속도로 악화됐다. 조선소 건설비용으로 6400억원을 투자했고, 이후 운영비용 등으로  4700억원을 출자하는 등 2조원 이상을 수비크조선소에 투입했다. ‘수주 절벽’까지 닥치면서 비용 부담은 더 커졌고, 한진중공업은  2016년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맺고 자산 매각 등 구조조정을 진행해왔다. 작년 초부터 외부 투자자 유치를 포함해 경영권 매각도  시도했지만 매수자를 찾는 데 실패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해운시장이 LNG선 위주로 재편되면서 컨테이너선 등 범용 선박 중심인 수비크조선소가 살아남기 쉽지 않은 여건”이라고 말했다.

필리핀 법원은 앞으로 실사를 통해 수비크조선소의 회생 가능성을 따진 뒤 법정관리에 들어갈지, 청산 절차를 밟을지 결정한다. 한진중공업은 영도조선소 중심의 ‘클린 컴퍼니’를 만들어 경영 정상화를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3만여 명에 달했던 수비크조선소  근로자를 3000여 명까지 줄여 현지 정부와의 마찰 가능성도 낮췄다.




하지만 수비크조선소에 기자재를 공급해온 부산·경남 지역 조선 기자재업체들은 법정관리 여파로 수백억원대 납품대금을 못 받을까 우려하고  있다. 경영난 탓에 수비크조선소 현금이 이미 바닥난 데다 법정관리 과정에서 받아야 할 돈(매출채권)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김보형/박상용 기자 

kph21c@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10844891        



한진중공업이 발칙한 생각을 했다.




기업은 생산직과 사무직으로 나뉜다.


그런데 왜 사무직만 구조조정 해야하지?



그래서 했다.


생산직 구조조정을 말이다.




많이 한 것도 아니다.


400명 했다.




2010년 12월 15일, 경영 악화를 이유로 한진중공업 측이 생산직 근로자 400명을 희망 퇴직시키기로 결정한 것에 노조가 반발하여, 12월 28일부터 "정리해고 전면 철회"를 주장하며 나흘간 농성을 벌였으며, 2011년 1월 6일부터는 민주노총 김진숙 부산본부 지도위원이 한진중공업 내의 85호 크레인에서 고공농성에 들어갔다. 그럼에도 한진중공업 측이 입장을 고수하자, 2월 14일, 17호 크레인에서도 고공농성을 하였다가, 5월 13일, 기자회견을 통해 고공시위 종료를 밝히기도 하였다. 이후, 6월 11일에는 16대로 구성된 '희망버스'가 한진중공업에 도착하여, 촛불행진 및 한진중공업 내 진입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용역 직원 20여 명(사측 주장)과 노조원 수십 명이 부상을 입었다.




한진중공업은 민주당, 시민단체 그리고 민노총의 힘을 생각 못하고 먼저 구조조정을 하다가 기업이 망하기 일보직전까지 간다.


그래서 한진중공업은 조선소의 일감을 대부분 필리핀의 수빅조선소로 옮긴다.




한진중공업 사태이후 대기업은 느낀 것이 있다.


생산직 자르려다가는 회사 망한다.




그래서 한진중공업 사태이후 더 많이 사무직을 자른다.


그래서 사무직의 희망퇴직도 시간이 갈수록 더 연령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바로 생산직 구조조정을 못 해서 그렇다.




그렇다면 필리핀 가서 잘 나갔느냐?


잘 나갔다.




한진중공업 수빅조선소 완공 6년 만에 선박 100척 건조
심정섭 수빅조선소 대표는 “필리핀 노동자의 생산성이 한국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지만, 인건비는 10%에 불과해 저가로 밀어붙이는 중국에 비해서도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511241675891843



그러나 이러한 인건비 따먹기로는 중국을 따라 갈수가 없다.


그래서 상선이나 만드는 한진중공업이 힘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에 반해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은 미국 셰일가스의 폭발적인 생산을 바탕으로 LNG선을 엄청 건조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것은 미중무역전쟁 때문에 더 늘어날 것이다.




왜냐하면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흑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미국에서 수입을 해와야 하는데 미국에서 수입해 올 것은 비행기 밖에 없었는데 이번에 품목이 하나 더 늘은 것이다.




LNG 




중국은 현재 미세먼지로 고통받고 있다.


물론 한국도 고통받고 있다.


중국의 인민들은 미세먼지로 폭동을 일으키기 직전이다.


그런데 불완전 연소로 본다면 목재 -> 석탄 -> 석유 -> 천연가스 가 된다.


즉 미세먼지가 덜 발생하는 현존하는 대체 가능한 에너지원이라는 얘기다.


그래서 중국은 북경근처에 가정용 보일러를 석탄보일러에서 가스보일러로 바꾸고 있다. 




현재 미중무역전쟁이 진행되는 와중에 중국은 미국에 LNG에 관세를 붙였다.

미국은 도착지규정이라는 것을 셰일가스를 수출하면서도 붙이지 않았다.

즉 도착지가 꼭 수입하는 나라가 아니라도 관계없다는 뜻이다.

이 얘기는 다른 나라로 수출을 해도 괜찮다는 얘기이고 그래서 유럽을 경유해서 다시 중국으로 미국의 셰일가스가 가면 관세가 없다.


앞으로 미중 무역전쟁이 셰일가스에 대한 타결이 있다면 직접적인 LNG선의 발주는 더 늘어날 것이다.


그런면에서 한진중공업의 이번 파산은 기술개발을 게을리하고 인건비에 매몰 되었을 때 기업이 어떻게 무너지는지 보여준다 할 수 있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현미경] 英여왕이 눈물로 떠나보낸 브리타니아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